-
-
최재천의 공부 - 어떻게 배우며 살 것인가
최재천.안희경 지음 / 김영사 / 2022년 5월
평점 :
함께 근무하는 직원이 “과장님 드릴 말씀이 있는데요” 하며 긴장한 모습으로 어렵게 말을 꺼낸다. 대학원에 진학해 주 2회 유연 근무 또는 조퇴를 한다는 내용이다. 나는 평소에 유연한 사고와 오픈 마인드를 가졌다고 자부했는데 어느새 후배가 어려워하는 꼰대 상사가 된 걸까? 대학원 진학을 적극 환영하고 지지한다는 말로 응원해 주었다.
7급 때 도교육청에 근무하면서 대학원 공부의 필요성을 느꼈다. **교육도서관으로 이동하면서 대학원에 진학해 2년 동안 주경야독하는 시간을 보냈다. 공부에 소질이 없어 박사는 포기했지만 새로운 지식에 대한 앎의 욕구는 여전히 남아 있다.
미국의 심리학자 매슬로우는 인간의 욕구를 5단계로 구분하였다. 최상위 욕구는 자기만족을 느끼는 단계인 자아실현의 욕구다. 학교 공부가 아닌 사회에서의 공부는 자발적인 동기 부여에 따른 행위로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한다. 책을 읽고 새로운 지식을 얻는 행위는 자아실현의 좋은 방법이다.
도서 ‘최재천의 공부’는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인 최재천 교수와 안희경 저널리스트의 대담집이다. 책은 6부로 나누어 제목은 공부지만 어떻게 배우며 살아야 할지, 배움과 성장에 대해 큰 틀에서 생각하게 한다. 1부는 ‘누구나 꽃피울 잠재력이 있다’로 시작하는 공부에 대해 생각하는 기회, 공부의 뿌리에 대해 이야기한다. 2부는 공부의 시간으로 스스로 길을 내며 방향을 찾고, 혼자 몰입하는 시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3부는 공부의 양분인 읽기, 쓰기, 말하기와 독서에 대해 말한다. 특히 취미 독서가 아닌 빡센 독서, 일처럼 하는 독서를 강조한다. 내가 몰랐던 지식을 탐구하면서 그 안에서 나를 만들어가는 독서, 영토를 확장하는 독서를 의미한다. 책을 꾸준히 읽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 가벼운 에세이, 자기계발서는 거의 읽지 않는다. 새로운 지식에 대한 앎의 욕구는 제목에 공부, 인문학, 책, 미래 등에 눈길이 간다. 최근에는 시집도 즐겨 읽는다. 간결한 문장, 절제된 언어, 사고를 확장하는 문장에 끌린다. 4부는 공부의 성장으로 사고력, 창의력에 대해 다룬다. 세상 경험 중에 쓸모없는 경험은 없고, 모든 경험은 언젠가는 쓸모가 생긴다는 말이 와닿는다. 우리 아이들과 방학 때 함께 다녔던 미술관, 뮤지컬 관람이 현재 내가 하는 일을 보다 즐겁게 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되었다. 5부는 공부의 변화로 승자 독식 경쟁에서 공생으로, 인생 이모작을 다룬다. 대학은 평생교육기관으로 40대, 60대, 전 세대를 위한 다양한 대학이 만들어져야 함을 이야기한다. 마지막은 공부의 활력으로 자존감, 존중의 힘을 말한다. 자존감 상승의 열쇠는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는 것이라는 말이 마음에 닿는다.
대학을 졸업하는 해에 공무원이 되었다. 결혼 후에는 두 아이를 키우느라 정신없이 살았다. 아이들은 직장과 학교를 찾아 떠나고 집에는 부부만 남았다. 직장으로 출퇴근하느라 몸은 피곤하지만 삶이 공허하다. 과연 내가 좋아하는 것이 뭘까?
“요즘 청년에게 제가 가장 많이 하는 말이 ‘악착같이 찾아봐라’ 하는 것입니다. 한 번 사는 인생을 왜 남이 좋아하는 것을 하고 삽니까? 우리는 눈만 뜨면 가장 하고 싶어 하는 일이 뭔지를 찾아야 합니다. 쭈그리고 앉아 있지 말고, 나가서 뒤져보고 찔러보고 열어보고, 강의도 들어보고, 책도 읽어보면서 찾아야 합니다.”
도서 ‘공부가 가장 쉬웠어요’ 의 저자 장승수 변호사는 일을 잘하고 싶어 일을 열심히 하니 막노동판 최고의 일꾼이 되었고, 공부를 잘하고 싶어 공부를 열심히 하니 서울대에 수석으로 합격했다는 말이 떠오른다.
얼마 전 우리 기관에서 만난 국제구호전문가 한비야는 “무엇이 내 가슴을 뛰게 하는지 찾아보고, 가슴 뛰는 일을 하며 살라” 는 말도 귓가에 맴돈다.
더 늦기 전에 진심으로 내가 좋아하는 일, 가슴 뛰는 일을 찾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