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오기 전에는 우울했다. 한동안 비가 계속 내릴 것을 생각하니.. 딱히 활동적이지도 않은데 무언가 거대한 시즌(?)을 앞두고 나는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었나보다. 막상 비가 시작되니 마음이 차분해진다. 비는 오락가락 하루종일 내린다.
이런 날들에 나는 새 책을 못 읽겠는 병에 걸려버렸다. 읽었던 책만 읽고 있다. 물론 도서관에서 계속 빌리고는 있다. 반도 못 읽고 반납 중이지만...
언제적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냔 말인가. 작년에 나는 신영복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사인본까지 챙겼더랬지. 그래서 가지게 된 새 책 다른 사람에게 수없이 선물한 이 책을 수년만에 다시 읽으니..
어떤 인생의 정수만을 모아놓은 예스럽고 깊은 사유에 절로 겸손해지는 문장들이었다니.
이 책은 2010년도에 읽었던 책인데, 그 때 힘든 시절에 참 좋은 기억이 있어 다시 읽었다. 그 때와는 조금 다른 관점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역시 좋구나. 시를 다시 읽고 싶은 마음이 인다.
작년에 나를 우울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었던 <싱글맨>과 얼마전 도서관에서 우연히 득템한 김경의 책.
<싱글맨>은 왜 평점이 낮은지 모르겠다. 다시 읽어도 이렇게 좋은데.. 아마도 고독의 감성을 모르는 사람들일게야 괜한 자부심(?)을 가져본다.
김경의 글에선 나는 왜 가난한 남자들에게 끌리는가,라는 문장이 재밌었다. 가난하면 돈으로 해결되는 것들로 자신을 치장할 수 없기 때문에.. 그래서 오롯이 나의 스타일로만 나를 표현할 수 있기에.. 나의 스타일, 취향은 나와 맞는 사람을 감지하도록 해준다. 아직 내가 감지가 안되는 것은 나만의 스타일을 정립(?)하지 못했기 때문? 여튼 이 책, 꼼꼼히 다 읽은 것은 아니지만 재밌었다.
나는 함정임의 에세이와 뭔가 코드가 맞는 것 같다. <파티의 기술>은 제목이 왜 이런지 모르겠지만 후반부에 여행에 관련된 글들이 좋았다. <소설가의 여행법>은 시종일관 좋다. 책들이 계속 등장하기에..
요즘처럼 아무 생각없고, 잠만 자고 싶고, 복잡한 건 엄두도 안나는 무기력한 때 나는 이런 나의 라이프를 심플함이라고 애써 변명한다. 그리하여 발견하게 된 이 책! 제목처럼 심플하고 문장도 깔끔하고, 깊은 여운까지 준다. 의외로 집중해서 읽고 있다.
언니의 죽음 후에 1일 1독서라는 프로젝트로 그 아픔을 치유하는 이야기다. 삶의 규율로서 독서하고, 이 독서는 도피가 아니라 삶으로 돌아가기 위한 단언이라는 저자의 결심에서 삶에의 의지를 본다. 일상에 대한 묘사가 많아 중간중간 건너뛰며 책제목을 메모하며 읽고 있는데 언젠가 내가 꿈꾸었던 1일 1독을 해내는 저자의 의지에 감탄. 지금쯤 그 아픔 많이 치유되었길..
한 여름의 감기라니 일주일째 고생하고 있다. 건강이 제일이라는 말... 감기를 핑계삼아 무기력하게 오늘도 보내고 꿈나라로 가야겠다. ㅠㅠ 그나저나 하루키의 신간은 사야한단 말인가. 잠시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