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대학시절에 <스밀라의 눈에 대한 감각> 초판이 나왔던 거 같다. 허랑방탕(?)하게 도서관에서 책 읽는 것이 유일한 일거리였던 황금같던 그 시기에 스밀라는 나만 좋아하는 소설인줄 알았다. 그런데 알라딘에 와보니 페터 회의 팬이 나만있었던게 아니었다;;; 그렇게 20대 초반의 내 기억속에 그 책은 그런 모습으로 기록되어 있다. 얼마전 알라딘 50퍼센트 세일할 때 왕창 사두었던 책들 중 이책을 새해 들어 읽었는데.. 기대를 해서인지 별로다.
절대청각을 가지고 있는 광대 카스퍼와 염력(마음?)으로 세상을 움직일수 있다고 믿는 아이들의 이야기인데.. 뭔가 서술이 붕붕 뛰는게 읽기가 편치 않았다. 그런 것이 또 페터 회 소설의 매력이랄수도 있지만 아이들 행동의 동기에 공감이 안되었다.
박찬일의 노포 이야기다. 맛집을 찾아다니는 편은 아니지만 이런 이야기를 읽는 것은 참 좋아한다. 오래되고 소문난 식당의 공통점 직원들이 아주 오래도록 일한다는 것.. 이 점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뜨거운 한 입>도 사두었는데 조금 묵혔다가 읽어야겠다.
노벨문학상 수상작이 이렇게 재밌어도 되는 겁니까? ㅠㅠ (노벨문학상은 작가에게 주는 상이니 수상작이라 말하는 것이 맞지 않는 것이겠지?)
기억상실증에 걸린 남자가 자신의 과거를 찾아가는 이야기..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는 정말로 거리 이름이네.. 다 읽고 나서 다시 꼼꼼하게 읽어보고 싶었던 소설이다.
요즘 아침마다 한 꼭지씩 정성들여 읽고 있다. 수첩에 베껴적으며 헤세는 언제나 좋구나,라며 감탄한다. 이렇게 맑고 곧은 글이 정신적인 충족감을 줄 때, 독서하면서 참으로 행복하다는 생각을 한다.
함정임의 식도락(?)에세이다. 읽는 내내 유럽여행가고 싶어 근질근질. 마음이 싱숭생숭할 정도로 좋다. 여행도 누구나 할 수 있고, 맛있는 것 누구나 먹을 수 있지만 이것들을 버무려 잘 써내는 건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런면에서 아주 부럽다.
살기 위해서가 아니라 죽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죽음의 길을 갈 때, 이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진다는 것을 알면서도 지는 쪽을 택할 때, 꿈을 이루기 위해서가 아니라 꿈이 좌절됐다는 것을 깨달았으면서도 꿈에 대해서 한번 더 말할 때, 우는 얼굴로 어둠 속에 서서 뭔가 다른 좋은 생각을 하며 억지로 미소를 지을 때, 바로 그때 이 우주가 달라진다는 말. p.256
소설 작법에 대한 글인데 소설을 쓰지 않아도 도움이 될 만한 말이 많이 나온다. 나도 작가를 따라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기필코 읽겠다고 포스트잇으로 매일 읽을 분량표시를 해두었지만 1월 22일인 지금 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