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사막 ㅣ 마카롱 에디션
프랑수아 모리아크 지음, 최율리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15년 6월
평점 :
많은 이야기가 회상의 구조를 택한다. 청년과 중년이 만나는 경계인 삼십대 중후반의 나이는 특히나 과거의 일들을 복기하기 좋은 시점이다. 더 이상 젊지도 그렇다고 아직 늙었다고 하기는 애매한 나이에 청춘의 이야기는 하나 하나 되짚어 나가며 비로소 완성된다. 막상 현실에 퐁당 발을 담궜을 때에는 가질 수 없었던 통찰과 조망들은 산란하고 가벼운 사실의 조각들을 한데로 묶어내어 조금만 뒤로 물러서면 아주 그럴듯한 그림이 된다. 다시 돌아가는 길이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기도 하다.
레몽도 그랬다. 술집에서 레몽은 이제는 늙어가는 첫여자와 해후한다. 마리아는 레몽이 열입곱이었을 때 이미 이십 대 후반에 이르렀고 어린 아들을 잃었고 한 사내의 정부이자 레몽의 아버지의 사랑을 받았었다. 세월의 풍화는 아름답던 여인을 여지없이 깎아 놓았지만 그 여인을 상대로 정염과 복수심을 불타올리던 미성숙한 사내의 치기까지 다 잡아먹지는 못했다. 이윽고 레몽은 그 찬란했던 격정으로 가득했던 채 열아홉도 되지 않았던 나이에 전차에서 한 성숙한 여인의 시선과 마주쳤던 시간들을 회상한다. 둘의 시선은 은밀하게 교환되고 어설프게 만나게 되지만 소년의 서투름과 치기는 이미 성숙하고 닳아버린 여인에게 환영받지 못함으로 깊은 상처와 패배로 남게 된다.
이 이야기가 전부라면 <사랑의 사막>은 진부해져 버리고 말것이었다. 하지만 레몽의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는 이 소년의 어처구니 없는 격정을 이해할 만한 것으로 만들고 깊이를 더하고 있다. 부자는 한 여자를 상대로 승산없는 싸움을 하고 있었다. 여자에게는 너무나 늙어버린 너무나 어린 두 남자는 상대할 가치가 없는 것으로 결론난다. 두 남자는 한 남자의 사랑의 연대기의 대척점에 서 있다. 너무 어린, 혹은 너무 늙어버린 시점에 만나게 되는 정염, 정열. 그것이 설령 플라토닉한 것일지라도 에로틱한 것일지라도 사회적 시점에서는 다 관용어린 시선을 받을 수 없는 것이었다. 게다가 레몽의 아버지는 지역사회에서 존경받는 저명한 의학박사였고 부엌을 두고 사사로운 권력 투쟁에 열중하는 어머니와 아내가 있었다. 후일 레몽이 마리아와 재회하여 그녀의 남편을 치료하기 위해 아버지를 다시 불렀을 때 노인은 여전히 마리아에게 만남을 구걸하는 추태를 보인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고백한다. 가정을 지키기 위해 수없이 마음 속에서 저질렀던 현실화되지 않은 불륜들이 과연 진정한 의미에서 실제 불륜을 저지른 사람보다 나은 것인지 반문한다. 근친을 저지를 뻔 했던 부자의 대화는 인간의 내면이 사회적 외연 안에서 어떻게 스스로를 축소하고 가장하고 죽이며 견뎌나가는 지에 대한 자조섞인 이야기다.
시간과 제도와 욕망 앞에서 인간은 흔들린다. 닳는다. 그것에 대한 통찰의 한 매개로 '사랑'이 택해졌다. 아버지는 이제 완전히 노쇠했고 가망 없는 사랑과의 싸움에서 패배하고 그 대신 가까스로 가정을 지켜내었다. 아들은 해소되지 않은 정염에서 아직도 자유롭지 못한 패배자로 다시 그 여인 앞에 섰다. 그 여인은 어떻게 하여 자신의 정부와 그의 아들을 합법적인 가정의 울타리 안으로 끌어들였다. 늙어버린 여자는 한때 자신을 흔들었던 아들뻘 되는 남자 앞에서 자신의 의붓아들을 자랑한다. 그들의 욕망, 언어, 감정은 모두 철저하게 어긋난다. 그 참혹함 속에서 프랑수아 모리아크는 삶의 한 단면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모든 것을 말할 수 없다면, 아무것도 말할 수 없을 것이다.
-p.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