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매우 인상적인 프로그램을 보게 됐다.

 

 

 

 

1795년 정조가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위하여 수원으로 행차하던 그 8일 간의 여정과 준비과정 등을 낱낱이 기록한 '원행을묘정리의궤'를 드라마틱하게 복원한 프로였다. 자신의 행차를 행복한 축제 '행행'으로 명명한 정조의 행차는 33년 전 할아버지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혀 죽어야만 했던 생부 사도세자를 향한 절절한 그리움, 사랑의 표현이기도 했다. 다른 의궤들과 달리 널리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를 바랐던 정조의 의중이 반영되어 인쇄본으로 제작된 여덟 권의 의궤 속의 그 세밀한 준비과정과 축제의 묘사는 3D로 충실히 복원되어 아름다운 영상과 교차되며 화면 전체를 압도한다. 정조의 의궤는 단순히 왕실의 의식을 기록하는 형식적인 문서가 아니라  축제를 함께 하며 나눔을 베풀고자 했던 백성을 향한 진솔한 사랑의 표현,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 대한 효의 예, 왕권을 위협하는 세력들에 대한 은밀한 견제 등이 어우러져 또다른 정조의 개혁 정책 표방의 일환이 된다. 육천여 명을 육박하는 수행인원을 거느리고 행차하는 왕의 모습과 그 왕을 스스럼없이 구경할 수 있는 백성들의 자유로움, 그 풍경을 가로지르며 분분하는 꽃잎, 장엄한 배경 음악 등이 한데 어우러져 잘 만들어진 영화의 클라이막스 장면을 보는 듯한 착각이 들었다. 의궤 그 자체를 3D로 복원하여 붓 끝에서 생동하는 그 축제 현장의 기록들도 인상적이었다. 배우 이성민의 담담한 나레이션도 좋았다.

 

사람이, 그도 왕족이 쌀을 보관하는 뒤주에 갇혀 8일동안이나 물 한 모금 마시지 못하고 죽어간 사건은 그 자체로 하나의 경악이요, 더없는 비극이다. 게다가 가해자는 친아버지이다. 이것이 픽션이 아니라 하나의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은 오늘날에도 많은 논란거리와 시사점을 던져준다. 여기에는 대치되는 시각이 있다. 사도세자의 아내이자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가 남긴 한중록에는 남편 사도세자가 중증의 정신병을 가져 비상식적인 행동과 살생을 일삼았던 것으로 그려진다. 자연히 늙은 아버지 영조의 미움을 자초했다는 결론이다.

 

 

 

 

 

 

 

 

 

 

 

 

 

 

 

또다른 시각은 사도세자가 당쟁의 희생자였다는 것이다. 탕평책을 폈던 영조는 집권 노론 세력들을 장악할 수 없었다. 자신들의 손아귀에 포섭되지 않고 문보다는 무에 관심이 많았던 사도세자는 끊임없는 공격 대상이었고 결국 신하들이 보는 앞에서 아버지의 손으로 자식을 죽일 수밖에 없을 정도로 당시 왕권은 보이는 것과 달리 미약했었다는 시선이다. 그러니 혜경궁 홍씨가 남긴 한중록은 집권 노론 세력이었던 친정 식구에 대한 변호쯤으로 해석된다. 물론 말로 남은 사실들의 체에는 군데군데 진실이 빠져나가기 마련이므로 완벽한 결론을 내리기란 쉽지 않다. 그 어디쯤엔가 진실은 제자리에 앉아 있을 것이다.

 

 

 

 

 

 

 

 

 

 

 

 

 

 

다만 노론 세력들이 죄인의 자식으로 왕위 계승에 적합하지 않다고 이야기했던 정조는 할아버지에 이어 조선말 최고의 현명한 통치자가 되었다는 것에는 큰 이견이 없다. 그는 복수할 수 있음에도 복수하지 않고 그칠 '지'를 이야기한다. 정치는 살풀이가 아니다. 그럴 수 있음에도 그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마침내 그가 어머니의 회갑연을 열기 위하여 신하들을 이끌고 행차한 곳은 아버지의 무덤 앞이었다. 어머니의 생일이 아닌 아버지의 생일에 어머니의 생일잔치를 계획했던 정조. 열한 살에 할아버지의 손에 죽어가는 아버지를 봐야 했던 왕. 수많은 개혁 정책을 펼쳤지만 번번이 신하들의 유교적 명분과 당파적 이기심 앞에서 좌절당해야 했던, 그럼에도 끊임없이 백성들을 위한 새로운 세상을 꿈꿨던 이상주의자였던 왕. 정조의 그 아름다웠던 꿈들에 대한 이야기는 언제나 우리를 설레게 한다. 고흐가 그 절박하고 힘든 최악의 상황 속에서도 하늘의 별을 그리고 싶어했던 마음과도 만나는 지점. 아무리 현실이 각박해도 절망적이어도 인간은 꿈꾸고 싶어하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eanne_Hebuterne 2013-10-28 1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삼대를 보노라면 끊이지 않는 연극을 보는 느낌이 종종 듭니다. 세자에게 갈 땐 늘 나쁜 일이 있을 때만 드나드는 문으로 출입했다는 영조, 결국, 정신질환까지-결벽증이 있었다지요- 얻었다는 사도세자, 그리고 역사 한귀퉁이를 말끔하게 지워내는데 성공한 정조까지. 세자의 자질이 이미 훌륭했다는 전하는 말도 있으나 자식을 죽이던 날, 뜰에 엎드린 세자에게 영조가 전하는 첫마디는 역시 살인에 관한 것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네가 왕손의 어미를 박살내 죽이지 않았는가?'

실제 세자의 살인은 한둘이 아닌 백여명에 넘었다고 전하고, 형벌에 처한 숫자는 더하지요. 연산군조차 직접 사람을 죽이지는 않았고(때리는 것에 그쳤다는!) 성리학과 유교의 조선에서 백여명도 넘는 사람을 직접 죽인 세자는 군주가 될 수 없지 않았을까, 조심스레 추측해 봅니다. 천하의 성군인 정조 제위 당시 승정원 일기 훼손 삭제분만 하여도 백여 군데가 넘으니, 효심으로 역사를 덮는 일은 성군을 가리지 않는구나, 하는 생각도. 당쟁이 전부가 아닐 거란 생각, 아비의 홀대와 자식의 살인과 각종 정신질환, 그 자취 일부를 먼지 속에 보내는 뒤를 잇는 아비와 아비의 자식까지, 사람의 깊이만큼 기록과 드라마가 그 간극을 벌리는 느낌이었어요. 어디까지나 제 느낌과 전해들을 말이 섞인 댓글이라 저역시 정리가 힘들지만, 이 삼대를 부족한 기록으로 완전히 정리하기는 누구라도 온전히 해내기 힘든 일이지 싶습니다.

blanca 2013-10-28 14:16   좋아요 0 | URL
쟌느님,사도세자에 관련된 부분은 역사를 전공하는 사람들끼리도 갑론을박이 벌어지는 대목인 것 같더라고요. 저는 감정적으로 정조에 기울어 있지만 (승정원일기 삭제는 몰랐어요.) 사도세자가 과연 왕위계승자로서 적합했느냐, 하는 문제에는 저도 고개가 갸우뚱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비극이지만 결국 영조 다음으로 정조가 왕위를 계승한 것이 결론적으로 더 나은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들고요.

기회가 되면 역사를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어요. 하고 싶은 것 아쉬운 것은 많은데 시간은 너무 빨리 가네요. 다시 시작했던 피아노도 한창 열심히 하다 놓아 버리고. 하던 일도 그렇고. 다 다시 잡을 날이 오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