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세잔과 소설가 에밀 졸라는 절친한 친구 사이였다 의절한 것으로 유명하다.
어린 시절 전학온 에밀 졸라가 말을 더듬는다는 이유로 따돌림을 당하자
세잔이 종종 에밀 졸라의 편을 들어 사태를 해결해 주어 이에 대한 고마움의 표시로 에밀 졸라가 사과 한 바구니를
선물하는 것으로 그들의 우정은 시작된다. 하지만 이런 구도는 뒤집어져서 에밀졸라는 <목로주점> 등으로 유명 작가의
길을 걷게 되고 화가 세잔은 그리 큰 명성을 얻지 못하게 되고 만다.
한편 에밀졸라는 세잔의 정물화에 대한 열중을 폄하하는 얘기로 세잔의 기분을 상하게 하다 결국 <작품>이라는 소설에서 자살로 마감하는 비참한 화가의 생애를 그림으로써 세잔과 완전히 절연하게 된다. 세잔은 이 화가가 자신이라고 생각한다.  

글을 쓴다는 것은 또 그것에서 더 나아가 책을 출판한다는 것은 상당히 매혹적인 일이다.
누구나 자신의 글이, 자신의 목소리가 혼자만의 고독한 중얼거림에 그치고 마는 결론에 남는
그 미진한 아쉬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자기 고백의 장인 일기장마저 때로는 누군가 읽을 것을 의식하며 문장을 다듬고 고백의 강도를 낮추게 된다.
하지만 자신의 글이 사적인 영역에서 공적인 영역으로 확대 재생산 되었을 때 그 글이 때로는 자신의 의도와는 다른 방향의 생명으로 꿈틀대고, 나름의 자의적인 해석으로 변환 또는 변질되었을 때, 물론 긍정적인 영향으로 귀결되었을 때는 제외하더라도, 어느 사람의 가슴의 가장 연한 부분을 뚫고 상처를 남기는 무서운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말로 남긴 상처와는 달리 글로 남긴 상처는 세기를 뛰어넘어 남는다, 는 얘기는 무서운 전언 같다. 

직설적으로 자기 생각을 내뱉는 글보다 어쩌면 내러티브를 통해 구성되는 소설적 장치가 더 무서운 파급력을 낳을 수도 있다.
허구라는 장치 속에 마음껏 자기 고백을 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과는 달리, 그 모호성 때문에 주변의 지인들은 소설 속에서
깐죽거리는 친구 지희가 마치 자기를 얘기한 것 같고, 빌빌대며 주인공 주위를 맴도는 호식이 얘기가 자신의 삶 전반을
부정하고 비난한 것이라고 속단해 버린다. 직설적이고 직접적인 지적은 그 명쾌함과 명료함이 규정지어 주는 그 어떤 확실성때문에 차라리 수긍하고 인정하는 것이 쉽다면, 모호하고 광범위한 터치는 모두를 쓸고 갈 수 있는 붓처럼 더 위험하고 도발적이다. 

바로 너야, 라고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행위보다
나랑 닮은 어떤 사람의 비참한 최후를 맞는 것이 나에게는 더 견디기 힘든 확인사살인 것이다. 
이것은 내 삶에 대한 심판과도 같다. 과거와 오늘에 대한 설명과 해석은 감내할 수 있다손 치더라도 나를 견디게 해주는
미래까지 결론지어 버리는 것은 무서운 예고 속에 나의 전체를 옥죄어 버리는 행위로 증폭될 수 있다.
글쟁이가 되는 것은 특히나 소설가가 되는 것은 그래서 더 많은 것들을 각오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또 어떤 책을 읽어나가면서 그 인물에 자신을 대입시키는 행위는 상상력의 풍요로움 속에 현실을 망각할 수 있는
호기일 수도 있지만, 나를, 나의 삶을 어떤 틀 안에 넣어 섣불리 규정지어 버리고 마는 낭떠러지 위로 올라가는 것일 수도 있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뷰리풀말미잘 2009-12-20 23: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왜 그 유명한 얘기를 몰랐을까요! 잘 읽고, 또 제 무식함에 좌절하고 갑니다. ㅎㅎ

blanca 2009-12-21 13:19   좋아요 0 | URL
저도 최근에 라디오에서 들어 알았는 걸요^^ 이 우정에 얽힌 사연이 참 의미심장하더라구요.

순오기 2009-12-24 15: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런 좋은 글을 써주시다니 고맙습니다.
에밀졸라와 세잔의 우정은 그게 한계였군요.

blanca 2009-12-24 16:59   좋아요 0 | URL
우정을 유지해 나가는데 있어 가장 어렵고도 힘든 부분이 상대의 성취에 진정한 박수를 보낼 수 있는가가 아닐까 싶어요. 그리고 그 지점에 한계가 생기는 것 같구요. 유명인들도 예외는 아니었던 것 같아요. 순오기님 크리스마스 행복하게 보내세요!

노이에자이트 2009-12-28 17: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품을 통해서 복수하고픈 마음을 자제해야 한다는데 역시 작가들은 그런 유혹을 벗어나기 힘든가 봅니다.서머싯 모옴<면도날>에는 헨리 제임스를 요상하게 그려서 논란이 있었죠.

blanca 2009-12-28 21:31   좋아요 0 | URL
아, 면도날 읽으셨군요. 읽고 싶다고 장바구니에 넣어두었다 잊고 있었네요. 반갑습니다.^^ 작가도 인간이니까요. 사람은 결국 본질적으로는 다 비슷한 것 같아요.

노이에자이트 2009-12-28 23:39   좋아요 0 | URL
모옴이 우리나라에서 꽤 인기가 있었는데 <면도날>은 인기가 없지요.에밀 졸라도 우리나라에선 인기가 없는 편입니다.

blanca 2009-12-29 12:28   좋아요 0 | URL
일단 모옴 책은 재미가 있으니까요. 달과 6펜스 완전 축약 번역한 거 고등학교 때 너무 재미있게 읽어서 주변 사람들한테 돌렸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 생각해 보면 명작 축약본이라니 경악스럽지만서도. 에밀 졸라는 사실 저도 목로주점이 목로주검인줄 알았을 정도니 말 다했죠^^ 그런데 노이에자이트님이 우리나라라고 하니까 괜히 외국 같이 들려요.

노이에자이트 2009-12-29 16:33   좋아요 0 | URL
그렇죠? 우리나라에선 <달과 6펜스>가 인기있죠.그다지 두툼하지도 않고.이 소설은 폴 고갱을 모델로 했대서 화제가 되었구요.사실 그의 대표작이라는 <인간의 굴레>는 읽기엔 꽤 길죠.
목로주검...음...
실제로 독어는 거의 못하는 수준입니다.독일사,독일소설을 읽는 편이라(물론 번역판) 제가 독어를 잘한다고 오해하는 이들이 있습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