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흥분하는 성격인데 어느 순간부터 내가 제대로 알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흥분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렸다. 
그러니까 자신이 없어져 버린 그 순간부터 분노하는 그 자유를 잃어 버렸다.
대학시절 누군가의 빡빡한 간섭을 비난하다 친구와 동시에
"그런데 그게 아니면 어떡하지?"라고
반문했던 기억은 불길한 복선처럼 결국 그게 아닌 것으로 결론이 나 그 비난의 대상에 속죄의 마음을 가지게 된 경험이 있다.
그에게는 불가피한 사정이 있었다. 우리의 단죄는 그게 아니었던 것이다. 
  

한전총리의 금품 수수설을 또 예전의 그 방식으로 보도하는 언론에 열을 내다 배설처럼 뱉어 버린 짧은 글에
"그런데 그게 아니면 어쩌시려구요?"라는 리플이 달렸다. 보도한 언론이 사실이면 어쩌려고 그러냐는 그 리플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이 서로 싸우고 있었다.
정작 나의 글은 허공으로 떠 버리고. 내가 건진 것은 한전총리를 믿고 싶고 믿고 있는 나의 재확인과,
또 그게 아니면, 이라는 그 아픈 가정.
그게 아니면. 그게 아니면.

잘 모르기 때문에 분노할 수 없다.
그런데 이건 자칫 비겁해질 수 있는 아주 모호한 지점이다.
아니면 알려는 노력을 포기해 버리는 것일 수도 있다.
행동하지 않는 나 자신을 설득해 보려는 하나의 방편일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