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 이덕일의 한국사 4대 왜곡 바로잡기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일인명사전의 발간과 더불어 시의적절한 독서가 아니었다 싶다.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이들의 관련자들이 불만을 떠뜨리는 부분이 '친일'이라는 행위 자체의 판단 기준이 아니라,
친일 그 자체에 대한 용인(생존이라든지)이라는 것에는 정말 경악스럽다. 그러니 좀 봐주라, 이거 아닌가.
그 시대에서 어쩔 수  없이 주어진 체제에 순응해야 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십분 인정하고 들어가도
저돌적으로 충성을 바친 부분까지 참아내 주어야 하는 것인가? 그런 기회주의를 용인하고 감싸안는 배포를 키워
대체 그 하해 같은 너그러움은 어디에 활용하려는 것인가? 이미 지나간 과거의 질곡에 얽매이지 말자는 그들의 논리는
결국, 오늘도 과거로 묻혀 간다는 물리적 한계 속에 지키기 힘든 도덕적 명분 내지 의리 대신 손쉽게 권력에 붙어 가는
자신의 처지들에 어설픈 변명을 갖다 붙이는 것과 크게 다를 게 없다는 생각이 든다. 

  • 한사군(중국고대 한나라가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세웠다는 식민통치기구)의 한반도내 설
  •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 노론사관에 의한 조선 후기사 서술 
  • 현대사 연구 금지론
      

위 네 가지에 대한 실증 문헌을 근거로 한 반박이 이 책의 요체이다. 이 네 가지 왜곡이 사실은 일본의 한반도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식민사관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은 놀랍다. 오늘날의 역사의 대부분이 한국식민사학의 교주 쓰다 소우키치 및 그를 받든 이병도에 의한  것이고 그들에 의하여 고대 국가 설립 시기 및 문명도입시기를 최대한 늦추고 영토 확장 범위를 한반도로 국한해 고대판 조선총독부인 임나일본부를 존속키시고 더 나아가 일제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식민사학의 잔재는 여전히 청산되지 못하고 국고로 운영되는 동북아역사재단에서조차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이덕일의 얘기다. 사실 다른 대목은 같은 얘기가 반복되어 조금 지루한 감도 있었고 워낙 배경지식이 전무하여 의견을 내놓을 깜냥은 못되는 것 같아 지나가고, 가장 관심있었던 정조독살설에 대한 학계의 반응 부분에 대한 얘기를 하고 싶다. 최근에 노론 벽파의 수장 심환지에게 보내는 정조의 어찰첩이 공개되었고 그 어찰을 통하여 드러난 친밀감과 자신의 건강의 악화에 대한 솔직한 토로를 근거로 독살설을 뒤집었다고 주장하는 언론의 반응은 역사의 문외한이 내가 봐도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었다.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터져나오는 정조와 노론 벽파계의 화해 무드(그것도 다 가고 난 마당에) 조성에는 무언가 역사를 그들이 그려가고 싶은 그림에 끼어 맞추려고 버둥거리는 옹색함이 드러났다고나 할까. 그 어찰첩이 공개되었으면 그것으로 그 내용과 문구에 천착하면 될 것인데 갑자기 비등하는 정조 독살설의 이슈화 자체가 무언가 찝집한 구석이 있음을 자인하는 것처럼 보이기까지 하다.  

민감하고 중요한 역사적 이슈들을 대중들에게 설득력 있게 설명하려 했던 그의 의도와 사학계의 강한 비난과 반발을 감수한 그의 용기에 박수를 보내지만 실증 근거들의 나열이 조금 산만하고 집중력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어 아쉬움이 든다. 또한 역사 속에서 대중들은 결국 주인공이 아닌 변방에서 주류들이 그려낸 현상에 대한 전달과 설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터라 인기 작가인 그가 한 얘기가 진실 그 자체여야 한다고 그것을 근거로 목에 핏대를 세울 내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해 부탁 아닌 부탁을 하고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떡벌 2009-11-18 17: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런 이덕일이 좃선일보에서 3년반동안 방상훈의 개가 되어 민주세력과 노무현대통령을 열심히 까댔지요.
좌파라고 씹으면서.....
오늘 박정희가 친일하지 않았다고 입에 개거품을 물더군요.....ㅎㅎ
이덕일의 실체를 알면 사람들이 달라질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