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최고다. 정말. 소설이라는 장르에 회의를 느끼는 사람이 있다면 반드시 이 책으로 시작해보기를 권한다. 허구의 그 허술한 바람 구멍에 인생의 암팡진 의미를 꾹꾹 눌러 담을 수 있는 현대작가. 언제나 머리가 혹은 발이 차가워 역시 소설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으로 책을 덮게 만들지 않는 유일한 작가. 그를 위화라고 부르고 싶다.
한 때 소설을 의도적으로 멀리했었다. 그 어떻게든지 비어져 나오는 보기싫은 뱃살처럼 나에게는 결국 소설은 소설이라는 한계를 자각하게 만드는 그 허술함이 거북했다. 베스트셀러작가이든, 심지어 유수의 고전 작가이든, 작위적인 반전, 입체적이지 못한 인간 군상들이 나는 지금 사실이 아닌 허구를 읽고 있다는 뼈아픈 깨달음을 가지게 하는 것이 진저리가 났었다.
여러 사람이 권하고 무엇보다 피를 팔아 삶을 꾸려 간다는 남자의 얘기, 학창시절 펄벅의 '대지'를 참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결국 허삼관을 만나게 했다. 이 책 일단 너무 재미있다. 근래들어 시계를 보며 가는 시간을 붙잡고 싶어질 정도로 소설을 잡았던 기억은 없었는데 조금만 읽다 잔다는 것이 결국 자정을 넘어 억지로 잠을 청해야 했다. 또한 그 결말이 참으로 기가 막히게 아름답다. 수미상관처럼 억지로 처음과 맞물리게 하는 결말도 지겨웠고, 쓰다 지친 작가들의 필력이 마구 드러나는 듯한 느낌도 싫었었는데 그 둘다 여기에서는 저리 가란다. 그냥 눈물이 또르르, 웃음이 또르르 굴러나온다. 그 만큼 결말이 참으로 자연스럽고도 훌륭하다.
허삼관이 마치 살아 있는 듯한 리얼리티를 획득한 지점은 바로 굉장히 입체적인 인물이라는 점이다. 그는 전적으로 나쁘지도 전적으로 선하지도 않은 딱 앞에도 뒤에도 옆에도 있는 주변 사람들 중에 하나이다. 사실 허삼관의 장자 일락이가 그의 아내 허옥란이 결혼전 마음주고 몸 준 하소용의 아들이라고 마을사람들과 허삼관 본인, 또 허옥란까지 다 인정해 버린 다음에 허삼관이 일락이를 대하는 태도는 지극히 비열하기도 하고 모질다. 나는 말미정도 가서 일락이가 허삼관 친아들이라는 반전이 일어날 것을 기대했는데 세련되게도 작가는 그런 단순한 반전을 사양한다. 여하튼 허삼관이 지독한 가뭄 기간에 옥수수죽에 질려 피를 팔아 마련한 돈으로 국수를 사먹기 위해 일락이만 남겨두고 나머지 두 아들과 허옥란을 데리고 가는 대목은 희극적이면서도 슬프다. 남은 일락이는 고구마를 사먹으며 울먹이며 거리를 헤멘다. 그러나 이 부자의 관계는 이런 일락이를 찾아 헤메다 결국 발견하고 국수를 파는 승리반점 앞에서 극적인 화해를 이룬다. 국수를 사먹이기 위해 승리반점 앞으로 아들을 데리고 가 온화한 미소를 짓는 그가 일락이가 간염에 걸려 상하이의 큰 병원으로 가야 하는 처지가 되자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해 며칠상간으로 계속 피를 팔며 상하이로 가는 모습은 피로 맺어지지 않았다고 단정지은 그 관계가 피보다 더 처절하고 진한 관계로 승화됨을 보여준다.
허옥란에 대한 그의 태도는 또 어떠한가. 겉으로는 허옥란은 혼전 관계를 가지고 자식까지 낳아 뻐꾸기 둥지에 몰래 알을 숨겨 높는 철면피에 부정한 여자라 충분히 비난받아 마땅하며 그를 자라대가리로 전락시킨 장본인임에 틀림없다는 점에 그도 동의한다. 그럼에도 이런 그의 비자발적인 동의 속에 숨어있는 그녀에 대한 진한 애정과 신뢰는 문화대혁명당시 대자보에 '화냥년'으로 비난받아 사람들에게 삭발까지 당하고 이리저리 끌려 다니는 아내에게 꼬박꼬박 밥 속에 반찬을 숨겨 가져다 주는 모습에서 비어져 나온다. 또한 가족끼리 그녀를 비판하는 형식(여기에는 문화대혁명에 대한 작가의 신랄한 비판이 희화화되어 있다.)에서 자신이 유부녀 임분방과 관계를 가진 것을 고백함으로써 아내의 부정을 덮어주려는 오버스러운 용기까지 발휘한다. 그는 아내를 사랑했다. 이상적으로 소설적으로 사랑한 것이 아니라 지난한 삶 속에서 지루하고도 생생하게 아내를 사랑했다. 사랑이라는 추상적인 명제를 더 추상적으로 박제의 틀 안에 가둬버리는, 문학적 이상화의 틀을 위화는 박력있게 부숴 버리고 그 안에 새로운 사랑을 쓴다. 우리네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 지지고 볶고 예쁘지 않은 사랑, 그러나 숨쉬는 사랑, 쉬이 스러지지 않는 사랑.
그의 매혈은 비극적으로 묘사되는 것이 아니라 군데군데 희극적인 요소가 섞여 희비극의 절묘한 직조물을 보는 것 같다. 마치 인생처럼. 그가 피를 파는 명분은 여러가지이다. 아들 친구의 병원비를 물어주기 위해, 맛있는 것을 가족에게 먹여야 겠기에, 아들들의 상관을 잘 대접하게 위하여, 아들들의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하여. 공통의 목적은 바로 '자식'의 안위를 위해서이다. 핏줄인 아들들에게 그 피를 팔아 더 나은 내일을 선물하기 위하여 몸이 다 망가져 가더라도 오직 피를 팔기 위해 헤메는 허삼관의 모습은 부성의 상징이다. 멋있지도 사회적으로 성공하지도 못한 사회의 뒤켠에서 이리저리 치여 한없이 초라하고 남루하게 늙어가는 아버지들. 그 아버지들은 대단히 도덕적으로 훌륭하지도 않고 무조건적인 자식에 대한 희생을 목적으로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지도 않고 그저 누구는 피를 팔고 누구는 때로 상관에게 영혼을 팔고 자존심을 포기하며 오늘도 발 디딜 곳 없이 이리저리 흐느적대며 헤메고 있다.
인생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질곡 있는 서사는 실종되고 단지 방대한 독서량을 전시하고 언어유희에 도착하여 독자를 어렵게 하는 작품을 내놓고 그것이 소설이라고 한다면, 또한 이해하지 못하는 다수에게 내공이 부족하다고 폄하한다면, 그들에게 허삼관이 허옥란에게 마지막으로 한 말로 대응해도 되지 않을까? 그 말은 마지막 문장에 있다는 ㅋㅋㅋ 너무 과해서 숨겨두어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