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투나는 작가. 감히 전업작가에게 경쟁심 생긴다면 참으로 시건방지게 들리겠지만 이 작가는 정말 대단한 사람임이 분명.  

일단 그의 인문학적 지식의 깊이에 두 손 두 발 다 들었음. 운동권이라야 작가 연배가 설명해 주니 넘어가고, 대체 일제 치하 및 독일 전후 상황, 또 천체 관련 지식까지(물론 이는 '코스모스'에서 인용한 것으로 보임.) 그 절대로 대충 넘어가는 법 없는 지식의 깊이와 정확성에 소설은 치열하게 탐구하는 것이라는 명제에 충실한 작가2로 임명함.(이미 한 평론가가 오정희님에게 써 먹었으므로) 

또한 그는 시대 의식 있는 소설과 더불어 말랑말랑한 연애 소설에도 상당한 저력을 보여 주는 보기 드문 작가인 것 같다. 소설도 결국은 작가의 인생을 뛰어넘을 수 없다지만 그는 그럴 수 있음을 보여준다. 치열한 공부로 가능한 것임을. 

이 소설은 보기에 따라 상당히 난삽할 수 있다. 일단 시점의 이동과 시대의 이동이 분주하고, 시대 배경에 대한 개관이 있다지만 관심이 없는 부분이라면 모조리 지루한 것으로 폄하되어 가독성을 떨어뜨릴 가능성이 있다. 진지한 소설이고 ,흥미 본위의 통통 튀는 서사를 기대한다면 글쎄 강추는 못하겠다. 그러나 소설이 소설이상으로 눈을 맑게 하는 경험을 한 번 해보고 싶다면, 그래도 시대를 고민하는 무리들이 언제나 있어 왔다는 데에 안도감을 느끼고 싶다면, 지루한 생활에 청명한 사랑의 추억을 되씹어 보면서 응큼하게 툭툭 웃어보고 싶다면 이 책을 펼치라. 

운동권 학생인 '나'가 또 같은 사회에서 만나게 되는 여자 '정민' , 끊임없는 단서의 결정체로 작용하는 여체의 누드 사진을 불태워 버리려 했던 '나의 할아버지', 한밤에 정민을 오토바이 뒤켠에 태우고 지금 아니면 벗꽃이 절하듯이 고개를 숙이는 터널을 통과할 수 없다고 꼭 지금이어야 한다고 얘기했던 '정민의 삼촌', 그리고 우연히 만난 사내의 분신자살로 인해 인생 통째를 시대에 저당잡혀 버리는 프락치일 수도 아닐 수도 있는 이길용. 마지막으로 그의 이름은 헬무트 베르크. 유태인으로 사랑하는 아내 안나를 두고 수용소의 가스실로 들어가는 동족을 위해 역설적으로 더 즐거운 음악을 연주했던. 그리고 결국은 안나에게 버림받는. 이들을 통해 작가는 얘기한다. 시대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인간 군상. 우연의 사회. 그 사회에서 그러나 행복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인간의 고귀함. 시대적 아픔을 외면하지 않으면서 철학적 성찰까지 나아갈 수 있는 작가의 능력에 박수를 보낸다.  

게다가 그의 제목들은 그 하나하나가 시구같다. 책의 제목도 그렇지만. 제목 짓기에 상당히 능한 듯. 시로 등단했었다는 약력 덕택인지. '지옥불 속에서도 붐붐할 수 있는', '건포도 폭격기와 낙타의 역설'. 이런 제목들은 대체 어떻게 터지는 거지? 질투난다. 서사 전개의 다이나믹함과 문체의 유려함, 둘 다가 능통하니 이건 모. 다만 우연의 남발. 그 누드 사진으로 등장 인물들을 다 엮어 버린 것은 지나친 도식화의 집착으로 보임. 사실 소설적 허구의 가장 취약한 지대에서 김연수도 자유로울 수는 없는 듯. 그렇다고 자기 얘기만 이름 바꾸고 주위 사람들이락 섞어 줄창 해댈 수도 없고. 허구는 그 간들간들한 허리를 툭 치면 바로 쓰러지는 형상이고. 소설이 붙들어야 하는 화두는 참인생 같으면서도 그 스토리가 다들 한 번쯤 살아 보고 싶게 탐나게 만드는 것. 대단히 어렵다. 그러나 그것이 대중들의 요구인 것을. 간질간질한 연애담도 잘 쓰고 여하튼 아주 훌륭한 작가임은 분명한 듯. 아마 팬이 될 것 같다.  

간질 간질 발바닥 긁고 싶은 표현은 이런 것. 

그 순간, 그때까지의 내 인생은 물론이고 과연 있을지 없을지 짐작조차 할 수 없는 내 전생과, 그 전생의 전생과, 그 전생의 전생의 전생과, 그 나머지 모든 전생들까지도 아주 근사한 것으로 바뀌었다. 나는 프랑스 사람들에게 진정을 고마움을 느꼈다. 

정민과 프렌치 키스를 하면서. 이런 표현 정말 근사하다. 좀 일찍 읽어둘 것을 ㅋㅋㅋ 

섭동에 대한 문장도 그때 외웠다. 별들의 집단 내에서 각별들은 중심주위를 돌게 되는데. 이런 운동을 일으키는 주된 힘은 집단 전체의 중력이다. 그러나 별들은 가까이 지나가는 다른 별들로부터 계속 인력을 받는다. 이때 두 전체가 서로 정면으로 부딪치는 것을 충돌이라 하고, 진행경로를 바꾸면서 서로 비켜가는 경우를 조우라고 한다. 조우가 일어날 때에는 섭동을 통해 서로간에 에너지의 주고받음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진행경로와 속도가 변하게 된다. 그게 바로 섭동이다.  

'섭동' 작가는 이길용이 막무가내로 외운 개념으로 가장 중요할 것 같은 이 대목에 설명을 생략했다. 의도적으로. 사실 이 부분에 이 작품의 주제가 함축되어 있다. 집단 전체의 중력. 시대의 영향. 별들은 인간. 섭동과 조우는 인간들 간의 관계. 그가 가장 지향하는 관계는 섭동 같은 관계가 아닐런지. 충돌하지 않고 비켜가면서도 서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서로의 에너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이 아름다운 개념의 발견 만으로 심 봤 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