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 새 시대를 열어간 사람들
이덕일 지음 / 김영사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한비야의 '그건 사랑이었네'가 남긴 선물은 다름아닌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이었다. 추천도서목록으로 나에게 왔고, 사실 1권이 조금 지루한 감이 있어 2권을 며칠 뒤에야 의무적으로 구입해 읽게 된 경우였다. 1권은 주로 정조생전 얘기이고, 2권은 정약용의 유배시절 이야기 위주이다.  
 사실 정약용 일가가 천주교에 음으로 양으로 연루되어 거의 패족이 되다시피 했던 것으로 기억한 바람에 정약용도 천주교도로 오인했었다. 정약용은 천주교를 학문적으로 대상화했고, 결론은 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물론 정조 사후 집권한 노록 벽파가 눈엣 가시처럼 여겼던 약용의 탄압 구실로 심심하면 불러냈던 명분이긴 했지만, 하늘을 보고 형틀에 누워 순교한 막내 형 약종만이 독실한 천주교도로서 천상에 자신의 목숨을 바쳤다. 군데군데 등장하는 천주교도들의 순교 장면은 냉담중인 나의 메마른 신심을 아프게 했다. 자유롭게 믿을 수 있는 자유를 목숨으로 지켜낸 그들에게 나는 어떻게 비쳐질까? 

노론 벽파들을 피해 벼슬길을 떠나 귀향한 약용에게 내린 정조의 유시가 눈물겹다. 

   
  오래도록 보지 못했다. 너를 불러 책을 편찬하고 싶어서 주자소 벽을 새로 발랐다. 아직 덜 말라 정결하지 못하지만 그믐께쯤이면 들어와 경연에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이 두문장 만으로 정조의 정약용에 대한 애정과 배려의 깊이가 가늠된다. 약용은 울면서 올라가지만 도중 정조 승하 소식을 듣게 된다. 최근 발간된 '정조어찰첩'이 노론 벽파 심환지에 대한 정조의 깊은 신뢰를 보여줌으로써 그의 독살설에 반한다지만, 저자 이덕일의 견해처럼 그렇다면 정조 승하 이틀이 가기도 전에 심환지가 정조의 모든 시책을 거의 전복하다시피 한 일련의 행동들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 역겹기 그지 없다. 주류의 역사... 정조는 아직도 보이지 않는 수많은 도당 세력들과 투쟁중이다. 

 여하튼 일련의 탄압정책들은 남인세력인 정약용과 그의 형 약전을 각각 18년, 16년 동안의 유배생활 속에 침잠하게 한다. 이 긴 유배생활 동안 두 형제는 눈부시게 아름다운 승화의 결정체를 각각 다른 방식으로 형성하게 된다. 특히나 형 약전이 유배지 흑산도의 주민들의 지지를 어찌나 열렬하게 받았는지, 동생이 해배되어 만남을 고대하며 밤에 근처 섬으로 가다 주민들에 의하여 다시 끌려 오는 장면은 웃음이 나온다. 또 동생 힘든 걸음을 줄이고자 배까지 타고 나가는 형의 마음은 또 얼마나 절절한가...그러나 정약용의 그 긴 유배생활동안 유일한 독자로 수많은 저작을 해낼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던 약전은 유배지에서 객사하고 만다. 두 형제의 회후는 무한 연기되고 만다. 이 아름다운 동기 간의 우애는 약용이 약전의 사후 자신의 저서 240권을 불태워 버려야 겠다고 할만큼 절절한 것이었다. 
 

 유배지에서도 정약용은 서간으로 두 아들의 교육을 담당하게 되는데 이 부분이 무척 재미있다. 이 두형제는 약용의 기대이하였던 듯, 어찌 책은 아비의 버릇을 잇지 않고 술만 넘어서냐고 호통치는 대목에서는 웃음이 터지고 만다. 장남에게 술을 먹여보니 잘 마신다 했더니 아들의 응수가 걸작이다. 아우는 배라고! 이 부분에서 정약용은 뒷목잡고 쓰러졌을 듯 ㅋㅋㅋ평범한 아버지의 모습과 두 아들의 모습이 연상되어 마음이 따뜻해진다. 

 해배후에도 약용은 조정에 등용되지 못하고 회혼일에 사망하고 만다. 마지막으로 신유박해 때 사망한 이승훈의 말을 인용하며 맺고자 한다.

   
  너희들의 시대는 주류와 다른 생각을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사람을 죽이고, 열린 사회를 지향하는 것을 국가에 대한 반역으로 몰지는 않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