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21 제1405호, 제1406호 : 2022.03.28~04.04 - 21 WRITERS ②, 합본호
한겨레21 편집부 지음 / 한겨레신문사(잡지) / 2022년 3월
평점 :
품절


21명의 논픽션 작가들을 바라보는 글쓰기/다가가는 글쓰기/다른 글쓰기/전문가의 글쓰기로 구분하여 인터뷰했다. 논픽션 작가들인 만큼 자기 분야에서 글쓰기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발전, 슬럼프, 전환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자세, 태도, 노하우 등을 가감없이 솔직하고 심도있게 공유한다. 논픽션 글쓰기를 지향하는 사람들이라면 여느 작법서보다 더 많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양질의 인터뷰가 잘 정제되어 있어 강력 추천한다. 


신형철은 글짓기를 집짓기에 비유한다. 이 공정의 준칙을 설명하는 대목에서 흡사 '인식의 대목장 같은 그의 장인적 태도가 드러난다. 첫째, "취향이나 입장이 아닌" 인식을 생산해낼 것. 둘째, "건축에 적합한 자재를 찾듯이" 정확한 문장을 찾을 것, 셋째, 필요한 단락의 개수를 계산하고 각 단락에 들어가야 할 내용을 배분해 공학적으로 배치할 것.

-1부 시선-바라보는 글쓰기


"취향이나 입장이 아닌" 인식을 생산해낼 것. 이 부분을 곱씹어 보게 된다. 나는 이 지점까지 나아갈 수 있을까. 흔히 사적인 글들을 읽으며 감동이나 공감을 느끼는 대목이 그것이 거창하거나 공적이어서가 아니라 어떤 새로운 인식의 지점을 보여주며 읽는 이들을 소환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여자를 위해 대신 생각해줄 필요는 없다>에서 이라영은 '자기방어나 증오심에서 나온 글, 남에게 명령하거나 반박하기 위한 글, 남을 공격하거나 남에게 사과하기 위한 글이 아니라 사랑에서 나온 글을 써야 한다'는 미국 소설가 유도라 웰티의 말을 늘 떠올리며 글을 쓴다고 했다.

-1부 시선-바라보는 글쓰기

역시 쉽지 않은 대목이다. 그러나 확장적 글쓰기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본 전제인 것 같다. 읽기와 쓰기가 편협함에 빠지면 대단히 위험한 독단적 견해에 빠질 수 있다. 글쓰기는 단단한 구획 안에 고이는 것이 아니라 넘실대는 물처럼 격벽을 부수고 대양으로 넘어가야 한다. 


삶의 도약은 '이질성'을 경험할 때 생기는 거니까요.

-3부 변신-다른 글쓰기

'이질성'을 경험할 때 멈칫하게 된다. 불편하다. 그러나 도약은 그 지점에서 일어난다. 정체되고 안주하고 그저 지나가는 시간 속에 침잠하기란 쉽다. 쉬운 게 답은 아니다. 어렵고 불편한 게 때로 나를 성장시킨다. 


이 밖에도 이슬아 작가의 장인적 글쓰기(그의 젊음과 의욕과 현명함이 참 부러웠다), 잘 몰랐던 채사장 작가의 내밀한 고백들(오늘의 그는 도스토옙스키가 만들었다, 놀랍다), 김하나 작가의 글 잘 쓰는 노하우 방출(나도 마인드맵을 그리고 싶다) 등 어느 하나 사소하거나 진부한 내용이 없다. 글쓰기에 관심이 없어도 각 분야에서 성취를 이룬 논픽션 작가들의 저마다의 인생사가 압축되어 있으니 그 자체로 즐거운 읽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