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 년도 더 전에 조그만 대리점을 경영하시는 사장님이 그랬다. 예전의 번듯한 직장을 나오니 자신은 졸지에 아무것도 아닌 사람으로 변해버렸더라고. 그리고 나도 직장을 나가면 마찬가지일 거라고. 그 말이 기분 나쁘지는 않았지만 가슴에 와닿지는 않았다. 어떤 조직 경계 안과 바깥의 내가 같은 사람인데 단지 그 조직을 나가는 것만으로 내가 전혀 다른 대우를 받게 될 것이라는 그의 말은 어렵고 추상적으로 들렸다. 그리고 그것을 다소 섭섭해하는 그 감정은 무엇인지도 뭐라 특정할 수 없었다. 결국 누구도 조직에서 대우 받던 것을 그리워하는 것이지 갑을 관계의 지배구조를 그리워하는 것은 아니리라.


흔히 어떤 사람의 직업은 그 사람 자체를 규정한다. 그 조직 안에서의 위계는 심지어 평생을 따라다닌다. 상사는 영원한 상사라는 인식, 부하 직원은 회사 바깥에서도 마주친 그와의 위계를 실감한다. 서로가 다 잊어야 함에도 그렇다. 그것은 불합리하고 비이성적이다. 때로는 폭력적이다.


















편혜영의 소설집의 <홀리데이 홈>을 읽으며 많은 생각들이 지나갔다. 이것은 살아 있는 현재진행형의 이야기다. 군에서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되어 나온 이진수는 아내 장소령의 시선으로 묘사된다. 그 둘은 사랑해서 결혼했지만 모든 것을 나누는 관계는 아니다. 아내에게 다정한 남편도 바깥에서는 천하의 몹쓸 놈이었을 수도 있다. 그는 부하 병사들에게 가혹했다. 권위적이었고 폭력적이었다. 그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된 수준이 아니라 더 큰 역할을 하고 눈을 감아버린 것일 수도 있다. 그들은 이진수에게 돌아온다. 


"그는 권위와 위계를 칭찬으로 여겼다."가 이진수를 묘사하는 말이라면 "나는 부하가 아니잖아요."라고 외친 그들은 대척점에 놓여 있다. 이 사이의 긴장감의 밀도가 높다. 이것은 군이라는 설정으로 극대화되어 있지만 결국 우리 사회 전체가 내재하고 있는 폭력이 일어나는 지점이다. 복종하고 순응하도록 내리누르는 그 위계는 때로는 너무나 교묘하게 설계되어 있어 잘 정비된 조직의 체계로 오인된다. 그것을 자각하는 자는 위험한 존재다. 무비판적으로 순응해야 해야 조직은 쉽게 굴러간다. 불편하고 느리고 곤란한 상황을 대부분의 사람들은 좋아하지 않는다. 편혜영은 그것을 기민하게 인식해서 그린다. 특정 상황은 그러나 이질적이지 않고 반드시 그와 유사한 어떤 공통점을 지닌 각자의 경험으로 환원된다. 그것은 분명 큰 힘이다.


지배하고자 하는 것은 거대하지만 허룩한 힘이다. 인간에게는 이것에 대한 욕망이 있다. 사람도 상황도 통제하고 싶어하는 마음은 지배욕으로 비틀어진다. 거기에서 적절하게 제대로 돌아설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은 어렵기 때문에 더 중요하다. 자신의 삶과 상황을 통제하고자 하는 힘도 그렇다. 그것은 반드시 불가능한 지점이 있다. 그것을 포착하는 것도 대단히 어렵다. 안 되는 것은 안 되는 것이다. 절망적일지라도 그렇다.


편혜영을 읽으며 그러한 일들에 대해 많이 생각했다. 잘 읽히고 여전히 긴장감을 잃지 않는 이야기는 삶과 닮아 있어 낯설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