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공인인증서 갱신을 제대로 못 하여 도움을 요청하는 모습을 볼 때 작은 충격을 느꼈다. 점점 부모의 그늘에서 나는 밀려나고 오히려 연로해지시는 부모님의 보호자 역할을 담당해야 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는 실감은 머리보다 마음으로 오는 것이었다. 언제나 나보다 크고 더 많은 것을 알고 더 할 수 있는 것이 많았던 부모님과의 시간은 가끔 정말이었을까? 하는 의문마저 든다. "내가 아이였을 때"가 진짜 있었을까? 끊임없이 다시 고쳐쓰는 기억들. 그 일은 정말로 있었을까? 내가 기억하고 만들어 나가는 나의 삶의 총체적 서사의 기반은 너무 빈약한 것이 아닐까? 기억들의 집은 어느 허술한 곳을 툭 치면 그대로 무너지는 게 아닐까? 나는 모두 자신의 과거 추억들을 회상하고 그 이야기들을 현재에 통합하며 살아 나가는 것인 줄만 알았다. 그런데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는 사실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심지어 과거를 거의 회상하지 않고 미래에도 기대지 않으며 오직 '지금'만을 응시하는 삶도 있다는 것.


사람들은 명확하고 구체적인 서사를 숙고하지 않고도 가치있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심화할 수 있다. 잘 사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완전히 비서사적인 프로젝트다.

-갈렌 스트로슨 <불면의 이유>
















철학자 저자인 스트로슨은 '자유의지'와 '삶의 서사성'을 부정한다. 신의 이야기나 우주의 섭리까지 접근하여 결정론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더 커다란 우리가 도저히 알 수 없는 차원에서의 내려다보는 인간 개개의 삶의 파편을 냉정하게 응시한다. 쉽게 이해하기 힘든 대목들,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들도 많았지만 그가 인용하는 카뮈, 아이리스 머독은 그가 부정하는 삶의 서사성보다 왠지 더 문학적인 것 같다. 내가 지금 여기에서 끊임없이 느끼는 괴로움들을 새로운 시각에서 조망할 수 있어서 의미 있는 읽기였다는 생각이 든다. 끊임없이 의미를 찾아 헤매고 어떤 빈약한 인과관계를 찾아 헤매려는 그 무용한 시도를 그칠 수 있었다고 할까. 죽음도 인간의 기억도 자유의지도 자아도 우리가 지금 여기에서 집착해야 할 실체를 지닌 것은 아닌 것이라는 이야기는 오히려 위로가 된다.

















정희진의 책은 처음이다. 게다가 <정희진의 글쓰기2>로 순서도 지키지 못했다. 여성학 연구자의 읽기는 내가 무심코 지나쳤던 여러 현상들을 멈추어 다시 들여다보게 하는 시간을 주었다. 여성주의 독법은 부가적인 선택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성차가 어떤 위계의 시선과 영원히 결별하지 않는한 근본적인 인식의 여과체가 되어야 한다는 깨달음은 놀라운 것이었다. 호흡이 짧은 글들임에도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쉽게 책장이 넘어가지 않는다. 치열한 글쓰기는 필력이 아니라 사유에서 나온다는 근본적인 명제를 다시 보여준 책이다. 그녀가 스스로를 알기 위해 쓴 글들은 때로 읽는 자들의 지축을 흔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