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살 때부터 열한 살까지 피아노를 배웠다. 정확히 체르니 50번의 1번까지 마쳤다. 집안이 넉넉해서도 재능이 넘쳐서도 아니었다. 지금 와서는 본인이 피아노를 배우고 자유롭게 피아노를 연주하고 싶었던 엄마의 마음과 열정이 빚어낸 우연이었던 것 같다. 엄마는 내가 피아니스트가 될 수 있다고 때로 믿었던 것 같다. 지금도 공부하라고 닦달하던 엄마의 모습이 아닌 피아노 연습하라고 잔소리하던 모습이 떠오른다. 사학년 때 그만둔 피아노로 참 길게도 덕을 봤다. 중학교 때 아이들 앞에서 한창 인기였던 소피 마르소 주연의 '라붐'의 영화 주제가를 연주했던 기억, 고등학교 때 기악 시험 합주에서 굳은 손가락으로 엉망으로 친 피아노 때문에 음악 선생님께 신 나게 야단맞고 다시 연습해 제대로 완주했을 때 받은 칭찬, 둘째를 가지기 전 동네 아이들과 함께 다닌 피아노 학원. 


잠시 남들보다 조금 더 일찍 시작했고 많은 시간을 투자해 한 연주로 마치 재능있는 아이인 것처럼 착시 효과를 주던 시절에도 나는 내가 열정도 소질도 없음을 알고 있었다. 이게 본격적으로 문제가 된 것은 바흐를 치면서부터다. 바흐는 정말 그렇게 행복한 대가족으로 충만한 삶을 살았다면서 빚에 시달리고 요절한 모차르트보다 가혹했다. 왼족 새끼 손가락까지 오른손 엄지 손가락의 강도와 활용을 요구하다니. '바흐인벤션'은 나를 결국 피아노앞에서 몰아냈다. 한 마디로 양손을 충분히 흠뻑 사용하기를 바라는 그 기대치를 나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음을 깨달았다. 나의 왼손은 왼손다웠다. 피아니스트가 되려면 피아노를 전공하려면 그러한 평범성은 당연히 제약 요인이었다. 진지하게 피아노를 그만 치고 싶다는 나의 요청에 응한 엄마의 마음을 지금도 모르겠다. 이제 더 이상 억지로 끌고 갈 수는 없음을 알고 체념했던 걸까. 엄마가 그렇게나 염원했던 음악가에 대한 열망은 아무도 실현시켜주지 못했다. 지금도 엄마도 왜곡된 기억을 가지고 있다. "너는 피아노에 소질이 있었다."

















이 책의 저자 버지니아 로이드는 그러한 평범했던 나보다 훨씬 재능이 있었다. 피아노를 시작한 나이는 나보다 많았지만 무려 13년간 피아노를 배웠고 고등학교 조회 때는 학교 조회에서 대표로 반주를 했고 절대 음감을 가졌다. 고등학교 졸업 20주년 동창회에서 많은 이들이 그녀가 피아노를 여전히 칠지 궁금해할 정도의 피아니스트로서의 유망한 전망을 지녔던 소녀였다. 이 책에는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가 되지 않은 여자의 피아노에 얽힌 일종의 애증의 연대기를 손녀와 비슷하게 음악적 재능을 지녔던 할머니 앨리스의 삶과 교차시키며 짚어가고 있다. 여성이 음악, 특히 피아노 연주에 소질과 재능을 보여도 남자들과는 달리 전문 음악가로서의 삶을 누리지 못하게 되는 구조적 한계, 또한 클래식 연주 위주로 형성된 음악계에서 즉흥연주나 재주에 관심을 가질 때 그것이 일종의 일탈로 간주되는 경직된 시선에 대한 이야기는 왜 그 많았던 '피아노 앞의 여자들'이 피아노 앞을 떠나게 되는지에 대한 하나의 거대한 방증이다.


피아노를 매개로 버지니아 로이드도 할머니 앨리스도 인생에서 가장 큰 상실의 시차를 공유한다. 앨리스는 아이를 잃은 슬픔을 결국 장차 버지니아를 낳게 될 버지니아의 아버지를 입양함으로써 치유하고 버지니아는 양지에 내어놓을 수 없었던 즉흥연주에 대한 열망을 재즈 피아니스가 됨으로써 실현한다. 결국 할머니 앨리스는 손녀인 이 책의 저자 버지니아를 얻게 됨으로써 자신의 고향에 두고 온 음악에 대한 애정을 실현하게 되는 셈이다. 


피아노는 그녀의 정체성이다. 내가 지금 피아노를 치지 않는다고 해서 그 숱하게 울며불며 매달렸던 그 고투의 시간들이 무의미해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손가락은 끊임없이 굳는다. 한 달만 피아노를 치지 않아도 손가락은 내가 연주하고 싶은 선율을 어색하게 튕겨낸다. 그래도 여전히 쇼팽의 에튀드 중 '나비'를 연주해보고 싶다는 마음은 사그라들지 않는다. 등뒤에서 속도가 빨라지지 않나 나를 감시하는 선생님도 연습을 제대로 하지 않는다고 야단치는 엄마도 아닌 나 홀로 내가 진정으로 원해서 하는 연습으로 기계적인 타건이 아닌 쇼팽이 원했던 바로 그 느낌, 그 연결에 가까이 가 닿는 느낌으로. 그게 나의 버킷리스트 중 하나다. 왜냐하면 나의 정체성 속에서 피아노는 여전히 패배감으로 기억되는 말줄임표이므로 무언가 제대로 된 마침표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언젠간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낭만적인 믿음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