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고통을 헤아리기란 어렵다.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게다가 그것이 자신이 도저히 어쩌지 못할 국가재난 사태나 자연재해일 경우 외부자의 시선은 더욱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한편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그 시선은 감정적 동요나 주관적 편견을 극복하고 투명하고 넓은 지평을 제공해 줄지도 모른다. 
















2011년 3월 동일본을 강타한 쓰나미의 대참사는 원전의 폭발로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영국의 외신 기자 리처드 로이드 페리가 르포 형식으로 쓴 이 책은 그 쓰나미의 직접 피해지역인 작은 어촌 마을 오카와의 초등학교의 아이들 몰살에 관련한 6년에 걸친 취재의 기록이다. 비교적 재난방비가 체계적으로 잘 되어 있다고 알려진 일본에서도 한 초등학교 아이들이 교사의 지시에 따랐음에도 거의 전원이 죽음에 이른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저자는 오카와 초등학교를 다니던 아이들을 잃은 학부모들과의 심층면접으로 평범한 하루가 어떻게 예기치 않은 대재앙으로 붕괴되는지 그 상흔 속에서 사람들은 과연 다시 불행을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내밀하고 통찰력 있는 이야기를 조심스럽게 해나간다. 이야기는 현 아베정권에 대한 전반적인 혐오에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는 일본 대다수의 국민성에 대한 분석으로까지 확장된다. 



오카와가 위치한 도호쿠 지역은 역사적으로도 고립되고 낙후된 이미지가 강했다고 한다. 쓰나미와 지진에 대한 학교의 매뉴얼은 형식적이었고 관료주의에 찌든 교사진은 실제 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처가 안이해서 아이들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쓰나미가 오는 방향으로 아이들을 몰고 가는 우를 범했다. 그것은 어떤 대단한 음모가 아니라 평범한 우둔함과 어리석음이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유일하게 살아남은 교사는 아이들을 찾아 울부짖는 학부모들을 피해 다니며 자신의 알리바이를 조작한다. 아이의 시신을 찾으려는 노력은 행정당국이나 학교보다 부모들에게 더 처절한 것이었다. 심지어 한 엄마는 딸아이를 찾기 위해 자신이 직접 중장비 기사 자격증을 취득해서 땅을 판다. 가까스로 아이를 찾아낸 엄마는 아무리 아이에게서 닦아내도 없어지는 않는 진흙 앞에서 절망한다.


"우리는 우리가 아이들을 양육하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시토 사요미는 말했다. "그러나 우리는 아이들에 의해 키워진 것은 바로 우리, 부모들이라는 것을 깨달았어요. 우리는 아이들이 우리 가운데 가장 약하고, 그래서 우리가 그 애들을 보호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나 그 애들이야말로 주춧돌이었어요. 다른 모든 조각은 그 위에 의존하고 있었어요. 

-리처드 로이드 패리 '구하라, 바다에 빠지지 말라'


아이를 잃은 부모들 간의 갈등과 내분에 대한 이야기도 슬프다. 상실의 스펙트럼은 너무나 넓어서 그 안에서도 차이와 차별이 있었고 서로에 대하여 느끼는 감정의 골이 때로 그들을 싸우게 했다. 더욱 적극적으로 책임자를 가려내고 진실을 파헤쳐야 한다는 의견은 자신들의 동료들을 공격해야 하는 민감하고 어려운 위치에 있는 다른 학부모들의 저어와 충돌했다. 어제까지 함께 잃어버린 아이를 찾아다녔던 관계는 서로를 반대편의 스파이로 오인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이것은 또한 공권력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에 두려움을 가지는 일본의 국민성과도 만나는 이야기였다. 체념과 순응의 정서는 진실의 규명을 위해 취해야 하는 여러 적극적인 절차에 대한 두려움을 낳았다. 쓰나미는 숨겨져 있던 많은 것들을 수면 위로 드러냈다. 그것은 때로 불편하고 숨기고 싶었던 이야기들이었다. 


우리의 어제와 같은 나날들은 사실 갑작스럽게 붕괴될 수 있는 한없이 연약하고 불완전한 나비의 날개 같은 것이다. 외부에서 충격이 주어지면 찢어져버고 만다. 인간이 다른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생살 같은 아이를 속수무책으로 잃어버린 경험은 사실 우리에게 낯선 것이 아니다. 그 과정에서 불거진 이야기들에 닮은 구석이 많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아이들을 고의가 아니었다 하더라도 결국 사지로 내몰고 혼자 살아남은 교사 대신 끝까지 아이들과 함께 마지막을 맞이한 많은 교사들이 있었다. 


"오늘 평결이 무엇이든 간에 우리가 지금까지 해온 경험의 총합을 더하게 될  것입니다. 부모로서 이 일을 하는 것이 우리의 책임이었습니다. 이것이 아이들을 세상에 나오게 한 일이 가지는 의미의 일부입니다.<중략>"


법정에서 부모들을 대변한 변호사의 이야기는 많은 울림을 가진다. "아이들을 세상에 나오게 한 일이 가지는 의미의 일부"로써 진실을 규명하려 애쓰고 사후 대책을 수립하는 일이 그토록 절실한 이유다. 가장 소중했던 것을 잃어버린 부모들이 여전히 그 현장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까닭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