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테판 츠바이크가 읽는 일에 대한 의미를 재정립한 계기에는 일화가 있었다. 여행 중에 만난 이탈리아 소년 덕이었다. 츠바이크는 이 매력적인 소년과 금세 친해져 남다른 교감을 나눈다. 그러다 우연한 계기로 소년이 문맹이었음을 깨닫고 경악한다. 아름답고 지적으로 보였던 소년이 자신에게 온 연애편지조차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다는 사실은 츠바이크로 하여금 경천동지할 놀라움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그에게 있어 읽는 일이란 하나의 다른 세계로의 확장이었고 "모든 지식과 학문의 시작을 이루는 알파와 오메가"였기 때문이다. 소년에 대한 강렬한 연민은 역설적으로 그가 독서를 통해 경험한 세계의 깊이와 넓이에 대한 방증이었다. 여기에서부터 그의 북리뷰는 시작한다.

그가 얘기하는 동화로의 회귀는 끝내 죽음에서 탈출하고 만 [천일야화]의 드라마는 루소의 '변혁'은 발자크의 통속성은 남다른 통찰을 지닌다.
독서의 동기는 늘 자기 세계의 경계를 넘으려는, 낯선 것 안에서 길을 잃으려는, 그러면서도 동시에 책 속의 비유에서 자신을 되찾으려는 충동일 뿐이다.
-p.33
삶의 불완전성과 불가해성과 파열음은 그러니 그가 얘기하는 독서의 지형도에서 아낌없이 흩어져 있어도 다시 현실로 돌아나오는 출구를 찾고야 만다. 책 안에서의 세계와 우리의 현실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지만 만나고 어긋나고 충돌하며 상승 작용을 일으킨다. 읽는 일이 능사도 아니고 모든 해답을 품고 있는 것도 아니지만 책이 아니라면 우리는 확장될 일도 돌아올 길도 없다.
나날의 전쟁터에서 모두 전사인 우리들은 그래서 끊임없이 읽고 회의하고 사유하고 아쉬워해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