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람도 나도 잘못한 것이 없는데 어긋나버리는 경우가 있다. 세 번 연락할 걸, 두 번으로, 그러다 점차 연락하지 않는 기간, 공유하지 않는 사연들, 떨어져 있는 시공간이 착착 쌓이다 보면 다시 카톡을 보내는 것이 왠지 겸연쩍어지는 시간이 온다. 그리고 관계는 그렇게 끝난다. 예전에는 그런 관계의 단절에 속상해했다. 아쉬워했다면, 이제는 그러한 관계의 소멸에 그냥 수긍하게 된다. 물론 아쉬울 때도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함께 했던 시간들이 사라지는 건 아니다. 함께 나누었던 것들은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다. 겹쳤던 시간은 거기 그대로 고여 있다. 




 

그러기를 수없이 반복한 끝에 나는 서서히, 내가 애초에 그리고 싶던 것은 관계의 파탄이나 단절의 순간이 아니라, 어떤 관계가 꽃처럼 피었다가 결국 져버리는 과정 그 자체였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말하자면 관계의 생로병사 같은 것.

-백수린 <작가노트>


 

















작가 백수린의 '작가노트'에서 내가 찾고 싶었던 그 표현을 마주친다. "관계의 생로병사" 작가는 <시간의 궤적>에서 프랑스에서의 한 '언니'와의 결국 어긋나버린 인연의 궤적을 그려나간다. 한때는 모든 것을 공유했던 사이가 어떻게 소원해지는지 서사는 진폭이 크지 않은데도 살면서 놓치는 자잘한 것들을 낙낙하게 주워담는다. 왠지 아련하면서도 아름다운 이야기에 백퍼센트 공감하게 된다. 소설이란 이러한 것들을 이렇게 막연히 추측하고 생각했던 것들을 생생하게 또렷하게 다시 길어올려 삶의 이야기에 통합시킨다. 


종인 선배는 동시녹음기를 어깨에 걸어 메고는 붐 폴을 양손으로 세워 쥐고 미동도 없이 우뚝 섰다. 조연출 누나는 이번에는 검지를 입술에 올리며 조용히 따라붙으라고 손짓했다. 뒤를 돌아보면 역광을 받은 채 빛나는 선배와 그 아래로 붐 폴의 그림자가 더는 늘어날 수 없을 만큼 길게 늘어져 있었다. 그건 정말 아름다운 모습이었고 나는 수업시간에 주워들은 숭고, 라는 단어마저 떠올려버렸다.

-김봉곤 <데이 포 나이트>

김봉곤은 이성애자도 공감할 수밖에 없는 공감의 영역을 자신의 사랑의 묘사에서 여지없이 찾아낸다. '내'가 사랑에 빠지던 그 순간, 나도 '숭고'까지는 아니더라도 그 비슷한 경외감을 느꼈던 시간을 불러세웠다. 그 시간, 다른 경험치는 그의 언어의 색깔이 소환하는 그 구체적 상황을 넘어서서 각자의 그 시간, 공간을 복기하게 하는 마력이 있다. 이 작가는 특별한 얘기를 통해 보편적인 정경을 떠올리게 하는 능력이 있다. 


회상의 대가는 뭐니뭐니도 프루스트다. 그의 묘사는 점묘법이다. 어찌나 치밀한지 어지러울 정도다. 그는 기억을 언어의 그물로 짜 현실로 복원한다. 늙고 죽을 것을 항상 의식하지 못하는 인간의 속물성이 그 앞에서는 여지없이 드러나 해체된다. 


















이미 끝나버릴 것을 안다고 해도 그 시간을 현재형으로 사는 회상의 주체인 '나'는 현실을 소용 없는 일들, 허물어져 버리는 것들로 여전히 성실하게 채운다. 끝을 안다고 해서 시작조차 하지 않는 일은 없다. 여전히 욕망하고 시작하고 들뜨고 설레어한다. 다만 화자는 조금 더 알 뿐이다. 약간 더 현명할 뿐이다. 늙음이 가져오는 체념의 정서는 현실에 간섭하지 못한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미덕은 그것일 것이다.


그러니까 또 다시 시작한다. 다시 기대한다. 나눈다. 같이 웃는다. 벚꽃처럼 다 질 것을 알지만 그 아름다움에 또 다시 숨막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