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피질이 이웃 영역들에 자리를 빼앗기지 않게 하려고 꿈이 존재한다는 것이 우리의 가설이다. 사실 지구의 자전은 촉각, 청각, 미각, 후각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오로지 시각만이 어둠 속에서 고생한다. 그 결과로 시각 피질은 매일 밤 다른 감각들에 점령당할 위험에 처한다. 영역 변화가 얼마나 빨리 일어날 수 있는지(조금 전 40~60분이라고 했던 것을 기억하자)를 감안하면, 이건 만만치 않은 위협이다. 따라서 꿈은 시각 피질이 점령당하지 않게 막아주는 수단이다.

<3장 내면은 외면의 거울 中>
- P70

아마 그래서 우리가 꿈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것 같다.(...) 꿈 수면의 핵심적인 목적이 이웃들과 싸우는 시각 피질을 돕는 것이라면, 꿈의 기억을 굳이 저장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3장 내면은 외면의 거울 中>
- P73

우리 모두 이런 ㄴ미래를 바라겠지만 불가능한 일이다. 이유는? 기억은 이전에 있었떤 모든 일의 함수이기 때문이다. B-22 헬리콥터 조종법을 익힐 때 어떤 사람은 오토바이를 타는 법과 비슷하다는 사실을 기준으로 헬기 조종법을 암호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사람은 어렸을 때 말을 탄 경험이 있어서 그때의 기억 위에 헬기 조종법이라는 지식을 쌓는다. (...) 이처럼 사람마다 한 가지 과제를 이해하는 방식이 다르기 떄문에, 모든 사람의 노에 업로드할 수 있는 표준 자료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컴퓨터의 경우와 달리, 사람에게 헬기 조종에 관한 ‘가르침‘은 파일이 아니라는 뜻이다. 각자의 지식은 그 전에 직접 겪은 모든 일과 함께 묶여 있다.

<10장 기억하나요 中>
- P317

넬슨 제독을 다시 예로 들어보자. 그는 총에 맞아 팔을 절단한 뒤, 사라진 팔이 왠지 그대로 있는 것 같은 느낌에 평생 시달렸다. 과거 그 팔의 촉각을 담당했떤 피질 영역이 이제는 얼굴의 촉각에 반응하게 되었는데도, 그곳과 이어진 뇌의 다른 영역들은 여전히 거기서 팔에 관한 정보가 들어오기를 기대했다. 다시 말해서, 속도가 느린 심층부의 층들은 그 영역의 활동을 계속 팔의 감각으로 해석했다는 뜻이다. 이로 인해 사라진 팔이 존재하는 것 같은 혼란이 생겨나는 것은 신체 일부를 절단한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현상이다. 넬슨 제독이 팔의 존재를 확신한 것은 심층부의 층들이 그에게 그렇게 말한 탓이었다.

<10장 기억하나요 中>
- P3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꽤 많이 도움을 받았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대로 된 SF를 만난 느낌.

예전에 테드 창의 <당신 인생의 이야기>를 읽었을 때 느꼈던 경이로움과

'이게 무슨 소리여?' 하며 앞부분부터 다시 들춰읽었던  추리소설 <벚꽃 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하네> 의 기억이 떠오르는 그런 반전들을

오랜만에 다시 느꼈다. 


이 소설집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은 역시나 <다섯 번째 감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읽는 진화심리학>

최근 몇 권 읽었던 진화심리학 관련 대중서들 중 가장 재미있고 쉽게, 그리고 자세하게 진화심리학에 대해 알려주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장에서 한 남성이 배우자로서 지니는 가치는 주로 그의 재산, 지위, 권력에 따라 결정되는 반면, 배우자로서 여성의 가치는 주로 그녀의 젊음과 신체적 매력에 따라 결정된다고 한 점을 기억해보자. 이 말은 곧 아버지는 자신의 부와 지위, 권력이 얼마나 많든 적든 관계없이 자기 아들이 반드시 물려받도록 해야 한다는 얘기다. (...) 그 아들이 조금이라도 더 물려받을수록 그가 번식에 성공할 기대치는 더 커지기 때문이다. 이와는 뚜렷하게 대조적으로, 아버지(아니면 어머니도) 자기 딸이 번식에 성공할 기대치에 영향을 미칠 길이 거의 없다. 일단 딸이 태어나면, 그 부모가 그녀를 계속 젊게 유지시키거나 신체적으로 더 매력적이게 만들어줄 방법은 거의 없다.

<4장 결혼 中>

- P140

두번째 답은 부모도 때로는 가혹한 선택을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부모는 모두, 심지어 부유한 부모일지라도, 제한된 자산을 가지고 자기 자식에게 투자를 한다. 그들이 아이 하나에게 쏟아 붓는 모든 돈, 모든 시간, 모든 노력은 곧 다른 아이에게는 줄수 없는 돈, 시간, 노력이다. 따라서 부모는 그들의 진화된 심리적 기제로 인해 최대한 효율적으로 자산을 투자할 수밖에 없으며, 이것은 대개 자식 중 번식 가능성이 암담해 보이는 아이를 희생하여 번식 성공도가 가장 우수할 가능성이 보이는 자식에게 보다 많이 투자한다는 얘기가 된다.

<6장 범죄와 폭력 中>

- P178

인종이 다른 사람들을 매일같이 마주치는 것은 인간 진화의 역사 속에서 아주 최근에서야 일어난 현상이므로, 인간의 뇌 속에는 나이나 성별에 관해서는 타고난 범주가 있지만 다른 인종에 관해서는 타고난 범주가 있을 수 없다.

<8장 종교와 갈등 中>

- P230

어떤 사람이 특히 성인기에 이르러서 신앙심이 깊은지 그렇지 ㅇ낳은지는 대부분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사람의 뇌에는 종교적인 사고와 경험을 관장하는 특정 부위가 있따. 하지만 이렇게 종교를 적응의 한 가지 형태로 설명하면 한 가지 심각한 문제에 봉착한다. 바로 ‘종교는 어떤 적응 문제를 풀도록 설계된 것인가?하는 문제다. 신앙심이 깊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오래 살거나 번식 성공도가 훨씬 높기라도 한가?

<8장 종교와 갈등 中>

- P231

여자가 남자보다 위험을 더 싫어하고 신앙심이 더 깊을 뿐 아니라 위험을 더 싫어하는 남자는 위험을 추구하는 남자보다 신앙심이 더 깊으며, 위험을 싫어하는 여자는 위험을 추구하는 여자보다 신앙심이 더 깊다.

<8장 종교와 갈등 中>
- P238

또 다른 핵심 요소는 순교를 하면 천국에서 72명의 처녀가 기다리고 있따는 이슬람교의 약속이다. 이것 때문에 지구상의 번식 기회에서 배제된 젊은 이슬람교도 남자에게는 순교자로서 천국에 가겠다는 강력한 동기가 부여도니다. 천국에서 72명의 처녀를 혼자 다 차지할 수 있다는 기대는 이 세상에서 짝을 하나라도 얻은-엄격한 일부일처제에서는 이를 보장한다-사람에게는 그다지 솔깃한 얘기가 아닐지도 모른다. 하지만 일부다처제 때문에 이 세상에서 완전히 번식 낙오자가 된다는 처절한 현실에 직면한 사람에게 그러한 기대는 무척 매력적이다.

<8장 종교와 갈등 中>
- P2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