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핀 해바라기 크레용 그림책 28
제임스 메이휴 지음, 사과나무 옮김 / 크레용하우스 / 2001년 8월
평점 :
절판


할머니와 꽃씨를 심다가 갑자기 비가오자 케이트는 미술관에 갑니다. 그림을 보던중 고흐의 해바라기 그림에 있는 해바라기씨를 마당에 심고 싶어진 케이트는 그림으로 손을 뻗었는데 신기하게도 해바라기가 만져지는 겁니다. 아이쿠... 꽃병이 흔들려서 미술관 바닥으로 떨어져고 꽃과 씨가 흩어져버리고..근처에 걸린 고갱의 <춤추는 브르타뉴 소녀들> 이라는 그림에서 웃음소리가 들려와 그림 속으로 뛰어들어가 소녀들에게 꽃병 치우는걸 도와달라고 하지요.

소녀 한 명이 아끼는 강아지와 함께 나와서 해바라기 꽃을 제자리에 놓으려고 하는데 이번에는 강아지가 꽃을 물고서 고흐의  <밤의 카페 테라스>라는 그림속으로 뛰어가 버리네요.작은 소동은 계속 이어지고..결국은 잘 마무리 짓고 케이트는 주머니에 해바라기 씨앗을 가져갈수 있게 됩니다.

굳이 명화가 아니라고 해도 그림속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하면서 일어나는 작은 모험이 재미있습니다.  아이에게 자연스럽게 명화를 보여줄수 있다는 것이 엄마로서는 좋기도 하지만, 일단 내가 좋아하는 고흐의 그림 몇점을 볼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마지막페이지에 고흐.고갱.세잔에 대해 쉬운말로 간단하게 설명해 놓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준이 이모 결혼식을 마치고 좀 쉬다가 충주로 내려오는 길에

오늘은 한강 다리를 눈여겨 보았다. 색색깔 조명으로 이쁘게 꾸며진 다리를 구경하느라

한강 다리중 하나가 폐쇄가 되었다나 뭐라나.하믄서..아빠가 길을 몰라 헤메는 시간이 지루하지 않았지. 

"강위에 거울이 떠있는거 같다"는 한준의의 표현을 기억하고 싶어 적는다.

어떤 다리를 지나가는데 일렬로 된 다리의 불빛은 배 같고. 그 뒤에 보이는 건물은 연기같다나? ㅎㅎ

http://blog.naver.com/simon982.do?Redirect=Log&logNo=20001541918

며칠전에 같이 본 <지하철은 달려온다> 라는 그림책을 보면서 광화문과 이순신장군 동상. 세종문화회관을 보면서 서울에 살면 보여줄수 있었을텐데..하는 아쉬움이 남았는데 오늘 마침 그곳을 지나가게 되어 볼수 있었다.  이 책에서 사람을 지하철 승차권으로 표현한 점이 인상깊었나보다.

아빠가 갑자기 속력을 내가 한준이가 하는말 " 그러게 빨리 달리면 구경을 할수가 없잖아요." ㅎㅎ 이미 한강은 지났다고 하니까 컴컴한 산을 가리키며 산도 멋있다나 ..ㅎㅎ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04-05-04 14: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구경했겠네요..아이들은 무엇이든지...
보게 해주고 생각하게 해주는 것이 제일 좋은 듯 해요.

울아들은 바다를 지금도 참 좋아한답니다...가고 싶다고 하구요.
 


◆ ‘만약에’게임(3∼9세) 3

- 아이에게 “만약에 …이 없어진다면 어떻게 될까?” 하는 질문을 반복하면 창의력 발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직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좋은 자극이 된다. 처음에는 단순한 질문을 하고 점차 그 수준을 높여나가야 한다. 어릴수록 주변에 있는 구체적인 물건을 예로 드는 것이 좋다.

- 엄마 이렇게 해주세요 : 아이의 대답이 엉뚱하더라도 무시하는 것은 좋지 않다. 일단 “그렇구나”하고 인정해준 다음, 두세 가지 대답을 더 하도록 한다. 아이가 아예 대답을 못할 때는 엄마가 말한 다음, “또 어떤 경우가 생길까?”하는 식으로 대답을 유도한다. 이러한 ‘만약에’ 게임을 통해 아이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밖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

-‘만약에’ 게임
① 두 사람이 마주보고 앉으면 다른 한 사람은 뿅망치를 들고 가운데 서서 심판을 본다. ‘가위바위보’를 해서 이긴 사람이 “만약에 …이 없으면 어떻게 될까?” 하고 질문한다. 심판이 다섯을 셀 동안 진 사람이 대답을 하면, 뒤이어 이긴 사람도 다섯 셀 동안 대답을 해야 한다.
② 만약 대답을 못하면 심판이 뿅망치로 등을 때린다. 못 맞춘 사람이 다시 질문을 해서 게임을 시작한다. 아이가 초등학생이라면 엄마, 아빠와 함께 다음과 같은 질문과 대답을 돌아가면서 하는 것도 좋다. 엄마, 아빠의 간단한 한 마디가 아이에게는 새로운 생각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 "엄마 말의 반대로 할 테야" 게임

반대말은 아이의 어휘력을 크게 향상시켜 준다. 그러나 단순히 말뜻만 안다면 창의력 발달에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아는 것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을 때 뜻도 분명히 알게 되고 생각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다.

- 토끼와 거북
엄마와 아이가 각각 토끼와 거북이 역할을 맡고 쪼그려 뛰기 자세를 한다.
엄마가 ‘토끼와 거북’ 이야기를 하면 토끼 역할을 맡은 아이는‘거북’이라는 말에서 위로 뛰어오르고 거북은 그 반대로 한다.
이야기가 끝나면 다시 역할을 바꾼다.

- 대립되는 동물 찾기
“코끼리는 크네, 그러면 작은 건 뭘까?” 개미, 쥐, 토끼, 고양이 등.
여우는 꼬리가 길구나. 꼬리가 짧은 건 뭐가 있지?” 토끼, 곰, 염소 등.
“치타는 빨리 달려. 그럼 느릿느릿 다니는 건 뭐지?” 북극곰, 펭귄 등.
쉬운 물음에 잘 대답했다면, 이번에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을 대상으로 해본다. 이때는 아이에게 ‘주어와 동사’를 함께 말하도록 시킨다.

예) “가위는 오리네.” - “풀은 붙이지.”
       “눈은 하얗지.” - “머리카락은 까맣지.”
       “난로는 뜨거워.” - “얼음은 차가워.”
       “하늘은 높아.” - “땅은 낮아.”
       “낮에는 밝아.” - “밤에는 어두워.”
       “사탕은 너무 달아.” - “약은 너무 써.”

 

출처: 베베하우스.

 

**** 이런 놀이 하다가 우리 아이 청개구리 되는거 아닐까 하는 우스운 생각을 해봤습니다.ㅎㅎ 장난감도 없고 심심하다고 할때 끝말잇기 하는데 이런 놀이도 재미있어하겟어요. 엄마가 시키는대로 하기 싫은 그런 청개구리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역할도 하겠구요.  아이와 외출시 버스나 지하철에서 사탕이나 과자를 주는 대신 해보면 좋겠다는 생각까지만 해보았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04-05-04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요것도 퍼가랍니다..
바람꽃님 덕에 좋은 글을 많이 읽네요.
최근에 육아서를 등한시하고 있는지라 무지 찔립니다^^;;
 
 전출처 : 행복한여행자 > 어른의 아이와 같은 상상력

'김진송 깍고 씀' 이라는 제목밑 이름과 깍고 씀이라는 단어들이 너무나도 맘에 들었다. 책표지에 엉뚱한 나무조각 인형이 눈에 들어온건 그 다음이었다. 여러모로 처음 느낌이 매우 좋은 책이 있는데 바로 이 책이 그렇다. 겉표지의 정갈한 디자인도 마음에 들고 책속을 넘겨볼때 여백의 여유 또한 충분한 상상력을 자극시킨다. 책을 주루룩 훑어 넘기면서 조각된 인형들이 글보다 먼저 눈에 들어오면서 왠지 모를 미소가 번졌다.

나무결이 살아있는 동글동글한 조각인형들은 김진송이라는 목수의 상상력과 영혼의 순수함이 깃들여 있는게 분명하다. 조각인형들이 먼저 탄생이되고 그다음이 글이 생겨났음을 짐작하며 작가의 어린이 다운 상상력과 영혼의 순수함을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들속으로 빠져들어 간다.

처음에는 인형조각에 비해 글의 내용이 지나치게 동화다워 약간은 심드렁!! '에게~뭐 이래! 그래서 끝이 뭐라고~~' 하는 마음으로 한장씩 약간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섭한 마음으로 읽어나갔다. 분명 마음에 쏙 드는 책이긴 한데 왜 마음에 깊은 울림이 없을까? 하는 고민을 은근 살짝 하면서 다시한번 읽어내려 가본다. 이제야 알았다.. 그만큼 현실속의 확실한 이야기에만 적응이 되어 순수하고 엉뚱한 감성의 내면이 그만큼 소외 되고 있었음을 깨달았다.

어른이 되어버린 후 지나치게 현실적이 되어버리고, 이성적인 면만 갈고 닦아버렸다는 내면을....이 책을 읽으면서 새삼 바라보게 되었다. 이제는 작가의 어린동심의 마음세계와 나무를 깍고 다듬는 장인정신이 돋보인다. 어린 아이들에게도 읽어주면 좋을책! 차한잔의 여유와 함께 호흡하기 좋은책! 예쁜 일상의 허구속에 진지하게 빠져들어가 볼 수 있는 책이다. 너무나도 사랑스러운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MBED="HTTP: hanulgrim.net root photos gallery sky.swf?>-->


◆ 블록으로 도형 채우기 놀이(5~8세)

블록의 면과 면이 서로 만나면 다양한 모양이 되는데, 이 점을 이용해서 아이와 함께 도형 채우기를 할 수 있다. 어떻게 하면 빈 곳을 메울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아이는 공간 활용법을 배우고 각 도형의 특성을 알게 된다. 도형 중에서도 사각형이 가장 쉬운 편인데, 그것은 블록의 네모난 특성 때문이다.

- 도형 채우기 : 스케치북에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을 그린 다음 아이에게 블록을 주고 그 안을 채우게 한다. 그리고 둘 중에 어느 것이 더 채우기 쉬웠는지 물어본다.

- 삼각형 채우기 : 스케치북에 큰 삼각형 하나를 그린 다음 될 수 있는 대로 틈새가 생기지 않게 그 안을 채우게 한다.

- 원 채우기 : 어떻게 해야 원의 둥근 면을 잘 채울 수 있는지 물어 본다. 또 작은 원과 큰 원 중 어느 것이 채우기 쉬운지 물어본다.

- 동물 그림 채우기 : 그림책에 나오는 동물들의 모습을 스케치북에 크게 옮겨 그려준다. 아이는 블록을 얹어서 동물의 모습을 나타내려 노력하게 되는데, 이때 블록의 색깔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 색종이와 스카치 테이프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예) 나비의 경우라면 나비의 더듬이 부분은 색종이를 잘라 볼펜으로 말아서 스카치 테이프로 붙여준다.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은가 게임

세 가지 사물의 유사점 말하기는 8세 정도가 되어야 할 수 있으므로 그전에는 두 가지 사물의 유사점을 알아맞히도록 훈련시킨다. 또 아이가 모두 잘하면 반대로 유사점을 말해주고 비슷한 물건을 떠올리게 한다.

- 가지 사물의 유사점 말하기
팬더와 토끼 : ① 털이 있다. ② 꼬리가 짧다. ③ 귀엽다.
바나나와 사과 : ① 껍질이 있다. ② 속이 하얗다. ③ 나무에서 열린다.
비행기와 자전거 : ①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② 사람이나 짐을 싣는다. ③ 바퀴가 있다.


- 세 가지 사물의 유사점 말하기
사진, 그림, 신문 : ① 종이다. ② 액자에 끼울 수 있다. ③ 가위로 쉽게 오릴 수 있다.
쓰레기통, 그릇, 비닐 주머니 : ① 물건을 담을 수 있다. ② 구멍이 나면 쓸 수가 없다. ③ 부엌에서 볼 수 있는 물건이다.
꽃, 향수, 비누 : ① 향기가 난다. ② 떨어뜨리면 모양이 망가지기 쉽다. ③ 기분을 좋게 한다.

◆ 거울 흉내내기 게임

거울을 응용한 놀이는 아이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말이 거의 필요 없이 행동만으로 하기 때문에 신체의 표현력도 풍부하게 한다. 또 다른 사람과 경쟁적으로 새로운 행동을 해내야 하므로 창의력 계발효과도 있다.

- 두 사람이 마주보고 서서 한 사람은 거울이 되고 다른 사람은 거울을 보는 사람이 된다.
- 거울이 된 사람은 상대방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해야 한다. 이때 먼저 웃거나 말하는 사람이 지게 된다.
- 거울을 보는 사람은 상대방이 따라할 수 없는 행동이나 표정을 지어서 게임을 재미있게 이끌도록 한다(아이와 어른이 마주보고 할때는 아이를 높은 곳으로 올라가게 하거나 어른이 무릎을 굽혀서 눈높이를 맞추도록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