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팜므 파탈 - 치명적 유혹, 매혹당한 영혼들
이명옥 지음 / 다빈치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팜므파탈 - 세기말 탐미주의와 상징주의 문학과 미술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린 요부형 여성 이미지를 뜻한다. ...19세기 예술가들의 발명품인 팜므파탈은 대중들 사이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그렇다면 세기말 예술가들이 쾌락과 고통, 사랑과 죽음의 주제에 매료된 이유는 무엇일까?.... 세기말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전통적인 성 가치관이 무너지고 자의식에 눈을 뜬 신여성들이 목청을 높이던 시기다. 여성들은 수동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여성의 육체에 내려진 편견을 적극적으로 해소하는 행동과 주장을 펼쳤다. ... 남성들은 동등한 성의 자유를 주장하고 해방을 부르짖는 여성들에게 두려움과 경계심을 느꼈다.
저자가 내리고 있는 팜므파탈의 정의와 등장배경이다. 저자가 이런 배경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관점을 가지고 있을바에야 책 내용 서술에서도 좀 더 자신있게 자신의 관점을 관철하고, 분석을 해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는 책이다. 책 내용에서는 릴리트편(이 책에서 처음 안 사실인데 최초의 여자는 이브가 아니란다. 아담과 같이 창조된 릴리트란 여자가 있었는데, 아담에게 순종하지 않은 죄로 신의 벌을 받아 악마로 변한 뒤 낙원에서 추방당했단다. 그 이후 그 잘난 순종을 위해 아담의 갈비뼈로 다시 만든 여자가 이브이고.... 근데 이브도 별로 순종적이진 않은 것 같은데... 그러면 신의 뜻대로 안되는 유일한 존재가 여자인가?)에서 약간 저자의 관점이 비치는 정도이고 나머지 내용은 팜므파탈로 선정된 여성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화가들이 그들을 어떻게 그렸나 하는 설명이 이어진다.
선정된 모델들의 이야기도 대부분 여기저기서 들어본 내용이고 그림들에 대한 설명도 그리 특별할게 없다. 여러 사람이 여러 책에서 다룬 내용들이고 이걸 하나로 모아 저자가 새롭게 쓰고자 한다면 저자 자신만의 관점이 책속에 녹아있다면 좋을 텐데, 그저 평이한 소개글에 그친게 못내 아쉽다. 더구나 책 말미에 저렇게 팜므파탈이 등장한 배경을 자신있게 써놓고도, 내용의 전개는 19세기 남성들의 시선을 그대로 따라 간 것 같으니 말이다.
하지만 도판들은 그런대로 괜찮다. 머리 아플 때 하나씩 그냥 들여다보기 좋은책?
보너스 - 책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그림

르네 마그리트의 <집합적 발명>1935
인어에 대한 남자들의 성적 환상을 조롱한 그림이 유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