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남자네 집
박완서 지음 / 현대문학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옛날 대학시절에 "나이는 짤짤이 해서 따는 것이 아니야"라는 농담을 자주 했었다. 주로 어린 나이의 또래들끼리 모여 한두살 더 어린 후배들한테 술 사주면서 하는 소리였지만... 이 책을 보면서 한동안 잊었던 그 농담을 다시 생각해냈다. 우와 나이는 진짜 짤짤이해서 따는게 아니야.

나이 먹는다는게 우리 사회에선 별로 자랑스런일이 못‰쨈? 대부분 그 단어는 몇가지의 욕들과 붙어 다닌다. 온 사회가 미친 듯이 더 젊어보이게 더 어려보이게로 질주하고 있는듯하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가끔 인생의 깊이에서 우러나온 무게있는 말이나 글들을 보면 새삼스럽게 신선하고 나도 이렇게 늙어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나이든다는 것을 정말로 삶에대한 관계에 대한 통찰의 깊이가 깊어지는 것으로 느끼고 싶다.

이 소설은 연애소설이다. 하지만 모든 연애소설들의 규칙들을 일거에 부숴버린다. 누구에게나 가슴아련할 첫사랑에 대해 말하면서도 전혀 낭만적이지도 지고지순하지도않다. 오히려 인간이란 얼마나 자기 중심적인가가 적나라하게 펼쳐진다. 하지만 그것이 낯설지 않다. 죽고 못살것 같던 잠시의 시간을 벗어나면 우리를 짓누르는 건 생활의 무게이고 그 즈음에서 연애를 하는 모든 인간들의 계산기가 움직인다. 소설속의 나 역시 자신의 삶을 빛내주던 첫사랑을 버리고 안정된 삶을 선택, 은행원과 결혼한다. -그 첫사랑에 대한 묘사에서조차도 전혀 낭만적이지 않다. 소설을 보던 나부터 '에고 이런 인간과 결혼하면 고생길이 훤하다.'라고 생각했으니까... 안정을 찾아 한 결혼은 역시 지나칠정도로 안정적이었고 그 안정감에 지리멸렬하던 중 다시 자신의 생활에 윤활유가 되어 줄 첫사랑과 다시 만나고 그 모든 과정이 자기 중심적으로 합리화된다. 그 남자에게 닥친 불행마저도 자신의 입장에 맞춰 재해석되고...

이 소설을 읽는건 쉽지않다. 인간의 너무나도 적나라한 감정을 대하면서 이것이 나의 모습과 겹치면서 참 부담스럽게 힘겹게 책장을 넘기게 된다. 아마도 사랑의 환상을 갖고 있었을 20대에 이 책을 읽었다면 나는 책을 던져버렸으리라... 그리고 이렇게 말했을 것이다. "뭐 이리 웃기는 할머니가 다있어!" 하지만 난 아줌마다. 이쯤되니 사랑은 더 이상 환상이 아니라는 것, 생활속으로 들어온 사랑은 오히려 구질구질하게 느껴질 때가 더 많다는 것 정도까지는 인정이 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아직은 나의 모든것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마지막 나의 구질구질함을 숨겨둔다고나 할까?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내면을 솔직하게 다 말하지는 못한다. 아니 안한다. 아니 아예 인정하지 않는다는게 더 정확할까? 자신의 내면속에서조차도 자신을 속이는게 인간이 아닐까? 박완서씨 정도의 삶을 살면 나도 저렇게 나라는 인간의 추한면조차도 당당하게 내보일수 있게 될까?  인간의 마지막 안쪽의 감정까지도 이해할 수 있게 될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토끼 2005-11-09 08: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말씀대로- 저는 읽다가 이 책을 덮어버렸는데요 아직 읽을 마음이 생기지 않네요. 이런 후기들을 쭉 읽어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