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위의 작업실>을 리뷰해주세요
지구 위의 작업실
김갑수 지음, 김상민 그림, 김선규 사진 / 푸른숲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군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소속감의 족쇄로부터 풀려나기 위해 예술 체험이 필요하다고 강의하는 나에게 어떤 공무원이 물었다. "왜 벗어나야 합니까?"라고. 그런 사람을 두고 젊은 날의 황동규 시인이 이런 시를 썼다. "다들 망거질 때 망거지지 않는 놈은 망거진 놈뿐야." (188쪽) 

'왜 벗어나야 합니까'와 '벗어나고 싶은데 벗어날수가 없어요'의 거리는 얼마쯤 될까?
그리 멀지는 않을듯...
국가 민족같은 거대영역에서부터 직장과 가정같은 일상의 영역까지 우리는 항상 어딘가에 소속되어있고 그 소속에서 오는 의무를 괴로워하고 그러면서도 소속되지 못해 또는 소속에서 벗어날까봐 두려워하고....

그런 일상과 소속의 삶의 쳇바퀴에서 벗어나고 싶은 기분을 느낀다면 김갑수라는 이 남자의 공간을 살짝 엿보자.
지하 30평 홀을 온전히 자신을 위한 공간으로 바꾸어버린,
커피와 음악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 공간 줄라이홀이다.
커피는 원두가 아니라 아예 생두를 손수 갈고, 커피를 끓이기 위한 온갖 장비들이 즐비하다.
그래도 음악에 비하면 커피는 아무것도 아니다.
음반의 양에도 기가 질리지만 더한건 이게 무슨 미친짓이냐 싶은 온갖 오디오장비들.
그것만으로도 팔아치우면 한 밑천 마련하겠다 싶은 용도도 알아듣기 힘든 온갖 기계들.
오로지 맘에 드는 소리 하나 만나겠다고 하는 투자에는 기가 질릴 정도다.

먹고 살기도 힘들어 죽겠는데 무슨 사치냐고 퉁명스런 비죽임이 먼저 새어나올만도하다.
세상은 너도 나도 생존경쟁에 휘둘려 미쳐 돌아가고, 온갖 시대를 거꾸로 거스르는 일들이 비일비재한 이 시대에 말이다. 
이런 책 쓰면서 그정도 비아냥은 감수해야지 싶기도 하다.

근데 그 알아듣기도 힘든 그의 이야기에 왜 자꾸 마음이 끌리는걸까?
그의 표현대로 '열정적 소수"의 삶에 대한 동경일까?
아니면 내 맘 깊숙한 곳에 숨겨두고 감히 풀어보지 못한 욕망을 그가  실현하고 사는 데 대한 대리만족인걸까? 

사실 누구에게든 물어보라.
자신만의 온전한 동굴같은 공간 하나쯤 안 갖고 싶은 인간 있는가?
온전한 자신으로의 회귀 그건 본능에 가까운 인간 욕망이다.
문제는 그것의 실현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공간을 가지는것은 삶에 대한 태도의 문제이기도 하고 여유의 문제이기도 하다.
여기서 여유는 경제적 심리적 여유 모두를 말한다. 

김갑수의 줄라이홀
누구나 일상에서 잠시 벗어날 권리쯤은 있지 않냐고,
비일상의 공간이 또 다른 일상이 되는 곳에서 삶의 충족이 있는 것 아니냐고,
그의 공간이 말한다. 

나의 줄라이홀, 이 넒은 지구위에 딱 그만큼의 공간이 내게도 주어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