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김훈의 책을 잡을때는 항상 뭔가 애매한 망설임이 같이 잡힌다.
내가 이 작가를 좋아하나? 글쎄...
그가 세상의 보는 관점에 동의하나? 글쎄...
딱히 좋아하지도 그렇다고 딱히 아니라고 말을 하기에는 항상 뭔가 뒤가 당기는듯한 애매한 느낌.
그래서인지 그의 책은 난해하다.
도대체 그가 주장하고 싶은게 뭘까?
그는 소설속 인물들에 몰입하지 않는다.
늘 딱 그만큼의 간격을 유진한다.
제 3자인양 싶으면 어느샌가 다가가 있고, 다가섰다 싶으면 저만치 물러서는.....
소설 <남한산성>은 역사소설이 아니다.
그가 말하고 싶었던건 역사가 아니라 자신이 어찌할 수 없는 극한 상황에 내몰린 인간들의 면면이고, 그들의 마음이다.
왕은 끊임없이 살길을 찾고자 하나 말의 장막속에 가려있다.
신하들은 주전파든 주화파든 자신이 믿는 신념속에 갇혀 현실을 보지 못한다.
그들이 만드는 감옥이 남한산성이다.
백성들에게 남한산성은 거대한 감옥이다. 누구도 원하지 않았건만 어느날 보니 감옥속에 갇혀있더라는.... 그 감옥을 깨는 선택권은 백성들에게는 주어져 있지 않다.
백성들은 그 감옥의 무게를
"승지가 칼을 빼니 산천이 떠는구려. 그 칼을 들고 적 앞으로 나아가시오. 우리가 따르리다."라며 조롱한다.
일면 임금된 자는 그 속에서 고뇌의 무게에 짓눌려있는 듯 그려진다.
임금으로서의 인조는 어떻게든 모두의 고통과 고민을 하나로 아울러 살길을 찾고자 하는듯 보인다. (아마도 이런 인조의 모습은 역사적 진실과는 거리가 멀것이다.)
그런 인조의 모습에 우리 시대 아비의 모습이 겹친다.
가부장의 권위로 모든 어려운 일을 꿋꿋하게 헤쳐나가던, 그러나 어느 순간 보니 그 어떤것도 그가 해결한 것은 없는 그 권위란게 허망한 말뿐이었음을 깨닫게 된 아비들...
그렇다면 김훈은 그 사라져가는 아비의 고뇌를 인조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것일까?
아니면 새로운 아비의 출현을 서날쇠의 모습을 통해 소망하는 것일까?
그 어느것 하나 명확해보이지 않는다.
그 애매모호함이 김훈의 소설의 난해함을 만든다.
그는 인조의 편도 주전파의 편도 주화파의 편도 더더욱 백성들의 편도 아닌듯하다.
한편으로는 모든 인간의 고통을 같이 아파하는 전지전능한 신의 반열에 자신을 올려놓은 듯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그 모든 것에 무심한 방관자의 모습이 겹치기도 한다.
모든 것을 말하면서 결국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 것.
이것이 김훈의 애매모호함의 정체일까?
여전히 김훈을 좋아할지 말아야할지 헤매게 하는 딱 김훈표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