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김훈의 책을 잡을때는 항상 뭔가 애매한 망설임이 같이 잡힌다.
내가 이 작가를 좋아하나? 글쎄...
그가 세상의 보는 관점에 동의하나? 글쎄...
딱히 좋아하지도 그렇다고 딱히 아니라고 말을 하기에는 항상 뭔가 뒤가 당기는듯한 애매한 느낌.

그래서인지 그의 책은 난해하다.
도대체 그가 주장하고 싶은게 뭘까?
그는 소설속 인물들에 몰입하지 않는다.
늘 딱 그만큼의 간격을 유진한다.
제 3자인양 싶으면 어느샌가 다가가 있고, 다가섰다 싶으면 저만치 물러서는.....

소설 <남한산성>은 역사소설이 아니다.
그가 말하고 싶었던건 역사가 아니라 자신이 어찌할 수 없는 극한 상황에 내몰린 인간들의 면면이고, 그들의 마음이다.
왕은 끊임없이 살길을 찾고자 하나 말의 장막속에 가려있다.
신하들은 주전파든 주화파든 자신이 믿는 신념속에 갇혀 현실을 보지 못한다.
그들이 만드는 감옥이 남한산성이다.
백성들에게 남한산성은 거대한 감옥이다. 누구도 원하지 않았건만 어느날 보니 감옥속에 갇혀있더라는.... 그 감옥을 깨는 선택권은 백성들에게는 주어져 있지 않다.

백성들은 그 감옥의 무게를
"승지가 칼을 빼니 산천이 떠는구려. 그 칼을 들고 적 앞으로 나아가시오. 우리가 따르리다."라며 조롱한다.

일면 임금된 자는 그 속에서 고뇌의 무게에 짓눌려있는 듯 그려진다.
임금으로서의 인조는 어떻게든 모두의 고통과 고민을 하나로 아울러 살길을 찾고자 하는듯 보인다. (아마도 이런 인조의 모습은 역사적 진실과는 거리가 멀것이다.)
그런 인조의 모습에 우리 시대 아비의 모습이 겹친다.
가부장의 권위로 모든 어려운 일을 꿋꿋하게 헤쳐나가던, 그러나 어느 순간 보니 그 어떤것도 그가 해결한 것은 없는 그 권위란게 허망한 말뿐이었음을 깨닫게 된 아비들...
그렇다면 김훈은 그 사라져가는 아비의 고뇌를 인조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것일까?
아니면 새로운 아비의 출현을 서날쇠의 모습을 통해 소망하는 것일까?

그 어느것 하나 명확해보이지 않는다.
그 애매모호함이 김훈의 소설의 난해함을 만든다.
그는 인조의 편도 주전파의 편도 주화파의 편도 더더욱 백성들의 편도 아닌듯하다.
한편으로는 모든 인간의 고통을 같이 아파하는 전지전능한 신의 반열에 자신을 올려놓은 듯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그 모든 것에 무심한 방관자의 모습이 겹치기도 한다.
모든 것을 말하면서 결국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 것.
이것이 김훈의 애매모호함의 정체일까?

여전히 김훈을 좋아할지 말아야할지 헤매게 하는 딱 김훈표 소설이다.


댓글(6) 먼댓글(1)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김훈이 "남한산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05 02:14 
    남한산성 - 김훈 지음/학고재 2007년 10월 31일 읽은 책이다. 올해 내가 읽을 책목록으로 11월에 읽으려고 했던 책이었다. 재미가 있어서 빨리 읽게 되어 11월이 아닌 10월에 다 보게 되었다. 총평 김훈이라는 작가의 기존 저서에서 흐르는 공통적인 면을 생각한다면 다분히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매우 냉정한 어조로 상황을 그려나가고 있다. 소설이기에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읽었음에도 주전파..
 
 
글샘 2007-09-09 2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면서도 김훈을 읽는 걸 보면, 그는 성공한 작가입니다.^^
근데, 재미없는 소설 좀 안 썼음 좋겠어요.

바람돌이 2007-09-10 03:01   좋아요 0 | URL
성공한 작가 맞죠. 우리나라에서 책 써서 밥벌어먹을 수 있는 작가가 얼마나 될까를 생각한다면 말입니다. 전 그의 책이 썩 맘에 들지는 않지만 재미가 없지는 않던데요. 그의 문장마다에 넘치는 비장미는 어쨌든 있어보이잖아요. 어떻게 보면 난체 하고 싶어하는 지식인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문장이란 생각도 들고요. 뭐 저도 그런 속물근성을 버리지 못했는지 아주 재미없지는 않았습니다. 그의 그 끊어치는 듯한 문장들을 보는 재미는 꽤 있었거든요.

내오랜꿈 2007-09-10 0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금오도에서였나? 너네 집에서였었나? 김훈의 "밥에 대한 단상"을 이야기했던 때가? <칼의 노래>, <남한산성> 모두 소설화한 "밥에 대한 단상" 같아. 적어도 문체, 간결한 문장이 주는 압축미, 비장미 등에 관해서는... 그래서 글솜씨 자체는 인정해준다.

하지만, 난 그의 소설에서 '비겁함'을 본다. 현실의 역사에는 개입하지 못했던 지식인이 품어내는 과잉 작가의식, 또는 과잉 역사의식 같은 것. 따지고 보면 현란한 언어의 유희라고 치부해버린다 한들 그가 무어라 변명할 수 있을까?

그런데 왜 상업적으로 성공하느냐? 결코 대중적이라고는 할 수 없는 이 소설이... 글쎄, 언론권력의 합작품 아닐까? 그가 걸어온 이력을 생각해보면, 왜 이 책에 대해 온갖 언론매체가 앞을 다퉈 언급하는지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그 이면에는 물론 지식인층이 어떤 형태로든 다룰 수밖에 없는 그의 문체가 가지는 매력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지만...

바람돌이 2007-09-10 03:04   좋아요 0 | URL
금오도가 아니라 거금도... ^^
어디여서였는지는 저도 잘 기억이 안나고 하여튼 이 책 읽으면서도 형이 했던 얘기들이 많이 떠올랐어요. 비겁함이라... 그의 살아온 궤적을 보나 이 책에서 심정적으로 인조에게 끊임없이 면죄부를 주고 싶어하는 그의 소망으로 보나 맞을 것 같네요. 인조에게 주는 면죄부는 어쩌면 그가 그 자신에게 주고싶었던 것이 아닐까 뭐 그런생각도 듭니다.

짱꿀라 2007-09-13 15: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훈작가의 문체는 그래도 어려운 편이 아닌데요. 바람돌이님께서 책을 읽으시면서 많이 고전을 하셨겠네요. 저도 칼의 노래 있으면서 이분의 문체를 그리 좋아하지 않았었는데 자주 접하다보니 잘 쓴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아마 자주 접하시면......

바람돌이 2007-09-13 16:26   좋아요 0 | URL
어려운건 문체라기 보다는 작가의 관점이란 생각이 들어요. 오히려 김훈씨의 문체는 제가 굉장히 좋아하는 문체입니다. 원래 제가 장황한걸 좀 싫어하는지라.... 칼끝처럼 예리한 문장들이잖아요.
다만 제게 어려운건 그가 결국 말하고자 하는 바가 뭔가 작품이 말하고자 하는 세상에 대한 시선 역사에 대한 시선 이게 너무 애매모호하지 않나싶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