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 주말을 이용해 친정식구들과 짧은 휴가를 다녀왔다.
국도변을 신나게 달릴때쯤  차선 하나를 줄줄이 점거하고 달리는 그야말로 삐까뻔쩍한 스포츠카의 행렬을 본다.
똑같은 색깔의 똑같은 자동차 10여대가 줄줄이 줄줄이 달린다. 그래도 운전은 조심스럽긴 하다.
일단 자동차에 문외한인 내가 보기에도 외제차임에 분명한 2인용 스포츠카다. 비싸보인다.
아니나다를까 옆에서 저거 한대에 1억을 넘는다는 소리를 한다.
똑같이 생긴 스포츠카에는 거의 똑같이 20대 초반으로 보이는 청년들이 운전중이다.
설마 이들이 모두 택배사원은 아닐거고 내 머리로는 아무리 생각해도 20대 초반에 저런 자동차를 자신의 힘으로 벌어서 장만할 수 있으리라는 가능성은 떠오르지 않는다.
그렇기에 그들이 부럽지는 않다. 다만 짜증과 욕만 튈뿐이다.

2.
작가 김훈이 전에 자전거 여행에 관한 책을 썼었다.
책을 안읽은 나는 그저 자전거라면 30여만원대의 자전거가 제일 비싼건줄 알았다.
그런데 김훈의 자전거는 천오백만원짜리란다.
그리고 이번에 남한산성으로 벌어들인 돈으로 미국 나사에서 만든 4천만원짜리 자전거를 장만할 계획이란다.
일면 보기에 진짜 부르조아적인 취미라고 비아냥을 받을 수도 있겠다.
자전거 한대에 4천만원이라니....
하지만 김훈은 당당하다.
30여년을 야근과 철야를 밥먹듯이 해서 생긴 여유인데 좀 봐주면 안되겠냐고...
딱히 반박할 말이 없다.
따지고보면 좀 괜찮은 자동차 한대값일 뿐이다.
한 10년 야근 철야한 사람들 중에도 자전거는 아니지만 자동차는 그 가격대의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은가?
그렇게 따지면 김훈의 자전거 사치는 정당하다는 생각도 할 수 있다.
아니 솔직히 말한다면 부럽다.
나도 퇴직이후 저렇게 내가 하고싶은 뭔가를 마음껏 할 수 있는 여유를 갖고싶다.

3.
이랜드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한달 70-80만원때문에 맨땅에서 잠을자고 싸우고 깨진다.
거기서 돈의 액수가 조금 더 올라간다고 해서 그들이 삶이 질이 그다지 많이 달라질 것같지도 않다.
그들은 아마도 평생을 뭐빠지게 일을 해도 1억짜리 스포츠카는 커녕 천오백만원짜리 자전거도 마련할 전망은 없다.
아들녀석이 철없게 조르는 10만원대의 자전거 하나도 사줄수 있을까 없을까를 수십번은 저울질하고 계산하고 해야할게다.
그들에겐 자신의 취미나 문화적 생활이라는 것도 사치일뿐....
어쩌면 너무나도 경제적 여유가 없는 그들의 삶은 단 한번의 바람만으로도 파탄의 나락으로 빠질 수도 있을 것이다.

오늘의 대한민국에서 저 3가지 경우의 비율은 어느정도일까?
노동과 인간의 논리가 아니라 철저하게 돈이 돈을 버는 자본의 논리만이 진리인양 활개치는 세상에서 3번째의 삶은 끊임없이 확대재생산되고 있다.
그것은 자신이 2의 삶이라고 안도하고 있을 사람들도 언제 상황이 바뀔지 모른다는 것이다.
1로 올라갈 가능성은 로또 1등에 연속으로 당첨되는것만큼이나 어려울 것이고,
3으로 내려갈 가능성은 너무 많이 열려있다.
나의 삶은 어디에 속할까? 그리고 당신의 삶은?
이랜드 노동자들을 비롯한 비정규직의 문제가 나와는 상관없다고 생각하기에 우리의 삶은 너무 위태로운것 같지는않은가말이다.


댓글(15)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박성수 십일조 130억의 진실공방...
    from 반노동기업 이랜드 반대 2007-07-25 15:27 
    십일조 130억원이라는 논란이 가열되고 있나 봅니다. 여기저기 블로거 스피어 사이에선 이랜드쪽 회사 살리기 운동(?)의 여파로 혼란하신 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먼저 "이랜드 '130억 십일조' 설의 진실(http://www.cbs.co.kr/nocut/show.asp?idx=561919)" 이란 기사가 나온 반면, 좀더 의증이 많이 간다는 "이랜드 박성수회장과 재단의 비밀(http://dailysun.co.kr/news/todoysub.htm?id..
 
 
세실 2007-07-25 06: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번 아니죠. 2번 아니죠~ 그럼 3번? 아니죠. 농담입니다.
김훈씨의 자전거 예찬 이해갑니다. 그래도 소시민적이잖아요~~~
편한 자가용 대신에 패달을 밟아야 가는 자전거를 선택한 것 자체도 멋집니다. 헤헤~
저두 퇴직후에는 하고 싶은 일 맘껏 하며 살고 싶어요. 도자기, 여행, 재즈댄스, 책읽기, 그림 등등

세실 2007-07-25 06: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랜드 사태 참 안타깝습니다. 직장을 잃는다는 것 어쩜 내 모든것을 잃는 일일수도 있잖아요.

바람돌이 2007-07-25 21:39   좋아요 0 | URL
직장에 생계를 몽땅 걸고 살아야하는 우리들에게 직장은 그야말로 목숨줄이지요. 그 목숨줄을 가지고 장난치는 것들은 몽땅 천벌을 받아야해요. ㅠ.ㅠ
세실님 더운데 건강하시지요? 전 아직 퇴직하면 뭐하고 싶나 그런 생각을 못해봤어요. 그냥 지금까지 살았던 것처럼 책보고 여기서 노닥거리고 그럴까요? ㅎㅎ

sooninara 2007-07-25 15: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번과 3번사이...라고 하고 싶지만 거의 3번이군요.ㅠ.ㅠ

바람돌이 2007-07-25 21:40   좋아요 0 | URL
2번이나 3번의 경우 그 안에서도 편차가 엄청나죠? 그리고 자신을 2번이라고 착각하고 사는 3번의 삶도 많구요. 그래도 당장 끼니 걱정안하고 책도 사보고 하니 우리는 2번이라고 우기자구요. ㅎㅎ

전자인간 2007-07-25 16: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00만원 조금 넘는 자전거를 타는 입장에서... (옆의 사진이 그 자전거입니다.) 김훈의 4000만원짜리 자전거는 상당히 과하다고 느끼면서도 그런 김훈의 심리를 이해는 합니다. (우리나라에 들여왔던 자전거 중에서 최고가가 3000만원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그 기록을 김훈이 깨려나 보군요. 그리고 나사에서도 자전거를 만드는 줄은 몰랐는걸요 ^^) 좋은 장비를 바라는 마음은 낚시대, 악기, 카메라 등등 장비가 필요한 취미를 가진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것이겠고, 어느 정도까지는 '사치'라 말하기에는 억울한 부분이 있습니다. 분명 필요에 의해 비싼 장비를 사는 것이니까요.
어쨌든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이겁니다. 이랜드의 비정규 노동자들은 한 달에 70~80만원으로 살다가 그나마도 비정하게 해고당하는 판에 몇천짜리 자전거가 웬말이냐..? (바람돌이님 말씀이 이런 뜻은 아니었다는 것은 잘 압니다.) 한다면, 그것은 대항할 상대를 잘 못 설정한 것이겠지요. 우리가 싸울 상대는, 나보다는 조금 더 많이 받지만 고만고만한 월급가지고 아웅다웅 살아가는 월급쟁이들이 아니라, 이랜드 계산원 누이 어머님들에게 최저 생계비에도 못미치는 월급만 주다가 그나마도 지들 맘대로 내쳐 버리는 이랜드 자본이라는 사실. 노동운동이 발생한 이래 가장 효과적으로 자본이 애용했던 노동운동 무력화 방법이면서, 특히 이 나라에서 잘 통하는 방법이기도 한 것이 바로 노동자들 사이 이간질하기 쟎습니까? 하긴, '소설 인세 자본가' 반열에 등극한 김훈씨 정도가 되니 4000만원짜리 자전거를 살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리고 '사치'와 '취미'의 경계가 무 자르듯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30만원 넘어가는 자전거를 탄다고 자본가 또는 귀족 쯤으로 오해하지는 말아 주십사 하는 바람으로 횡설수설해 보았습니다. ^^

바람돌이 2007-07-25 21:46   좋아요 0 | URL
100만원짜리 자전거가 별달라 보이지 않는건 제 무지겠지요? ㅎㅎ
전자인간님 제가 생각하는 세상이란건 1번은 없고요. 모두가 2번이 되는 세상이랍니다. 3번의 경우가 발생할수밖에 없다면 사회보장제도가 그것을 보충해주어야 하고요. 전 작가 김훈씨를 비난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전 그게 인간다운 삶의 표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싸운다는 것은 나는 이렇게 살기 힘드니 너도 나처럼 살기힘들어라가 되어서는 안되죠. 그것이야말로 자본이 원하는 것일겝니다. 그게 아니라 3번처럼 힘든 삶이 2번으로 올라서야 한다는 것. 그리고 2번처럼 약간의 여유를 가지고 있는 삶이란것도 따지고보면 얼마나 위태로운 것인지... 그래서 지금 내가 약간의 여유를 가지고 있다해서 거기에 안주하거나 그것만을 지키기 위해서 아둥바둥할 것이 아니라 힘들게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연대의 손을 내밀어야 하지 않을까? 그것이 바로 내가 사는 길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주절주절 해본겁니다. 뭐 저의 이 댓글도 주절주절이네요. ^^

전자인간 2007-07-25 22:11   좋아요 0 | URL
100% 동감입니다!

클리오 2007-07-25 16: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 님.. 보고 싶어요... (본문과 상관없는 댓글... ㅎㅎ)

바람돌이 2007-07-25 21:47   좋아요 0 | URL
저도 보고싶어요. 저는 그래도 들쑥날쑥 서재마실을 다니는데 클리오님이 영 뜸하세요. 반성하시라구요. ㅎㅎ

2007-07-25 17: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프레이야 2007-07-25 23: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휴가 잘 다녀오셨군요! ^^
제 삶은 지금 어디메쯤? 음..

바람돌이 2007-07-27 02:25   좋아요 0 | URL
글쎄요. 혜경님!! 어쨌든 대한민국정도의 경제적 수준이면 김훈씨 비슷한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거겠지요.

2007-07-26 00: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바람돌이 2007-07-27 02:27   좋아요 0 | URL
앞의 전자인간님 말씀대로 주타격이 어디인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아니면 그쪽은 아예 공격할 엄두를 못내게 되면 그런 얘기도 나오겠지요. ㅎㅎ 그나저나 아이들 사진은 요즘 제가 좀 게을러져서리...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