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읽은 가장 재미있는 책
눈뜬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한때는 말이다. 나도 높은 자리에 있는 분들이 뭔가 정책을 결정하고 할때는 그게 아무리 맘에 안들어고 그래도 나름대로의 심사숙고와 다방면에서의 연구와 이런걸 하고 한거라는 생각을 한적이 있었다. 그런데 살아보니까 그게 아닌것 같다는 느낌이 자꾸 드는데 참 이상하기도 하지....

4년전에 온 나라의 사람들이 눈이 멀었던 바로 그곳.
모두가 그런 일이 없었다는듯이 시침 뚝떼고 묻어버리려는 현재
그런데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다시 발생한다.
소위 민주적이라는 외피를 뒤집어쓴 선거에서 수도 시민의 83%가 백지투표를 한 것.
주제 사라마구다운 설정이라는 생각이 확 풍긴다.
선거라는 제도가 민주적이라는걸 믿는건 이젠 순진한 사람들만일게다.
이놈의 나라에서도 선거때마다 도대체 찍고 싶은 인간이 없어 최선이 아니라 최악을 피하는 형태로만 투표를 해온지 오래. 어쩌면 너희들 모두 아웃이야를 외치면서 백지투표를 하고 싶다는생각을 하는 사람이 나 혼자만은 아니리라.
어쨌든 실제로 소설과 같은 일이 벌어진다면 통쾌하기는 할 것 같다.

정말로 이 사건은 소설속 우익정권에게는 권력을 잃은 것보다도 더 심각한 사태로 받아들여진다.
그들이 신봉하는 체제 이념 권력 그 자체가 깡그리 부정당하고 비웃음을 당한 것이니....
그러나 권력이 반성한다는건 언제나 기대하기 힘들다.
우익이든 좌익이든....
소설속 우익정권 역시 그들 자신의 무능이나 파렴치함이나에서 원인을 찾을 생각은 눈꼽만큼도 없다. 이것은 어쩌면 권력이라는 것 자체의속성일지도...
그들은 끊임없이 시민들에게 책임을 돌리고 시민들을 비판하고 그리고는 결국 시민들에게 복수를 결심한다. 이러한 과정들이 진지하다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다. 지극히 주관적이고 지극히 즉흥적이다. 아니면 그만이라는, 또 다른 방법을 해보면 되지라는.... 그것이 어떤 결과를 나을지에 대해서는 누구도 고민하지 않는다.
계엄령을 내리고 수도를 이전하고 온갖 방법으로 시민들에게 반성하라! 반성하라! 외치지만 그것은 그저 공허한 메아리일 뿐이다. 정부가 권력이 떠나도 일상은 굳건하게 그렇게 지켜지고 흘러간다. 무언의 저항. 누구에게 칼날을 들이대야 할지 알 수 없기에 가장 두려운 저항.
하지만 두려움은 더욱더 우익정권의 눈을 가리고 이성을 마비시키고 자신에게로 향해야 할 눈을 아예 없애버린다.
그들은 광적으로 누군가를 찾는다. 즉 자신들의 무능과 추악함을 대신해서 한꺼번에 짊어줘줄 그 누군가를.... 그리고 대상이 일단 발견되면 나머지는 모두 만들어낼 수 있다. 그들은 권력을 가졌고 언론을 가졌고 방해가 되는 모든 것들을 없앨 수 있는 힘을 가졌기에....

그래서 세상은 여전히 눈이 먼자들의 세상이다.
이제 눈 뜬자들은 눈 뜬자로서의 자각을 실행하고 뭔가 다른 세계를 갈구하지만 그들이 눈을 뜸으로해서 봐야 할 것이 무엇인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럼으로 여전히 눈을 감고 눈이 먼자들은 눈먼 세상을 강요할 수 있는걸게다.
이곳에서 눈 뜬자는 죄악이다. 우리 세상도 그렇다.
희망은 있는걸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팀전 2007-07-20 09: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제사라마구는 포르투갈 공산당원이기도 했잖아요.그의 소설은 좌파적 은유로 읽어야할 때가 많지요.보통선거권(이것도 진정한 의미로 작용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이란 것도 좌파적 시각에서 보면 그 연원이 상시 노동력확보를 위한 노동력 포섭과정의 일환으로 분석합니다.선거권을 주더라도 부르주아 헤게모니의 전복같은 것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확신에서 이루어진 거래라는 거지요.그렇다고 선거권이 가진 역사발전적 측면을 무시하거나 폄하하는 것은 아니지요..그런 의미도 있다는 것..(교과서에서는 단순히 시민권력의 확대,민주주의 성취라고 만 배웁니다)...예를 들어 투표같은데서 찬성/반대/기권...이걸 페스팅거의 인지부조화 이론에 도입해보면 긍정/부정/무시.(또는 불인정)로 억지로 대입시켤 볼 수 있을 듯해요.사실 권력이 가장 무서워하는 것은 긍정/부정이 아니라 불인정이지요...실제 현실에서 저런 불인정은 이루어지기 힘들겠지만...

바람돌이 2007-07-25 02:39   좋아요 0 | URL
주제 사라마구의 경력은 정말 상당히 독특하더군요. 데뷔를 하고도 19년간 단 한편의 작품도 발표하지 않은채 공산당활동에만 전념했다 - 사실 그러기 쉽지않을 것 같은데... 게다가 그 이후에 발표한 작품들의 내용을 봐도 그가 가진 비판정신이 전혀 녹슬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잖아요. 멋진 사람이예요. ㅎㅎ - 근데 이 책보면서는 현실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그 불인정이 한번쯤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면 꽤 멋질것 같다는 생각을 잠시 해봅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