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에 출간 예정인 저의 새로운 책 [스피노자 윤리학 수업]의 머리말을 올립니다. 


그린비 출판사에서 나올 이 책은, 오디오북과 활자책 형태로 같이 출간할 계획입니다. 


여기 올리는 머리말은 활자책을 위한 머리말입니다. 


-----------------------------------------------------------


스피노자 윤리학 수업 머리말

 

 

스피노자의 [윤리학]에 관한 한 권의 책을 여기 세상에 내어놓습니다. 이 책은 지난 10여 년 간 대학 바깥의 강의실에서 여러 시민 독자들을 상대로 한 [윤리학강의의 한 가지 결과물입니다.


이 책은 무엇보다, 스피노자 철학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윤리학]을 직접 읽어보려는 엄두를 내지 못하는 독자들, 또 [윤리학]을 직접 읽어보려고 시도했지만 난해하고 복잡한 논의에 좌절감과 실망감을 경험한 독자들을 염두에 두고 쓴 책입니다. 따라서 이 책은 스피노자의 [윤리학]에 대한 상세하고 엄밀한 연구서를 지향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마냥 쉽게 풀어쓰려고 하지도 않았습니다. [윤리학]이라는 책은 비할 데 없이 엄밀하고 체계적인 논증으로 구성되어 있고, 철학의 거의 모든 분야의 쟁점들을 한 권에 압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책과 같이 [윤리학]에 관한 평이한 개론서를 지향하는 책이라 해도, 스피노자의 논의를 충실히 반영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면, 알맹이 없는 수다에 그치게 될 것입니다.


쉬우면서도 충실한 개론서, 아마도 모든 개론서가 지향하는 것일 이 목표는 이 책이 또한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의 전부입니다. 이 책이 그것을 얼마나 성취했는지는 독자 여러분들의 판단으로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

 

이 책은 특히 다음과 같은 점들을 충실히 전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첫째, [윤리학]의 주요 용어들과 개념들을 명확히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윤리학]을 읽을 때 독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스피노자가 사용하는 용어들 및 개념들을 분명하게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스피노자의 논의가 워낙 경제적이고 압축적인 데다가, [윤리학]이 우리에게는 상당히 낯선 17세기 서양철학의 지적 배경 속에서 쓰인 책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책과 같은 [윤리학] 개론서는 우선 스피노자가 사용하는 어휘들이 어떤 지적 맥락에 기반을 둔 것인지 해명하고 그것들이 [윤리학]의 전체 논의 속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5부로 이루어진 [윤리학]의 전체 논의 구조와 흐름을 명료하게 제시하면서 동시에 각 부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주제들의 내용과 쟁점을 가능한 한 충실히 소개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윤리학]을 어떤 순서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읽어야 하는가에 대해 확정된 답변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개론서일수록 [윤리학]에서 스피노자가 스스로 채택한 논리적 구조와 주제들을 더 충실히 해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윤리학]을 자유롭게 독서하고 활용하는 일은 그 바탕 위에서 더 잘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셋째, 가급적 주요 대목의 본문을 많이 인용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철학의 다른 고전들과 마찬가지로 [윤리학]은 한 대목 한 대목 꼼꼼히 독서할 때 그 진가를 더 잘 음미할 수 있습니다. [윤리학]이 가치 있고 중요한 책이라면, 그것은 스피노자가 탁월한 건축가이자 세심한 목수이면서 빈틈없는 미장이이기 때문입니다. [윤리학]은 심혈을 기울인 단어 하나하나, 문장 하나하나 위에 쌓아올린 위대한 지적 건축물입니다. 그것을 즐기기 위해서는 전체의 설계도와 구조에 유념하면서도 디테일을 하나씩 찬찬히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

 

스피노자의 [윤리학]을 반복해서 강의하는 기간 동안 저는, 오늘날 대학에서 [윤리학](또는 다른 철학의 고전들) 같은 책을 장기간에 걸쳐 강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대학 바깥의 인문학 강의실에서는 강사의 의지와 노력이 뒷받침된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을 절감하게 됐습니다. 이 책은 지루하고 딱딱한 그 강의를 경청해주었던 수강생 여러분들의 인내의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그 분들이 이 책을 보람으로 여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21. 11. 30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21-12-01 2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피노자 윤리학 수업, 출간 예정 축하드립니다.

balmas 2021-12-01 21:37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프레이야 님.^^

책잡힌사람 2021-12-01 2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나오자마자 사보겠습니다. 좋은 책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balmas 2021-12-02 0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고맙습니다, 위트 님.

바람돌이 2021-12-02 0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립니다. 스피노자도 윤리학도 어렵게만 느껴지는 저같은 사람을 위한 책 맞나요? ^^

balmas 2021-12-02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물론입니다.^^

geum21 2021-12-05 14: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한솔 입니다. 축하드립니다. 교수님. ^^

balmas 2021-12-05 1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한솔 씨 고맙습니다.^^

우주로 2021-12-16 05: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킹왕짱 감사합니다 윤리학이 어려운 저같은 사람에게는 큰 도움 될거 같습니다~ 혹시나 해서 와봤는데 정말 기쁜 소식이네요 새해가 기대됩니다~

balmas 2021-12-16 12:00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윤리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레뽀 2021-12-24 0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로 지난했던 수업들의 결과물이군요. 싸인 받으러 갈게요. 축하드려요.

balmas 2021-12-25 12:36   좋아요 0 | URL
ㅎㅎ 고맙습니다.^^

청루 2022-04-12 02: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선생님, 책 잘 읽었습니다. 덕분에 스피노자 윤리학을 더듬더듬 들추어가며 읽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여기에 올리는 것이 적절한지 모르겠습니다만 한 가지 질문드리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이미지와 상상 개념과 관련된 것인데요, 스피노자에 따르면 외부 물체에 의한 신체의 변용이 이미지이고, 그 이미지에 대한 관념이 상상이지 않습니까? 이와 관련해서 책에서는 태양이 망막에 가져오는 변용이나 만두국이 미각에 가져오는 변용을 예로 들기도 하셨구요. 그런데 만약 우리 신체의 변용이 외부의 물체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이미지, 나아가 상상을 형성할 수 없는 것인지요? 이를테면 문학작품을 읽거나 누군가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 어떤 장면이 연상되며 눈물을 흘리거나 요새 흔히 쓰이는 표현처럼 소름이 돋는 경우엔 이미지를 형성했다고, 나아가 관념의 대상, 즉 상상이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인지요? (물론 이때의 소설과 이야기는 책, 글자, 음성과 같은 물질적 차원이 아니라 그 내용의 차원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이제 겨우 한 번 읽어본 것이라 이해가 많이 부족합니다. 혹시 시간 나실 때 간략하게라도 답변을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내시는 작업들 앞으로도 잘 찾아읽도록 하겠습니다.

balmas 2022-04-14 23:20   좋아요 0 | URL
청루님, 질문 고맙습니다.^^ 그런 경우에도 상상이라고 할 수 있겠죠. 읽거나 듣는 행위 자체가 변용 작용이고, 그러한 변용 작용은 항상 상상 작용을 수반하기 마련이죠. 또한 기억 자체도 상상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