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 도
우리는 예부터 남녀를 가리지 않고 작은 칼을 지니기로 되어 있었다. 그 작은 칼을 두고 패도라고도 했고 장도라고도 불렀다. 이밖에 몸에 차거나 품지 않고 주머니 속에 간직하는 칼이 있었는데 그것은 낭도, 줌치칼 또는 주머니칼이라고 불렀다. 패도는 칼몸과 칼자루와 칼집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으나 벙어리장도의 경우에는 칼몸이 없고 칼자루와 칼집만 있다. 패도로서 큰 것은 전체의 길이가 다섯 치이고 칼몸의 길이가 세치인데 몸체가 작은 것은 세 치에 한 치 닷 푼이며 줌치칼도 세 치에 한 치 닷 푼이다. 그러나 칼의 길고 짧음은 때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또 패도는 꾸밈새에 따라서 갖은 장식과 맞배기의 두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패도 가운데서 가장 흔한 것은 먹감나무와 대추나무로 된 것이다. 이밖에도 나무 종류로는 배나무, 화류, 화양목과 같은 것을 쓰되 칠을 하는 법이 없고 거의가 고운 손때를 묻혀가면서 쓰기 마련이다.
 |
장도류 겉치장이 아무리 정교하고 호화스러워도 패도의 생명은 칼에 있다. 칼에 쓰이는 편철은 너무 강해도 안되고 지나치게 물러도 못쓴다. 강하고 무른것이 알맞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
다른 한편으로 부녀자들의 패도로는 금, 은, 산호, 상아, 무애, 대모, 호박, 밀화, 황옥, 백옥, 비취 들과 같은 귀금속이나 귀석으로 꾸민 것이 있다. 특히 은장도에는 양각, 음각 또는 고각으로 십장생, 소상팔경, 초화문, 길상문자 들을 치장하거나 오색이 아름다운 파란으로 입혀서 돋보이게 한 것이 있다. 또 칼자루는 백옥으로 하고 칼집은 비취로 받쳐 희고 푸른 빛을 은은히 어울리게 꾸미기도 했고, 백옥 자루에 호박이나 대모로 칼집을 만들어 소재의 이질감을 조화시키기도 했다.
이렇듯이 겉치장이 아무리 정교하고 호화스러워도 패도의 생명은 칼에 있다. 칼에 쓰이는 판철은 너무 강해도 안되고 지나치게 물러도 못쓴다. 강하고 무른 것이 알맞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쇠의 성질이 너무 강하면 잘 들기는 하나 날의 이가 잘 빠지거나 쉬 부러지고 또 무른 것이 지나치면 잘 들지 않는다. 그래서 강하고 무름을 겸하되 칼날은 강하고 그것을 감싸는 칼몸이나 칼등은 날에 비겨 물러야 한다. 그런 칼을 쳐내려면 풀무불에 쇳덩이를 달구어 망치로 치고, 식으면 또 담금질을 해서 치고 하기를 수없이 거듭해야 한다.........
대체로 한 자루의 패도가 만들어지기까지는 여러 천백 번의 손길이 미쳐야 하니, 패도의 명에서 보듯이 '일편심'없이는 만들기 어렵다. 따라서 그 공력은 천금의 값으로도 흡족하다 할 수가 없을 만큼 값진 것이다......
신라의 화랑들이나 고려의 귀인들이 패도를 찬 모습은 유물이나 사서를 통해서 이리저리 상상의 나래를 펴볼 수 있어 좋으나, 막상 조선시대로 접어들면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에 이 나라 여자들이 적의 사나운 손길에서 순결을 지키려고 패도를 빼어들고 스스로의 목숨을 잃은 사연에 이르러서는 암울한 마음을 가눌 수가 없게 된다. 그와 같은 정황은 병자호란을 당했을 때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적을 해치기보다는 스스로의 몸과 마음을 지키려고 지녔던 패도는 일상생활에서도 긴한 구실을 하는 물건이었다. 서간지나 시전지나 축문이나 지방을 자르고 어린 손자의 팽이를 깎는 데에 쓰기도 했으며, 과일 껍질을 벗기고 손톱을 깎는 데에도 썼다. 또 때로는 봄날에 먼나들잇길을 떠났다가 호젓한 길섶에서 버드나무를 만나면 가지를 꺾어 버들피리를 다듬는 데에도 쓰였다. 이렇게 쓰는 사이에 날이 무디어지면 숫돌에 갈아서 쓰고쓰고 하여 마침내 칼이 송곳처럼 무지러질 때까지그대로 아껴 썼다.
예부터 패도는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서로 그냥 주고받지 않았다. 반드시 돈으로 사고 팔기 마련이었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나 친형제 사이라도 그렇게 했다. 이럴 때에는 제 값을 다 치르는 것이 아니라 상징적으로 엽전 한 닢이라도 주고받았다. 그것은 패도가 물건을 자르는 구실을 하는 것이니 만큼 서로의 정의가 끊길 것을 염려하였기 때문이었겠고, 더 근원적으로는 패도를 소중하게 생각했기 때문이었겠다......
--<민중의 유산>은 민속학자 예용해선생님께서 1976년 10월부터 1980년 7월까지 월간 "뿌리깊은 나무"에 연재한 43편의 글중에서 선별한 것임을 밝힙니다. 이제는 고인이 되신 선생의 글을 편집상 부득이하게 다 싣지 못하고 줄여서 게제한 점이 못내 송구스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