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 사랑한 꽃들 - 33편의 한국문학 속 야생화이야기
김민철 지음 / 샘터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 속에 핀 꽃들을 꽤 인상깊게 읽었었는데, 새 책이 나왔다. 이번엔 문학이 사랑한 꽃들이다. 내가 어떤 책을 읽을 때마다 내 아이와 연관짓거나, 자녀교육, 독서지도 등을 생각하며 읽는 것처럼, 저자인 김민철은 그 속에서 꽃을 찾는다. 무언가에 관심을 갖고 바라보면, 남의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도 잘 찾아낸다. 함께 길을 걸으면서도 누군가는 발끝을 스쳐가는 야생화에, 누군가는 오로지 목표지점을 향해 걷는다. 지인이 카스나 블로그에 올린 사진들을 보면 그들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다.


나는 저자가 소개한 33편의 문학 작품 중에서 절반 가까이 읽었는데도, 그 속에서 야생화를 건져올리지는 못했다. 똑같은 것을 보아도 이렇게 다르게 보는구나 싶다. 내가 발견하지 못한 꽃들의 이야기를 저자의 글을 통해 만났다.


아무래도 봄에 출간되는 책이어서 그랬을까? 김연수의 '벚꽃 새해'가 가장 먼저 나온다. 내가 있는 이곳은 지금 벚꽃이 만개하였다. 김연수의 《사월의 미, 칠월의 솔》을 참 재미있게 읽었었다. 김연수는 워낙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고, 그의 책에 대한 이야기도 많아서 나는 섣불이 그의 책과 그의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기가 어려웠다. 그런데 이렇게 읽을 수도 있구나.


박민규의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에 쥐똥나무가 나왔나? 기억은 나지 않지만, 쥐똥만 한 스트레스, 쥐똥나무만 한 스트레스로 표현된 쥐똥나무. 그랬구나. 정이현의 《달콤한 나의 도시》에서는 이십 일을 기념하는 빨간 장미 두 송이가 나온다. 소설의 내용을 떠올려보자니, 빨간 장미가 참 어울리는구나 싶다.


사실, 책 속에 등장하는 많은 야생화들을 내가 기억하지 못한 것은 어쩌면, 너무 흔한 꽃이어서일 것이고, 한편으로는 무슨 꽃인지 이미지가 그려지지 않는 낯선 꽃이어서일 지도 모르겠다. 윤후명의 《둔황의 사랑》에서 나온 꽃들은 이름마저 생소하다. 저자는 윤후명이 야생화에 조예가 깊은 작가라고 소개한다. 그의 소설 속에 나온 꽃들이 그러하고, 실제로 꽃과 관련 있는 책을 내기도 했기 때문이다.


20년 쯤 전에 읽었던 책들도 보인다. 근대 문학이나 고전은 아니지만, 그래도 몇 십년은 가는 작품들이다. 한 번 읽은 소설을 다시 펼쳐 보는 일은 거의 드문 일인데, 저자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다시 한 번 읽어볼까 하는 마음이 생긴다. 그 장면이 그런 의미였어? 은근히 내 얕은 기억이 거슬린다.


책을 읽다보니, 저자는 꽃을 사랑하기도 했지만, 문학을 사랑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나는 소설이나 시와 같은 책에 대해 글을 잘 쓰지 않는 편이다. 사실은 그런 책을 읽고 나면 괸장히 개인적인 감정을 느끼기 때문이다. 꽃을 다룬 글이지만, 작품을 절대 소홀히 하지 않는다. 이 책을 읽는 내내 꽃을 알고 싶다는 마음도 들었지만, 그 작품을 다시 읽고 싶어졌기 때문이다.


봄빛이 짙어 가는 4월이다. 앞으로 수많은 꽃들이 피어날텐데, 한번 잘 들여다봐야겠다. 《문학 속에 핀 꽃들》도 좋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책이 더 잘 읽힌다. 앞의 책에서는 꽃을 찾느라 작품과는 조금 삐걱거리지 않았나 하는 마음이 들었는데, 이번 책은 꽃도, 작품들도 둘 다 제 자리를 찾은 듯 어우러진 것 같다.


앞으로는 나도 책을 읽다가 야생화들에 관심을 가질 것 같다.


<이 책은 샘터 물방울 서평단으로 받은 책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5-04-08 07: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꽃`이면 꽃인데, 이 꽃에 `야생화`라는 이름을 왜 덧붙이는지 아리송해요.
`들꽃`을 한자말로 옮겨서 `야생화`인데,
장미는 `들꽃`이 아닌 `꽃집에 있는 꽃`일 테지요...
아무튼 마음에 꽃씨를 심는 사람이 꽃을 이야기할 수 있으리라 느껴요

하양물감 2015-04-08 08:33   좋아요 0 | URL
아, 들꽃. 그렇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