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터 2015.2
샘터 편집부 엮음 / 샘터사(잡지)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벌써 2월호인가?

나는 샘터가 도착하면 아, 또 새 달이 시작되는구나...하는 생각을 한다. 그만큼 바쁘기도 한 탓이다. 주부로서, 엄마로서, 직장인으로서 하루를 보내다보면, 늘 시간이 모자란다. 남들보다 이른 시간에 일어나 책을 읽고 하루를 준비한다. 그리고, 늦은 밤 다시 책을 읽으며 잠이 든다. 나에게 있어서 사는 재미란 책을 읽는 시간을 오롯이 나만의 것으로 누릴 수 있는 날이다.


샘터 2월호 특집은 나는 재미있게 산다라는 주제이다. 읽기 전에 생각해본다. 나는 재미있게 살고 있는가? 사실은 요즘은 조금 우울하다. 나름대로 이 우울을 극복하려고 애를 쓰고 있지만, 애를 쓰면 쓸수록 오히려 더 가라앉는 기분이라, 이제는 탁! 놓아버렸다. 차라리 아무 것도 아닌 척 무시하리라... 하면서.


건담을 좋아하는 아저씨, 밴드활동을 통해 음악을 즐기는 사람, 허리가 90도로 꼬부라진 할머니의 배움에 대한 열정, 집중하여 뜨개질을 하며 위로받는 그녀들의 이야기를 읽다보니 슬그머니 웃음이 난다. 그래 인생 별거 있나? 크게 벌이지 않아도 내 곁에는 소소한 즐거움들이 있는데..


샘터에세이 '공동체 돼지국밥'. 서울에서 생활하다 돼지국밥이 먹고 싶어 한참을 찾았던 때가 있었다. 어, 왜 돼지국밥 파는 곳이 없지? 하며 의아해했던 적도 있다. 돼지국밥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는데, 어느날부턴가 그 깊은 맛을 좋아하게 되었다. 에세이 저자의 기억 속에 있는 옛날 맛 돼지국밥이 아니더라도, 나는 내가 즐겨먹었던 그 돼지국밥의 맛을 좋아한다. 세월따라 바뀌는 것이 어디 돼지국밥 맛 하나뿐이랴.


이달에 만난 사람 '국립중앙도서관 임원선 관장'. 요즘 내가 하는 일도 책과 도서관, 독서 등과 관련있는 일이다보니 도서관계를 자주 들여다보게 된다. 몇 년 전만 해도 나는 도서관의 이용자로서 불만이 많았다. 우리 동네에서 가까운 도서관들은 어찌 그리 언덕 위에 있는지. 중고등학교 때는 그 언덕길도 잘만 올라갔는데, 이제는 같은 그 길을 걸어서는 절대 못간다. 체력의 문제이고, 살이 찐 탓이다. 어쨌든 도서관은 최대한 가까운 곳에 있어야 하고, 가기 편한 곳에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언덕길이 많을 수 밖에 없는 부산의 지리적 환경을 고려한다하더라도!!! 최근에 우후죽순 늘어난 작은도서관들도 이용자층을 다양화했으면 좋겠다. 나같은 어중간한 어른도 가고 싶은 도서관이었으면 한다. 국립중앙도서관이면 그래도 우리 나라에서는 도서관의 대표격이 아닌가. 내가 바라는 것은 하나다. 그 좋은 자료들, 대한민국 사람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얼마 전에 신동흔 선생의 책을 읽어서그런가, 이 꼭지가 유난히 재미있고 흥미로웠다. "나아갈 길이 두렵고 험난해 보일 때, 커다란 장벽이 앞을 막아설 때에, 스스로 북 치는 소년이 되어볼 일이다. 북을 꺼내 보란 듯이 둥둥 두드려볼 일이다. 용기와 신념이라는 우리 안의 큰북을."(p.51) 민담을, 옛이야기를, 신화를 읽는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오랜 시간, 이야기가 전승된 데에는 분명 이유가 있는 법이다.


* 샘터 물방울 서평단으로 '샘터 2월호'를 받았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15-01-31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샘터 찾아봐야겠네요. 참 알찬 내용^^
편집일을 하시나요?
도서관이 언덕에 있는 이유는? 땅이 싸니까?ㅎ
돼지국밥 아직 못먹어봤어요.

하양물감 2015-02-01 22:21   좋아요 0 | URL
세실님 편집하고는 관련이 없어요. 한국독서문화재단이라고 사단법인에서 일해요. ^^ 이름이 참 포괄적이지요?

돼지국밥은 꼭 한번 드셔보세요. 첫경험은 반드시 맛있는 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