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끝의 기적 - 시각 장애 아이들의 마음으로 찍은 사진 여행 이야기
인사이트 캠페인을 만드는 사람들 지음 / 샘터사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각장애 아이들이 사진을 찍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사진이 모여 한 권의 책이 되었다.

이런 시도가 가능했던 것은 무엇때문일까?

보이지도 않는데, 무엇을 어떻게 찍었다는 말일까?

나의 의문은 확인해보고 싶다는, 그들의 사진을 보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싶다는 생각을 하게 하였다.

 

 

인사이트캠페인.

나는 처음 들어보았다.

이 책을 보고서야 아, 이런 것도 있구나.

이런 일을 하는 사람들도 있구나.

이 아이들도 세상을 이렇게 아름답게 찍을 수 있구나.

흔한 인증샷이 아니라, 마음을, 생각을, 사랑을, 바램을 표현하는 이런 사진도 있구나.

나는 계속 혼잣말을 되내었다.


사진찍는 것을 좋아한다. 나도, 우리집 아이도.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나는 인증샷을 남기는 편이고, 우리집 아이는 자기가 기억하고 싶은 것만 찍는다.

내가 찍는 사진은 기록으로서의 가치도 그닥 없어보인다.

그저, 찍어야하기 때문에, 남한테 뭔가 보여주기 때문에 찍는다.

우리집 아이는, 자기가 기억하고 싶은 것만 찍는다.

적어도 지금은.



이 아이들은 무엇을 찍고 싶었을까?

보이지 않는 것을 찍고, 자신이 찍은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지만, 이들은 찍는다.

왜냐하면,

이 아이들이 찍는 것은 자신들이 보고 싶은 것, 만지고 싶은 것, 알고 싶은 것들이다.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저 찍는 것 자체가 좋아서이다.

내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아이들은 카메라라는 도구를 사용해 이미지를 저장한다.

그 이미지는 그래서,

우리에게 더 많은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아이들이 찍은 사진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함께 보고 함께 이야기 나눈다.

우리가 볼 수 없는 것을 이 아이들은 본다.

우리가 그저 껍데기에 지나지 않는 것을 찍는데 멀두할 때 아이들은 자신의 마음을 담아 찍는다. 그러니 그 사진에는 수많은 마음이 찍힌다.

이야기가 찍힌다.

오로지 감각에만 의존해야 하지만,

그 감각때문에 사진은 이야기가 된다.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과 글쓰기 수업을 할 때,

 무엇을 써야 할 지 모르는 아이들에게 눈을 감고 상상하게 한다.

소재를 던져주고, 그 소재를 중심으로 생각을 끄집어낼 수 있게 도와준다.

그러나 쉽지 않다.

그렇지만, 이렇게 소리를 담고, 빛을 담고, 마음을 단는 아이들이 있다는 걸 알면 어떨까?

이 책을 보면서 나는 이 책에 있는 사진을 가지고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기로 했다.

나는 보이지만 볼 수 없는 것들을 얼마나 많이 담고 있는가?

 


 

 

 

 세상을 찍지만, 결국은 나 자신을 찍고 있다는 말이 가슴에 와 닿는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그 사진을 통해 나를 드러낼 수 있다.

내가 알지 못하는 나를 발견하는 기쁨.

 

 

보고 싶은 게 얼마나 많을까?

얼마나 궁금하고, 얼마나 알고 싶을까?

그런 바람이 고스란히 담겨 전해지는 사진들이다.

 

 

사진을 찍는 일이 쓸데없고 쓸모없는 일이라 하여도,

찍는 이와 보는 이가 마음을 열고 대화할 수 있는 창이 되어준 것 같다.

그러니 이것이 어찌 쓸데없는 일이고, 쓸모없는 일일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4-02-28 1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천에 '이상봉'이라는 분이 있어요. 이분은 <안녕 하세요!>라는 책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맹인학교 아이들과 '사진부'를 만들어서 오래도록 사진을 가르치고 찍는 일을 하셨지요. 나중에 이상봉 님이 쓴 책도 찾아서 함께 살펴보셔요. 그러면 '눈이 아닌 마음으로 보며 사진찍기'를 한결 널리 헤아려 보는 데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해요.

하양물감 2014-02-28 14:47   좋아요 0 | URL
네 챙겨서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