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를 드립니다 - 제8회 윤석중문학상 수상작 미래의 고전 27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섯 편의 동화가 실린 이 작품집은 어린이책이지만,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내용이 많았다. 아직 아이가 어려 아이와의 관계에서 무언가를 느꼈다기보다 이 책에 나오는 주인공들의 부모나, 그 주변인들에게 많은 공감을 느꼈다.

 


특히 첫번째 '조폭모녀'는 과거의 내 생각을 옮겨온 듯한 느낌마저 들면서 민지엄마의 마음을 이해한 것이다. 민지의 엄마는 학습지 선생님이다. 엄마는 민지를 학원에 보내지 않고 학습지만 시킨다. 성적이 떨어지면 머리를 쥐어박기 일쑤고, 개그맨이 되는 것이 꿈인 민지에게 교육대학교에 가서 선생님이 되기를 바란다. 민지는 그런 엄마를 조폭엄마라고 부른다. 늘 엄마 맘대로 하려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민지가 좋아하는 영민이의 학습지 선생님이 바로 민지엄마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민지와 민지 엄마는 서로 영민이에게 비밀로 하라고 말한다. 그러던 어느날, 영민이가 쓰기 시간에 발표한 글때문에 민지는 엄마의 다른 모습을 보게 되었다. 민지에게는 늘 머리를 쥐어박고 자신의 꿈엑\는 관심도 없이 오로지 선생님이 되라고만 하는 엄마가, 영민이에게는 꿈을 포기하지 말라고 격려를 했다는 것이다.

 

민지 엄마의 꿈은 선생님이 되는 것이었는데, 비록 학교가 아닌 방문학습지 교사가 되었지만 자신의 꿈을 이루었다고 말한다. 민지는 늘, 푸념을 하는 엄마 때문에 학습지 교사를 돈을 벌기 위해 억지로 하는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란 걸 알게 된 것이다.

 


내가 대학을 졸업할 즈음, 나 역시 학교 선생님이 도기 위해 임용을 준비하고 있었다. 어렵게 교원자격을 얻었지만, 그때 내가 사는 지역에서 뽑는 선생님 숫자는 단자리 숫자였다. 결국 임용을 포기했고, 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지만 학교 선생님과 학원선생님을 바라보는 아이들의 눈빛은 확실히 달랐다. 뿐만 아니라 보수도 천지차이였다. 1년 정도 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다 임시직으로 중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게 된 나는 그 차이를 확실하게 깨달았고, 다시는 학원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게다가 임시직은 임시직이어서 금방 그만두게 되었는데, 그때 아예 다른 길로 가기로 마음 먹었다가 5년쯤 지난 뒤에야 다시 선생님이 되었고, 대학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다. 지금은 또다시 결혼과 출산으로 인해 그 길과는 다른 길을 걷고 있지만, 여전히 선생님에 대한 꿈은 여전하다.

 

꿈을 안고 살았고, 그 꿈이 현실이 되는 순간을 잠시라도 경험한 사람이라면, 아이의 꿈을 무시한 채 그저 돈벌이가 잘되는 일을 하라는 말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물론 돈도 무시할 수 없는 직업선택의 기준이고, 결혼조건에 우대받는 직업도 그냥 흘려들을 수는 없는게 현실이다. 하지만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하는 것만큼 의미없는 삶이 또 있을까?

 

그러나 중요한 것은 있다. 어른들이 바라는 직업도, 내가 원하는 꿈도, 그 어떤 것도 노력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란 것. 그 노력을 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 그 나이에 그 시기에 알아야 할 것은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이다. 민지 역시 그것을 깨닫지 않았을까?

 


두번째 이야기 '건조주의보'는 가족의 의미를 되새겨보게 되는 이야기이다. 어느 가정에나 흔히 있을법한 이야기지만, 누나에게 절절 매는 가족의 태도가 올바른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그런 와중에 비뚤어질 수도 있고, 엇나갈수도 있는 '건우'가 낙천적이라는 사실이다. 누나와 가족들의 행동에 불만은 있지만, 거기에 순응하면서 오히려 눈에 띄지 않고 자신만의 생존수단(?)을 나름대로 터득한 아이이다. 그렇지만, 마지막에 건우는 가족과 자신의 공통점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건 마치 '발가락이 닮았다'를 연상시킨다.

 


세번째 이야기 '몰래카메라'와 네번째 '이상한 숙제'는 이 다섯 동화 중에서 좀 약한 느낌이 든다.


마지막 '사료를 드립니다'는 장우와 장군이의 끈끈한 애정을 느낄 수 있으면서, 또 한편으로는 개인적, 사회적으로 방치되어 살아가야 하는 아이들의 삶을 볼 수 있어서 가슴 한켠이 찡했다. 장우가 장군이를 가족처럼 여기며 보살펴주었지만, 어쩔 수 없는 헤어짐을 겪게 되고 다시 찾은 장군이의 모습에 화가 난다. 잘 보살펴주겠다던 장군이가 방치되어 있는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중에는 자기와 함께 살던 장군이의 모습보다 아이들과 함께 뛰어노는 장군이의 모습이 더 행복해보이는 걸 깨닫는다.

 

왜일까? 번지르하게 손질을 해주고, 좋은 사료와 애견용품, 그리고 극진한 보살핌을 받던 장군이가, 제대로 된 밥도 먹지 못하고, 애견용품은 커녕 제대로 된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그곳에서 더 살아있는 느낌을 받은 것은.

 

우리는 어쩌면 개를 사랑하고 보살핀다는 이유로 개를 개답지 못하게 키우고 자신의 소유물 정도로 생각한 것은 아닐까? 가족같다고 말하지만 가족과 같은 정을 주고 받지 않은 것은 아닐까? 이 이야기를 읽다보면 그런 생각이 많아진다.

 


 

사람마다 느끼는 바가 다르겠지만, 어떤 이야기든 자신과 동일시되는 주인공이나 주변인물을 만났을 때 크게 다가오는 법이다. 다섯 편의 동화 중에서 그러한 이야기를 두개 만났다. 다른 사람들은 또다른 느낌을 받겠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12-01-05 1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읽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