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일깨우는 글쓰기>를 읽고 리뷰해주세요.
나를 일깨우는 글쓰기
로제마리 마이어 델 올리보 지음, 박여명 옮김 / 시아출판사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어떤 사람이 읽는가에 따라 느낌이 많이 달라질 책이다. ‘나를 일깨우는’ 방법으로서 뭔가 획기적인 글쓰기를 원했다면 조금 아쉬울 책이고, ‘일상 기록법’이라는 부제에 눈길을 준 사람은 조금 만족스러웠을 책이다. 다시 말해 평소 자기 나름의 글쓰기를 하고 있었던 사람보다는 ‘글쓰기’라는 말만 들어도 움츠러들 정도로 부담스러웠던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책이다.

책의 표지는 많은 것을 이야기한다. 이 책이 어떤 책일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이 책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것이다. 참 부끄럽게도 나는 책의 제목과 부제는 흘려보았고 ‘소설가 공지영’에만 눈길이 갔으니, 책을 펼쳐들고 읽기 직전까지 ‘공지영’이 쓴 글쓰기 책인 줄 알았다. (에구 --;;)

글을 쓰는 행위는 왜 일어날까? 단순 사실의 기록에서부터 개인적인 감상의 기록과 공유, 전문적인 정보의 전달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목적이 있을 수 있다. 이 책에서 말하는 글쓰기는 매일매일 쓰는 일기를 통해 자신의 삶을 동아보고 계획하게 만들며, 그를 통해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게 만드는 글쓰기이다. 지극히 개인적인 글쓰기이며, 친구나 연인, 가족으로 확장이 가능한 글쓰기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즐겁게 글을 쓰기 위한 색다른 시도’에는 다양한 글쓰기의 형식을 만날 수 있다. 저자도 강조하는 바이지만, ‘결국 형식은 내용 다음으로 중요하다’(p.77)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할 것이다. 생각을 이어 나가는 고리 ‘클러스터’와 유기적으로 연상하기인 ‘마인드 맵’은 일상에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한 방법이고 개인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압축형 글쓰기인 ‘시’는 번역서이기에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드러나 아쉽다.

‘다시 돌아오지 않을 오늘의 나를 기록하다’를 읽으면 우리가 왜 매일매일 글쓰기를 해야 하는지, 그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게 된다. 어렸을 때 강제적으로 써야 했던 ‘일기’의 내용이 특별할 것 없는 일상의 기록에 그쳤다면-혹은 되풀이되는 하루 일과에 그쳤다면- 하루를 시작하는 마음가짐부터 나를 돌아보는 질문을 하는 것까지도 기록해보기를 권한다. 또한 다양한 질문의 예시를 보여줌으로써 자신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보기를 권해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고 그것은 새롭고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이다.

어쩌면, 이 책은 현재의 자기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거나, 자신의 삶이 허무하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지도 모르겠다. 글쓰기가 목적이 아니라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고 새 삶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적이다. 이 책은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글쓰기’를 통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고, 그를 통해 자신의 삶이 바뀔 수 있는가 없는가는 이 책을 읽어서가 아니라 글쓰기를 직접 해 봄으로써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