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라 선생님을 위한 비밀 선물>을 리뷰해주세요
클라라 선생님을 위한 비밀 선물 문원아이 11
라헐 판 코에이 지음, 강혜경 옮김, 정경희 그림 / 도서출판 문원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죽음'은 아무도 기다리지 않지만, 언젠가는 맞닥뜨리게 되는 것이다. 특히 가까운 존재들의 죽음을 경험하는 것은 많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보통은 '죽음'을 좋지 못한 기억, 혹은 살아가면서 겪는 아픔과 슬픔 중에서도 특히 상처를 많이 남기는 것이라 이해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그것을 직접이든 간접이든 경험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이 책은 초등 4학년생들이 겪게 되는 가까운 이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러나, 슬프고 음울하고 괴롭고 힘들 것이라는 생각을 산산히 깨놓는 작품이다. '죽음'은 피할 수 없는 것이지만, 그렇다고해서 '죽음'이 선고되었다고 해서 남은 인생은 남은 인생이다. 이 작품 속의 클라라 선생님은 자신이 가르치는 아이들 속에서 마지막 휴가를 보내기로 한다.  

이런 설정 자체가, 우리나라라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긴 하다. 그러나 클라라 선생님의 학교에서는 그것이 가능했고, 교장선생님도 함께 그 휴가에 동참한다. 물론 외국이라고 해서 이런 일이 쉽게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바로 율리우스의 어머니가 학부모회를 통해 이런 일을 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화를 내는 장면은 딱 우리의 모습이다. 그러나 아이들은 이미 선생님과 멋진 바닷가에서 휴가를 보내기로 한다. 단, 공부도 열심히 하고 자기 맡은 바 일을 열심히 하겠다는 전제하에서. 

선생님이 죽는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는 아이들은 기적을 바라기도 하고, 선생님의 죽음이 가까워졌다는 사실을 믿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러나 클라라 선생님은 이렇게 말한다. "선생님은 죽는다. 그러나 오늘은 아니야."라고. 그전에 우리가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 있다. 클라라선생님이 자신의 죽음을 인정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생각과 고민과 방황을 했을지 말이다. 작품 속에서는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는 과정은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선생님과 선생님 남편의 태도에서 우리는 그 과정을 짐작할 수 있다. 

아이들은, 선생님의 마지막 휴가를 함께 하면서, '죽음을 앞둔 선생님'과의 슬픈 기억이 아니라 또다른 여행을 준비하는 즐거운 기억과 추억을 만들었다. 이것은 아이들도 언젠가는 맞닥뜨릴 죽음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하게 만들 것이다. 스스로의 삶을 포기하는 죽음이 아니라 살아있는 동안 최선을 다해 삶을 일구어가는 죽음이다.  

이야기가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가운데 '죽음'이라는 소재를 긍정적인 이미지로 기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책이다. 현실에서 도피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러면서도 유독 '죽음' 앞에서는 왜 그러지 못하는 걸까? 그것은 '죽음'이라는 것이 우리에게 부정적인 이미지로 고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죽음'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는 순간, 우리는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아까운 목숨을 버리는 일도 하지 않을 것이다.  

긍정적인 것은 긍정적인 것이지만, 부정적인 것도 긍정적일 수 있다는 메시지는 이 책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