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 러브 메타포 8
엘렌 위트링거 지음, 김율희 옮김 / 메타포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감정결핍이다.




처음 이 책을 읽기 시작하자마자 느낀 지오는 상당히 까칠한 아이라는 것이었다.  자기 스스로 ‘감정결핍’이라고 말할 정도로 자신에게는 감정이란 게 아예 없다고 생각하기도 하고 학교에 다니는 나와 진짜 나는 다르다고까지 생각한다. 지오가 쓴 ‘새아빠 면접’이라는 글을 읽어보면, 가족에 대해 불신이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지오는 엄마의 재혼을 가족의 재구성으로 보지 않고 각자의 삶으로 본다. 엄마의 재혼으로 엄마의 새 남편이 생기는 것이지, 자신의 새 아빠가 생기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소설의 말미에 가면 조금 변화하게 된다.




지오는 1인 잡지 [바나나피시]에 이 글을 썼다. 1인 잡지란 무엇일까? 인쇄물로 완성되어 독자를 찾아가는 잡지이긴 하지만 지극히 개인적인 잡지이다. 1인 잡지는 한마디로 개인 블로그나 미니홈피같은 느낌이다. 그러고 보면 나 역시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 1인 잡지를 발간하고 있는 셈이다. 다른 이들의 블로그를 돌아다니다 마음에 드는 글이 있으면 스크랩하기도 하고, 나의 의견을 댓글로 남기기도 한다. 지오가 자신의 이름인 존 대신에 지오라는 필명을 쓰는 것도 블로그의 닉네임을 쓰는 것과 같다. 매체가 다를 뿐이지 사실상 같은 역할이다. 지오가 1인 잡지를 통해 마리솔을 만나고, 다이애나를 만나고, 또 다른 1인 잡지 발행자들을 만나는 모습도 그렇다.




지오가 [탈출속도]라는 1인 잡지의 마리솔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고 그녀를 만나면서부터 삶이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한다. 마리솔은 입양된 아이이며 레즈비언이다(라고 공언한다). 지오는 마리솔이 쓴 내용을 다 믿지는 않는다. 왜냐면, “내가 늘 하는 말이지만, 진실을 말하지 않아야 비로소 진실해진다”(p.19)고 믿기 때문이다.




지오는, 엄마의 재혼을 반대하지는 않는다. 엄마가 어둠 속에 앉아 자기연민에 빠져 있는 모습보다는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오 자신은 이미 부모의 이혼에 익숙해졌는데 엄마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지오는 부모의 이혼으로 입은 상처가 다 낫지 않았다. 부모의 이혼에 익숙해졌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 엄마와 앨 아저씨의 관계를 더 이상 알고 싶지 않은 것도, 아빠가 매주 다른 여자들과 만나러 나가도 상관없다 여기는 것도 지오의 본마음이 아니다. 그러나 부모는 그것을 알아채지 못했다. 지오의 편지를 읽기 전까지는.




지오가 진실을 말하지 않음으로써 진실에 다가가려고 했다면, 마리솔은 진실만을 이야기함으로써 진실에 다가갈 수 있다고 말한다. 방법은 다르지만 둘 다 진실을 원하고 있는 것이다. 지오는 부모의 이혼으로부터 겪은 아픔과 상처를 자기만의 세계 속에 가둬놓고 표출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지오의 부모는 지오의 아픔과 상처를 읽어내지 못하고 껍데기뿐인 관계에 대해 인식하지 못한다. 그런가하면 마리솔은 혼란스러운 자신의 성적정체성을 밝히기로 한다. 그러나 진실을 말함으로써 진실에 다가갈 수 있다는 믿음은 아빠의 외면과 엄마의 지나친 앞서나감으로 퇴색되어버렸다. 부모 자식 간의 관계든, 남녀 간의 관계든, 그도 아니면 자기 자신과의 관계든 간에 모든 관계는 일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자신만의 틀을 깨고 나와 부딪침으로써 관계는 성장하고 발전한다. 지오가 편지(지오의 진심을 밝힌)를 통해 부모와의 관계를 변화시키고 성장했고 레즈비언인 마리솔을 사랑하고 이별하는 과정을 통해 또한번 성장했다. 우리의 인생을 변화시키는 것은 힘든 사랑이라는 말이 가슴에 와 닿는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엉이마님 2008-07-05 17: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시에 모든 관계에는 권력이 작동하고 있다고 오늘 수업 시간에 주절거렸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