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다는 것의 의미 - 어느 재일 조선인 소년의 성장 이야기 카르페디엠 14
고사명 지음, 김욱 옮김 / 양철북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재일조선인.

내게는 재일조선인은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일본에서 짧은 기간 체류하면서 마음을 터놓고 지내던 아이들(그 당시 고등학생들)이 재일조선인이었고, 나의 첫 아르바이트 장소였던 곳의 주인이 재일조선인이었다. 그들은, 민단게열은 아니었지만, 그들과의 만남에서 얻은 것이 많다면 많다고 할까? 우선 고등학생이었던 그 아이들을 나는 지금도 잊지 못한다. 그들과의 만남이 나의 진로를 결정하는데 큰 역할을 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우선, 그 아이들은, 조선인학교에서 조선말로 공부하는 아이들이었다. 그래서, 한국어로 언어소통이 가능했는데, 주로, 일본인이 듣지 않았으면 하는 이야기를 할 때 주로 한국어를 사용했다. 우연한 기회에 중국의 조선족 동포와 재일조선인과 내가 함께 지낼 일이 생겨서 그들과 많은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아무래도, 이 책<산다는 것의 의미>의 작가와는 조금 다르긴 하다. 이 작가는, 일본에서 태어나 일본어로 의사소통을 하며 자란 세대이므로 굳이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이유가 없었지만, 내가 만난 그들은 일본에서 태어나긴 했지만, 한국어로 이야기를 하고, 한국인(정확하게는 조선인)이라는 의식이 있었다. 그들로 인해 해외교포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직업을 갖고 싶었고, 그것은 내 진로를 결정했었다.

어쨌든 그렇게 재일조선인은 내게 의미가 있다. 요즘같은 세상에 "민족"을 강조하는 것은 의미가 없어보인다. 대신,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데 있어서 재일조선인의 경우에는 "민족"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을 뿐이다. [천삼]이는 조선인이라는 의식 없이 살아오다 학교라는 작은 사회에 속하면서부터 자신이 조선인이라는 자각을 한다. 그것은, 조선인으로서의 자부심이 아니라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는 기폭제로서의 자각이었다. 그 당시로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어린 시절의 사건은, 그가 자라고 성인이 된 이후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천삼]이는 조선인이면서 일본인으로 살아가는 현실 속에서 겪게 되는 굴곡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간다. 그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침묵하고 있는 아버지보다 적극적으로 그의 삶에 끼어든 일본인들이다. 천삼이의 아버지는 [조선인이기 때문에 일본의 일에 무관하게 살아오려고 노력]한 반면 그 침묵으로 인해 오히려 아들에게는 상처가 되었다. 물론, 나중에 아버지의 침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깨닫게 된 천삼이는 아버지의 침묵을 이해하게 되었지만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재인조선인이 일본에서 살아가며 겪은 고생담이나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읽으려고 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작가는, 재일조선인이라는 조건때문에 겪은 일이긴 하지만, 인간으로써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지 일본의 만행을 고발하고자 함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본이 일으킨 전쟁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인들이 자신들의 피해나, 전쟁으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는 이야기들은 읽거나 들을 때 나는 공감을 느끼지 못한다. 일본 애미메이션 반딧불의 묘 같은 경우도 슬픈 이야기지만 나는 오히려 반감을 느꼈었으니까. 그러나, 그 시각을 조금 더 확대해 본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재일조선인이기 때문에 일본인보다 억울할 수는 있으나, 인간이라는 대명제를 놓고 바라본다면 모두 피해자로 인식되는 것이다. 물론, 천삼이가 죽음의 문앞까지 가게 된 이유가 애초에 일본이 일으킨 전쟁때문이었지만 말이다.

조선인일수도 일본인일수도 없었던 천삼이에게 우리는 무엇을 기대하고 있었던 것일까? 자기정체성의 혼란 속에서 그는, 인간의 상냥함만이 그 모든 것을 덮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에게 상처를 주고 아픔을 준 게 일본인이라면, 그의 상처를 보듬어주고 닦아준것도 일본인이었다. 그것은, 바로 인간에 대한 사랑, 인간에 대한 상냥함이 가져온 결과라고 천삼이는 이야기한다.

천삼이가 살아온 방식을 모두 이해할 수는 없다. 오히려 반감을 느끼게도 하였다. 그러나 그것이 그가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최소의 조건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그 반감도 그리 오래 가지 않는다. 그러나 책의 말미에 가서야 인간에 대한 상냥함을 알게 되는 탓에 읽는 내내 불편한 감정이 계속되었었다. 그리고, 문체가 조금 지루한 감이 있어 맥이 빠지기도 했었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과연 인간의 상냥함에 대해 공감할지는 의문이다. 그러나, 적어도 이도저도 아닌 생활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재일조선인의 삶을 한번더 생각하게 했던 책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결 2007-08-03 13: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잘 읽었습니다. 추천하고 갑니다.^^

하양물감 2007-08-04 0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