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대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9
윌리엄 골딩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문학전집으로 구성되는 책들은 다른 출판사에서도 많이 나오는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은 민음사 책으로 갖고 있는데 읽으려고 찾으니 어디 갔는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지난번 '월든'처럼 어쩔 수 없이 한 권 더 사야겠다 싶어서 찾아보니 이 책도 다른 출판사에서 나온 걸 찾기 어렵네. 이런 저런 문제로 e-book을 구매하여 다시 읽었다.

'파리대왕'을 읽는 동안 번역이 가독성을 떨어뜨리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렵지는 않았다. 핵전쟁이 벌어지는 위기 상황에서 영국 소년들을 태운 비행기가 격추되고 소년들은 비상 탈출하여 무인도에 불시착한다. 만 다섯 살에서 열두 살 정도의 소년들은 랠프와 잭의 지휘를 받으며 무인도에서의 삶을 시작한다.

어린 소년들이지만 자연스레 리더를 추대하고 그들을 따르며 질서를 재편해나가기 시작한다. 랠프와 잭의 대립은 현실 세계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물론 인간들은 이런 상황에서 서로 죽고 죽이는 것보다 협력하여 함께 살아나가기 위해 노력을 한다고 한다. 실제로 무인도에 불시착했다가 구조된 사람들의 이야기는 이 책의 상황과는 다르게 전개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파리대왕'에서 작가는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일까?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듯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고 싶었던 것일까. 나는 랠프와 잭의 대립이 굉장히 익숙하게 여겨졌다. 그 두 사람으로 대변되는 인간 군상의 모습은 정치인들에게서 자주 찾아볼 수 있다.

팩트체크란 나에게 유리할 때만 '팩트'이고, 그렇지 않을 땐 어거지도 그런 어거지가 없다. 지식인의 충고도 나의 주장을 뒷받침해 줄 때 유용한 것이지, 상대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때는 고려할 가치가 없는 충고가 된다. 그 대립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달아 오르면 '종교'라는 형태로 사람의 감정과 마음을 흔드는 것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나는 뜬금없는 이야기기는 하지만, 파리대왕을 읽으면서 '촉법소년'들이 떠올랐다. 만 10세에서 만14세까지를 촉법소년이라고 한다고 알고 있다. 그들은 미성년자이기 때문에 죗값으로 형벌을 받지 않는다. 조금 범위가 더 넓기는 하지만 무인도에 불시착한 아이들은 5살에서 12살 사이이다. 그들은 '살기 위해서', '어쩔 수 없어서' 사람을 죽이고 폭력을 휘두를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해야 할까?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의도적으로 누군가를 죽이고 폭력을 휘두른 것이 아니라고 항변할 지 모르겠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그런 자신을 잘 컨트롤하며 살아가고 있다. 인간의 삶이, 이 지구의 영속성이 바로 그런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촉법소년이라는 방패 뒤에 숨어서 자신의 악마같은 속성을 드러내는 것이야 말로 비겁한 일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9-11 00: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ㅠ.ㅠ 요즘 악마 같은 십대들의 범죄가 떠오르네요 이책 별세! 민음 빨랑 새번역판 출간 하길

하양물감 2021-09-11 09:01   좋아요 1 | URL
맞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