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속의 세상, 세상속의 교회>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교회 속의 세상, 세상 속의 교회 - 법학자 김두식이 바라본 교회 속 세상 풍경
김두식 지음 / 홍성사 / 2010년 1월
평점 :
나는 종교인이 아니다. 그러나 무신론자는 아니다. 예수님이나 하나님, 부처님을 믿는다는 마음을 보여주기 위해 구체적 행위를 안 하지만 만물을 지배하는 신은 존재를 믿는 편이다. 특정 종교에 소속되 있지 않아서 신의 이름도 없고 교리도 없다. 하지만 인간의 영역에서 할 수 있는 일과 신의 자기장 아래서 할 수 있는 일은 다르다고 믿는다. 나는 왜 신을 믿으면서 예수나 부처에 대한 '헌신'을 기꺼워하지 않는가?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내 마음을 적극적으로 증명하는 게 귀찮기도 하고 그 보다는 교리에 맞춰 일상을 재단할 신심이라고 부를만한 의지가 없기 때문이다.
저자는 "영화관 교회"라는 말을 사용한다. 목사의 성경해석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관객같은 태도를 지닌 신도들이 있는 교회를 지칭한다. 서로 의견을 나누고 감정을 공유하는 공동체가 아니라 일방적 설교를 감상하고 목사의 설교와 지침을 따르는 신도들만이 이상적이라는 말이다. 이런 주입식 해석은 비종교인이 봤을 때, 굉장한 거부감이 든다. 마음 속으로 인간의 영역 밖을 인정한다해도 그걸 표현할 단련된 매끄러운 말을 안 갖고 있을 뿐인데 교인들은 설교와 성경공부로 다져진 기름진 언어로 교회 밖 사람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교회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모른다고 해서 사탄은 아닌데 사탄의 기운을 받은 사람 취급 받기 쉽고, 그로 인해 교인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쌓기 쉽다. 비종교인이 인정하는 신은 사탄의 신이라고 단정해버리는데 말을 이어가고 싶은 의지를 싹둑 잘라버리는 거다.
사실 교회가 교리 해석에 대한 자유를 준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교회를 찾을지도 모른다. 보이지 않는 절대자에 대한 존경심을 성경에 적힌 문구에 따라 보여야하고 성경 해석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야하는 게 실천은 아니지 않는가. 가족과 친구에게 양보하고 진심으로 아끼며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기울인다면 교회가 말하는 사랑을 실천하는 중일텐데 교인들은 교회 밖에 있는 걸 커다란 행복을 놓치고 있다면 안타까워한다. 저자의 말대로 교회는 세상 속에 있는 한 공동체일 뿐이데 말이다.
이 책의 챕터 중 4,5,6 장은 기독교 역사에 관한 간략한 개괄이다. 이 챕터들을 읽으면서 기독교의 본질이 뭘까, 떠올렸다. 역사 속에서도 교회는 늘 권력과 공조체제였다. 왕들은 국익이나 사익에 따라 신을, 교리를 바꾸길 주저하지 않았다. 좋게 보면 유연하고 융통성이 있지만 나쁘게 보면, 인간이 속한 사회가 신을 우선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교회 혹은 기독교가 속 좁아보이는 건 기독교의 뿌리인지도 모른다. 한국교회에 관한 담론이 있어왔지만 교회 체제는 점점 더 편협한 공동체가 돼고 있다. 견고하고 높은 담을 쌓고 담 밖의 사람들을 배척하면서도 담장 안으로 안 들어온다고 손가락질하는 모순된 공동체. 교인이 아닌 사람한테 이런 이미지를 주는 교회는 분노나 훈계보다는 담장을 허무는 자세가 마땅하다. 한국교회의 권위적 태도는 이런 일이 당분간은 어렵다는 걸 예측할 수게 한다.
김두식 씨가 썼듯이 교회가 의식과 겉치레를 벗어버리고 인간 사이에 나눌 수 있는 공감과 사랑을 강조한다면 교회 속에 세상이 들어가는 기적이 일어날지도 모른다. 더불어 김두식 씨같은 사람들이 있는 교회라면 내 발로 찾아가게 될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