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회오리 바람 - Eighteen
영화
평점 :
현재상영
1.
열여덟살 겨울방학, 난 뭘 했던가. 집과 독서실을 오갔고 김기덕의 두시의 데이트에서 방학특집으로 했던 빌보드 차트 100위를 녹음하는 데 열을 올렸다. 주말이면 극장에 갔고 주말의 명화를 보고 노트에 감독이름을 꼬박꼬박 적어놓았다. 한달에 한 번은 <스크린>지를 탐독했다. 뭘할지 몰랐고 주어진 코 앞의 과제를 당연히 받아들이며 입시생으로 비교적 착실히 살았다. 스트레스로 병원을 들락거리기도 했지만 즐거웠던 기억은 거의 없다. 나중에 영화감독이 되겠다던 친구(지금은 한 아이의 엄마가 됐다)랑 극장에 오가면서 영화 속 세계에 대해 허무맹랑하게 재잘거렸던 기억만이 미소를 짓게 한다. 가끔씩 까닭없이 찾아오는 목졸림 현상으로 고통을 받았지만 모두가 그러려니 했다.
2.
이 영화는 열여덟살 한 남학생의 겨울방학 이야기다. 공부는 물론 학교 자체에 흥미가 별로 없는고 여자친구랑 일주일동안 바다를 보러갔다온다. 십대에게 일주일간의 여행은, 어른한테는 가출이다. 집안은 발칵 뒤집어지고 두 십대가 감당하기에는 버거운 사랑이다. 이 영화가 십대의 사랑이야기는 아니다. 공부에 흥미없는 남학생이 흥미를 갖게 된 대상이 미정이란 여자친구일 뿐이다.
주인공들이 십대라는 물리적 한계를 제한하지만 이 영화는 십대의 성장영화라기 보다는 뭘 해야할지 모르는 막연함, 세상이 모두 내 편이 아닌 거 같을 때의 황망함과 적막함 때문에 어른 영화가 같다는 생각이 든다. 끝 없이 펼쳐진 고요한 지평선 속에 남학생이 걸어들어가 한 가운데 서 있는 장면은 인상적이다.
두 고등학생이 키스를 하는 장면이나 상반신을 노출하는 장면이(꿈처럼 처리되기는 하지만) 꼭 필요해보이지 않는다. 이 장면은 완전 전체 영화흐름을 잡치게 했다. 십대의 질풍을 잔잔함 속에서 처리했으면 내 취향의 영화가 될 수도 있었을텐데. 대사대신 인물의 사소한 행동을 배치하는 방식은 아주 좋지만 전체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은, 아이의 시선보다는 어른의 시선의 느낌이 강하다.
3.
이십대 초반에 삼십세인 학과조교 선배를 보면서 나른해 보인다고 생각했다. 삼심세만 되면 뭐든 정확한 길이 당연히 있을 거고 뿌연 안개같은 길은 이십대에 안녕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철이 없었다. 삽십대를 마감했어도 여전히 안개는 걷히지 않고 앞으로 가고 있다기 보다는 한 자리를 맴돌고 있는 거 같다. 부모님의 간섭이 사라진 걸 빼고는 십대나 지금이나 여전하다. 여전함을 기뻐해야할지 슬퍼해야할지 모르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