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의 종말
제레미 리프킨 지음, 신현승 옮김 / 시공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축업 중 소라는 카테고리에 한정시켜 살펴보는 세계사다. 고대 소의 신화적 의미에서 출발해서 미국 서부개척기를 거쳐 포디즘에 이르러 소는 이윤 추구의 대상이 된다. 소가 우리와 다름 없는 유기체라는 걸 무시한 채 소비 대상으로만 간주하고 있다. 그가 육식의 종말을 고하는 말에 귀 기울이면,

"자연 세계에서는 생산성productivity이 아닌 번식력generativeness이 지속 가능의 척도가 된다. 번식력은 삶을 긍정하는 힘이고, 그 본질은 유기체적이며 그 목적론은 재생이다. 반면에 산업 생산은 종종 죽음의 힘이고, 그 본질은 조작 가능한 물질이며 그 목적론은 소비이다. 경건한 번식력에서 관리되는 생산성으로 변한 인간과 소의 관계에는 자연 질서와 우주 계획 모두를 통해 자신과 그 관계를 정의하려고 애써온 서구 문명의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즉 인간의 이기심으로 탄생한 산업화에 대한 정의라고 할 수 있겠다. 산업화는 편리와 안락이라는 저항할 수 없는 기제와 함께 부작용을 초래하기 마련이다. 경제 발전으로 쇠고기 수요는 증가하고 양질의 고기가 필요했고, 업자들은 더 빨리 살 찌우기 위해 사료를 조작한다. 고기 공급은 늘렸지만 이와 더불어 광우병이란 산물도 만들었다. 그래도 업자들은 동물성 사료를 중단하지 않는다. 업자들의 생각은 오로지 한 가지 뿐이다.

"고객의 주문을 따르다 보면 그들의 요구를 들어주어야 한다. 그렇게 하면 제품 값은 똑같지만 노동량은 세 배로 증가한다. 우리는 그런 식으로 일하지 않는다." 

맥도날드 창업자인 크록의 말이다. 즉 적은 노동력과 비용으로 최고의 이윤을 내기 위해서 고객의 목소리는 무시해야 하는 게 경영자의 지침 덕목이다. 촛불집회를 일으킨 꼴통 중에 꼴통으로 드러난 명박의 마인드도 이것이리라. 소비자(국민)의 요구를 무시한 채 곧 고시를 발표한단다.

그가 생각하는 효율성과 이득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라고 묻지 않을 수 없다. 소고기 수출은 미국의 주요 산업이고 그들은 적어도 자국의 축산인구를 돌볼 의지를 갖고 있는데 명박은 한국의 축산인구를 기꺼이 죽이고 일반 국민을 제물로 바치려고 하고 있다. 힘 없는 최종 소매업자들에게 원산지 표기 강화나 운운하면서 말이다. 최종 소매업자들은 유통과정에서 참여할 힘도 없으며 최초 수입도매 업자의 말만을 그대로 믿을 수 밖에 없다는 걸, 그는 정말 모르는 걸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0-13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