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비 살해사건 2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권이 고려말부터 조선이 건국되는 격동기의 역사였다면 2권은 성종부터 명종까지 조선이 국가의 기틀을 확고히 다지는 기간의 역사다. 조선 건국의 역동기에 신진사대부가 각자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조선 건국에 기여한 내용이라면 2권은 왕권과 신권, 훈구파와 사림파간의 피비린내 나는 투쟁의 기록이다.

임금을 신하가 바꾸는 1번의 반정, 그리고 왕권의 수호를 위해 혹은 훈구파와 사림파 간의 권력투쟁으로 인해 발생한 네번의 사화의 이야기는 무엇을 위한 권력투쟁인가 하는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게 한다. 우리의 역사라고 단순히 미화하길 바래서가 아니라 500년 이상 왕조가 유지되는 흔하지 않는 역사를 가진 조선이-혹자는 조선왕조가 너무 오래 유지되었다고, 그래서 좀 더 진취적인 역사를 이루지 못하였다고 평하는 이들도 있지만- 왕과 신하들간의 암투로만 허송세월 했다고 느껴질만큼 무의미한 권력투쟁으로만 점철된 역사였을까?

훈구파와 사림파간의 투쟁을 방조하며 왕권을 신장시키려 했던 성종이나 중종의 국가관이나 훈구파와 사림파 간에 권력을 위한 암투를 벌리는 와중에도 소위 명분으로라도 내세웠음직한 그들의 국가관과 정치관을 알 수 없었던 점이 아쉽다. 작가가 책의 말미에 퇴계와 율곡의 '理氣二元論'과 '理氣一元論'을 비교하며 사림파의 정치철학이 당시의 정치지형의 변경에 따른 필연적인 변화임을 언급했듯이 당시의 왕들과 훈구파가 무슨 통치철학조차도 없이 칼바람을 일으키는 피에 굶주리고 권력에 굶주린 집단으로 치부하기에는 석연치가 않다.

그러한 내면의 탐색없이 사림파가 역사의 도도한 흐름 속에서 최후의 승자가 되었다는 선언은 날 몹시도 허탈하게 만들었다. 훈구파가 더 이상 공적을 만들어 낼 수 없을만큼 조선사회가 안정되어 씨가 말라버렸는지 정몽주-길재 등으로 이어졌던 사림이 지방에서 어떻게 확장되어 갔는지 알 방법이 없다.

사화와 당쟁으로 대표되는 조선의 정치사를 좀 더 풍부히 관찰하는 시도가 많이 나왔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