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가 있어 행복했어
지니 로비 지음, 홍한별 옮김 / 양철북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아기적 뇌수막염으로 청각을 잃게 되었다는 조이는 엄마의 강요로 수화를 배우지 못하고 구화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한다. 하지만 새아빠는 입모양을 알아보기 힘들고 동생 루크는 아직 어려 정확한 의사소통을 할 수가 없고 학교에서는 친구들의 따돌림으로 유일한 소통의 창구는 엄마뿐이다.
어느날 우연히 윗집의 찰리 할아버지와 수화하는 원숭이 수카리를 만나며 조이는 새로운 세상을 접하고 수화를 배우게 된다. 엄마와의 갈등을 통해 청각을 잃은 원인이 병이 아닌 아빠의 폭력때문이었음을 알게되고 찰리 할아버지의 유산으로 농아학교를 다니며 공부를 하게되고 할아버지가 맡긴 수카리를 위해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학교에서 장애아를 위한 인프라와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하더라도 그를 공동체의 일원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걸 깨달았다. 하긴 우리 주변에선 장애우들의 통행권도 제대로 보장 해주지 못하고 그들의 유일한 생계방편도 헌법의 평등권이란 이름으로 위기에 빠뜨리고 있으니 조이의 환경은 우리에게 있어선 상상도 못할 세상이긴 하다. 주택가에 장애우들을 위한 시설이 들어선다면 집값을 위해 반대하러 나서는 우리들의 모습에 비추면 조이를 따돌리는 아이들의 모습은 그래도 봐줄만한 모습이리라. 말로는 장애우들을 위하지만 실제 나의 이익에 부딪히면 내가 언제 그랬냐는 듯이 잊어버리고마는 우리의 이중적인 잣대를 내 마음 속에서 걷어낼 수 있기를 바란다.
이이야기는 사회적, 생물학적 약자인 장애아 조이와 밀렵꾼들에게 엄마를 잃고 보호해주는 이가 없어 생체 실험의 대상으로까지 가게된 수카리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을 넘어 생명의 존엄성까지 생각케 해 준다. 인간의 행복과 건강을 추구하며 극한 환경에 처하게 되는 동물들의 생명에 대해서는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 언젠가 TV에서 본 것처럼 그동물들의 넋을 위로하는 걸로 대신해야 할지 아니면 동물애호단체의 표현처럼 동물들의 생명에 대한 존엄성을 위해 그러한 실험을 중단시켜야 할지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다만 그러한 실험의 제물로 동물들이 사용된다 하더라도 항상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고민은 잃지 않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