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내 인생도 그랬다. 내 삶은 글에 빚졌다. 예고 없는 고통의 시간대를 글을 붙들고 통과했다. 크게 욕망한 것 없고 가진 것 없어도 글쓰기 덕에 내가 나로 사는 데 부족이 없었다고 생각한다. 어느 학인이 지독히도 삶에 휘둘렸던 자기 체험을 글로 정리하고 나서이렇게 말했다. "글을 쓴다는 것은 고통에 품위를 부여해 주는 일이네요." 그 말이 뭉클했다. 조지 오웰이 바랐던 "보통 사람들의 생래적 창조성과 품위가 발현되는 세상"을 글쓰기가 돕는다고 믿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체의 문장은 사납지만 예리했다. 통찰이 빛났다. "힘든 노동을 좋아하고 신속하고 새롭고 낯선 것을 좋아하지만 너희들 모두는 너희 자신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너희들이 말하는 근면이라는 것도 자신을 잊고자 하는 도피책이자 의지에 불과하다" 라는 니체의 말에 속내를 들킨 듯 움찔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는 사춘기 엄마는 성장기 - 사춘기 내 아이와 마음이 통하는 비폭력대화
이윤정 지음, 캐서린 한 감수 / 한겨레에듀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5년 전쯤? 샀다가 읽다 만 책인데.. 아침 책읽기 프로젝트를 하면서 다시 읽기 시작. 완독했다.
비폭력 대화를 사춘기 아이들에게 적용하며 아이들과 끝까지 소통하고자 노력한 저자의 이야기와 비폭력 대화 이론과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재밌게 읽을 수 있으면서도 큰 도움이 되는 책이다.
부모의 역할은 참 버겁지만, 사랑하는 내 아이와 소통의 끈을 놓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것. 힘들어도 지켜내고 싶은 삶의 가치 중 하나다.
이야기 속 어머니의 자식과의 에피소드를 읽으며 어찌나 공감되던지.. 엄마 맘은 다 비슷하고 애들이 하는 행동도 어느 정도는 서로 엇비슷하다.
엄마들은 자식이 잘 통제되고 사회적으로 문제 없이 성실하게 자라기를 바라고 아이들은 자기만의 개성을 드러내고 싶어하고 재밌게 살고 싶어하고 존중받고 싶어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프티 피플 - 2017년 제50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정세랑 지음 / 창비 / 201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아마도 제일 핫한?) 정세랑 작가님의 책 중 내가 읽은 첫 책이다.
말 그대로 50여 명의 사람들의 이야기다. 한 지방 병원을 둘러싼.
50명이나 되는 사람들이지만 이들은 거미줄처럼 엮여 있다. 개개인의 사연은 뭉클하기도 하고 짠하기도 하고 웃음 나기도 하고 절박하기도 하다. 그리고 병원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람들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환자들, 병원과 관련된 기업의 직원들과 그 가족들, 병원 주변 가게 직원들 등의 이야기도 나오기 때문에 우리 사회의 꽤 넓은 면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
배경이 되는 도시가 의정부라고 해도 일산이라고 해도 아니면 대전 전주 대구 울산 어디라고 해도 그럴 듯한, 리얼한 이야기들이라 내 일 보듯 감정이입하며 읽을 수 있었고 등장인물들과 삶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 자체가 참 따뜻하고 발라서 매력적인 소설이었다. 경쾌하고 쿨한 어조도 좋고. 추천,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뭐 먹지? - 권여선 음식 산문집
권여선 지음 / 한겨레출판 / 201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밥 한 숟가락에 조린 무 한 점을 얹고 그 위에 갈치를 얹는다. 햅쌀밥과 가을무와 갈치 속살로 이루어진 자그마한 삼단 조각케이크를 나는 한입에 넣는다. 따로 먹는 것과 같이 먹는 건 전혀 다른 맛이다. 정말 이렇게 먹어보지 않은 사람은 모른다. 밥과 무와 갈치가 어울려내는 이 끝없이 달고 달고 다디단 가을의 무지개를. 마지막으로 게다리를 넣어 구수한 단맛이 도는 무된장국을 한술 떠먹는다. 그러면 내 혀는 단풍잎처런 겸허한 행복으로 물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