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세상일을 잊고 산다. 내가 사는 조그만 세계에 갇혀 이 세상에 얼마나 비참한 사람들이 많은지 또 억울한 사람이 많은지, 절망 속에 숨막혀 하는 사람들이 많은지.. 전혀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한 마디로 말해 정말로 '개인주의적'이고 '이기적'으로 내 앞가림만 하고 나 편한 대로만 살고 있다.

아주 오래전 대학 시절,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를 읽고 왠지 싫어하게 되어 버린 공지영이라는 작가가 있었다. 나도 풋내 나던 시절이었지만, 그 때 그 작품에서도 어떤 '풋내'가 나서 그 이후로 공지영에게 어떤 나쁜 선입견 같은 게 생겨 버렸었다. 나는 그 때 이후로 변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은데, 아직도 미성숙하고 아직도 멍청하고 내가 뭘 어떻게 잘못 살고 있는지도 모르고 그냥저냥 살고 있는데. 어느새 이 작가는 이렇게 성숙해져서 이런 멋진 소설을 들고 내게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왔다.

이 소설은 재미를 주기 위해 주인공인 두 사람의 사랑 이야기를 곁들이고 있지만 - 사실 그보다는 사형 제도의 문제점을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그런 소설이다.  어떤 사람들이 읽어도 금방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게 써서 아주 효과적으로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당장 나도 이 소설을 읽고 사형 제도는 폐지되어야 해! 하고 굳게 생각하게 되었으니 말이다. 작가가 후기에서도 썼던가 - 그런 것이 바로 소설, '이야기'의 힘이라고. 그 어떤 웅변가가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강하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가 있으니..

이 책이 그렇게 설득력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살인 제도의 쟁점이 되는 문제들을 빠짐 없이 다루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   '살인자'가 된다는 것이 과연 그 '살인자' 개인 만의 문제인가. (사실 이 부분에서 나는 개인적인 반성을 꽤 하였다.) 재판 과정에서 과연 공명정대한 판결이 내려진 것임을 확신할 수 있는가. 그리고 피해자 가족이 가해자를 '용서'하고 가해자는 자신의 잘못을 진심으로 회개했을 때, 그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지 않는다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무엇보다 사람이 - 물론 '국가'라는 공권력이라고 표현하긴 하지만 - 다른 사람의 목숨을 임의로 빼앗는다는 것이 옳은가.. 등

만일 '삼양동 할머니'처럼 나의 사랑하는 사람이 살인 범죄에 희생당했다면 나도 지금처럼 무작정 사형 제도를 반대하지는 못할 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적어도 이 소설을 읽고서는 사형 제도가 또 하나의 '살인'임을 부정하지는 못하겠다. 마지막에 진정으로 회개하고 사랑의 기쁨을 알게 되면서 평생 이렇게 좁은 곳에 갇혀 살아도 좋으니 살 수만 있으면 좋겠다고 하던 윤수의 모습에서, 살인 제도의 문제점을 더욱 절실히 느낄 수 있었다.

남들은 이 소설을 읽으며 많이 운다고 하는데 나는 그다지 울지는 않았다. 평소 책이나 영화를 보면서 아주 몰입 정도가 심해서 눈물이 참 많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런데 삼양동 할머니가 - 누구보다도 못 배우고 가난한 이 할머니가 주님의 가르침대로 원수를 용서하려고 애쓰는 장면에서만은 정말 많은 눈물이 흘렀다. 절대 용서해서는 안 될 누군가를 용서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지, 처음으로 알 수 있었다.

사형과 관련해서 여러 가지 인용되었던 글귀들 중에서 가장 공감이 갔던 아래의 카뮈의 말. 이 소설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것을 가장 잘 뒷받침해 주는 또다른 말이 아닐까. -  "다른 품위라고는 아무것도 없으니, 오직 진실이라는 품위라도 회복할 수 있도록 이 형벌을 제 이름으로 불러서 그것이 본질적으로 어떤지 인정하자. 사형의 본질은 복수라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