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 접시 위에 놓인 이야기 5
헬렌 니어링 지음, 공경희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요리책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저자의 식생활에 대한 철학을 밝힌 에세이집에 가깝다. 무엇보다 마음을 끈 것은, 저자도 밝혔다시피 도서관을 다 뒤져 찾아낸, 요리와 식생활과 관계된 재밌고도 고풍스러운 금언들이었다.

뱃속에서 음식을 강력하고 즐거운 것으로 변화시킬 재주가 없는 자라면 음식 먹는 것을 수치스러워해야 할 것이다.

인간은 제 이로 제 무덤을 파서, 적의 무기보다 더 무서운 그 무기로 인해 죽는다.

등등등..

나의 식생활을 반성하면서,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나 현대의 실정과는 좀 맞지 않는 이야기들도 꽤 있는 편이지만, 우리 할머니가 얘기하시는 것들을 가려 듣듯 가려 읽었다. 여러 가지 요리의 레시피들도 실려 있긴 한데, 내가 직접 해볼만한 것은 별로 없는 듯하였다.. 식사 준비에 최소한의 시간을 들여 남은 시간에 책을 읽거나 음악을 듣거나 하는 것이 더 좋다는 말에 엄청 공감하여서 남편한테 나도 그렇게 해야겠다는 얘기를 했더니. 아니, 지금보다 더 식사 준비에 신경을 안 쓰겠다는 말이야? 하면서 나름 삐진 듯하다. 쳇.

생식과 채식, 심플한 가사 노동. 정말 실천하고 싶은데.. 참 안 되는 것들이다. 헬렌 여사가 참 존경스럽다.

아래는 밑줄 긋기한 부분들..

과하게 조리된 음식을 과식하는 것은 흡연이나 음주와 비슷한 것으로, 생리적인 욕구라기보다는 일종의 도락이다.

배가 고프지 않을 때는 굳이 먹을 필요가 없지 않은가.배가 고플 때까지 기다렸다가, 자극적인 양념을 넣지 않고도 음식을 맛있게 먹을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 소금과 양념이 음식을 더 많이 먹게 만든다면, 소금과 양념을 넣지 말고 음식을 적게 먹는 편이 좋다. 아주 간단하지 않은가.

양념을 많이 진하게 해야 먹을 만하게 되는 음식이라면 아예 먹지 않는 게 좋다. 조리한 음식이 소금과 후추를 넣지 않으면 심심하다면, 재료나 조리법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조리하면서 죽는 것에 생기를 되살리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 소금과 후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