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되기 5분 전 마음이 자라는 나무 20
시게마츠 기요시 지음, 양억관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서양에서는 어떤지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우리 나라나 일본에서는 공통적으로 남들과 다른 것을 매우 싫어하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이 책 속에서 주인공 에미는 그런 경향을 예리하게 지적해 낸다. '모두'가 되었을 때 우리는 정작 자기 자신을 잃어버릴 때가 있고 그래서 '모두' 따위는 믿지 않는다고.

주인공 에미와 유카는 '모두'가 되기에는 힘든 아이들이다. 에미는 교통사고를 당해 목발을 짚고 다녀야 하고, 유카는 어려서부터 심각한 신장병을 앓고 있어서 1년의 절반 이상을 병원에서 지내는 아이다. 에미는 '모두' 중의 하나였지만, 사고를 당한 후부터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당하게 되면서 '모두'가 되기 힘들어졌다. '모두'에서 '모두'가 되지 못하게 되었기에 그만큼 외톨이로서의 아픔이 더 크게 다가온다. 하지만 에미는 유카를 친구로 받아들이면서 점점 성장해 간다. 그리고 그런 경험을 바탕으로 외톨이가 된 다른 친구들에게 힘을 줄 수 있게 된다.

이 소설의 가장 예리한 점은 누구나 '모두'라고, 그 중에서도 으뜸이라고 생각하는 아이마저도 자신이 '모두'에서 벗어날까 전전긍긍한다는 사실이다. '모두'에게 보여지는 개개인의 겉모습만으로는 마음 속 깊은 곳의 두려움, 상처까지는 알 수가 없다. 그럼에도 우리는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만 보고 사람을 판단한다. 그럴 수밖에 없는 부분도 있겠지만.

초등학교를 거쳐 중, 고등학교를 거치는 동안 우리들은 언제나 집단 속에서 생활하게 된다. 게다가 학교에서는 '반'이라는 제도가 있어서 우리들에게 언제나 집단 속에서 튀지 말고 잘 어울려 지내야 한다는 것을 가르치기도 하고 은연중에 강요하기도 한다. 그래서 3월이 되면 대부분의 아이들은 마음 속에 두려움을 느낄 수밖에 없다. 작년엔 운 좋게 친구를 만났지만 올해에도 그러라는 법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 결국엔 함께 놀 친구를 만나게 되지만 과연 정말 마음 속에서부터 사랑하는 친구를 만드느냐, 아니면 외톨이가 되지 않기 위해 적당히 맞춰 줘야만 하는 친구를 만나느냐, 하는 건 장담할 수 없다.

아이들에게 집단 속에서 살아가는 것은 전쟁이다. 아이들 사이의 주도권 싸움, 또는 단순히 '왕따'가 되지 않기 위한 노력은 처절하기까지 하다. 상처를 입기도 하고 조바심 내 하기도 하고 싸움에서 패배해 외톨이가 되기도 하지만, 결국엔, 성장해 간다. 그럴 수밖에 없다. 그래서 마지막 이야기가 상투적일 수도 있지만 오히려 따뜻하고 감동적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어른이 된 나는 이제 여유로운 마음으로 이 글들을 읽을 수 있지만 한창 성장통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이 소설을 읽는다면 크게 공감할 것 같다. 그리고 이 글 속에 나오는 9명의 아이들 중에 자신과 비슷한 모습의 아이를 한 명쯤은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아니면 9명 아이들 모두에게서 조금씩 자신을 닮은 모습을 발견하거나..

인간 관계 - 청소년기의 친구 관계의 미묘함을 예리하게 그려낸, 그러면서 과연 친구란 어떤 존재일까를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따뜻하고 사랑스러운 책이었다.

나는 너무 둔했고 항상 관심이 내 자신에게만 쏠려 있어서 발견 못했지만, 내가 학교를 다니던 시절의 아이들도 그랬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