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의 베일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7
서머셋 모옴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줄거리
남편을 두고 다른 남자와 바람을 피웠다는 이유로 주인공 키티 페인은 냉혹한 상황에 처한다. 세균학자로서 콜레라가 창궐하는 지역에 스스로 자원해 떠나는 남편을 따라가야만 하게 된 것이다. 남편을 따라가지 않아도 되는 조건은 단 하나, 키티와 함께 바람을 피운 타운센드가 아내 도로시와 이혼하고 한 달 내에 키티와 결혼을 해야 한다는 것.
키티는 목숨을 바쳐도 아깝지 않을 만큼 사랑하는 타운센드에게 달려가지만, 예상 밖의 대답을 듣고 참담한 심정으로 남편 월터를 따라 중국 중에서도 오지인 메이탄푸로 가게 된다. 곳곳에 죽음이 만연한 메이탄푸에서 숭고하게 살아가는 수녀들을 만나고 수녀원에서 일을 하게 되면서 키티는 새로운 깨달음을 얻고 성숙하게 된다.
#감상
이 소설은 재미있는 이야기가 지닐 법한 매력을 많이 갖고 있다. 먼저 스토리텔링의 탁월함. 인물들 간의 갈등이 잘 살아 있고 굉장히 극적인 장치들이 많이 사용되면서 이야기의 긴장감을 높여 준다. 식민지 중국 속의(그것도 고립된 상황에서의) 영국인, 콜레라로 인한 죽음에의 위협, 여러 형태의 사랑, 엇나가는 사랑으로 인한 상처, 인간으로서의 족쇄, 고귀한 정신, 정신적 성장, 산뜻한 마무리.. 등등을 하나의 이야기로 절묘하게 엮어내었다.
평범한 귀족 여자로서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사는 삶 밖에는 몰랐던 키티와 사교계에는 맞지 않았던 지적이고 자의식 강한 월터라는 두 주인공 역시 이 이야기에 매력을 더해 주었다. 결혼이라는 제도로 맺어졌지만 근본적으로 너무나 달랐던 두 사람이었기에 비극이 생겨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월터의 키티에 대한 외사랑이 너무 컸었기에 그 비극으로 인한 마음의 상처 또한 그만큼 클 수밖에 없었다는 데서 비극은 한층 깊어졌던 것이다. 그리고 사랑으로 인한 비극은 대부분의 사람이 크든 작든 경험해 봤을 일이고, 그래서 더 우리의 애간장을 태우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된다.
이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키티가 임신한 사실을 알았을 때, 월터가 그 아이가 누구의 아이냐고 묻는 장면이었다. 그 때 키티는 그 아이가 월터의 아이라고 말하고 해피 엔딩을 맞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마음 속에서 누군가 강요라도 하듯 진실을 말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진실을 말한다. '누구의 아이인지 모르겠다'고. 그 대답은 월터의 가슴 속에 피워진 작은 희망의 불꽃을 무참하게 짓밟아버리고 일에 빠져 마음의 상처를 방치하고 있던 월터에게 마지막 일격을 가했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왠지 키티의 심정이, 또 이 상황이 매우 공감이 갔다. 이렇게 꼬이는 상황이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나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어떻게 보면 여러 가지 다른 버전으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벌어지는 상황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또 하나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월터의 장례식을 마치고 타운센드의 집에서 머물게 된 키티가 결국 타운센드와 다시 육체 관계를 갖고 절망하는 장면이었다.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메이탄푸의 수녀원에서 봉사를 하면서 마치 세속을 초월하고 큰 변화를 보인 듯했던 키티였지만 결국 인간으로서의 한계는 극복할 수 없었다. 작가가 우리들이 아무리 지지고 볶고 살더라도 인간은 어차피 다 거기서 거기라고 말해 주는 듯했다. 하지만 이 사건을 계기로 오히려 타운센드에 대한 미련을 완전히 버리고 정말 인간답게 꿋꿋하게 살아가려는 의지를 다시 한 번 보이는 키티의 모습이 매우 기특하였다.
(리뷰 글 제목은 소설 앞에 인용된 영국 시인 셸리의 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