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손톱
빌 밸린저 지음, 최내현 옮김 / 북스피어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줄거리 

첫 도입이 인상적이다.  

첫째, 그는 살인범에게 복수했다. 
둘째, 그는 살인을 실행했다. 
셋째, 그는 그 과정에서 살해당했다. 

그리고 모든 트릭은 이 세 문장에서 시작된다. 

주인공 '루'는 우연히 만나게 된 신비한 여인 '탤리 쇼'를 도와주고 함께 마술 공연을 하다가 마침내는 사랑에 빠져 결혼하게 된다. 그런데 탤리는 그녀의 외삼촌이 만들었던 위조지폐 동판 때문에 '그린리프'라는 인물에게 살해당하고, 루는 복수를 결심한다. 

이 소설은 자신의 집사 아이샴 레딕을 살해한 혐의로 한 피고인이 재판을 받는 과정과 루의 사연이 한 장(章)씩 번갈아가며 서술된다. 이 재판에서 중요한 것은 결정적 증거가 없다는 점. 시체가 이미 불에 타 소실된 것으로 짐작된다는 것, 살인은 오직 '정황 증거'로만 증명될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검사 캐넌은 몇 가지 증거물들 - 이빨, 잘려진 손가락을 이용하여 배심원들에게 피고의 유죄를 확신시킨다. 

하지만 우리의 주인공 루는 마술사 아니던가! 그 점을 생각해 보면 이 이야기의 트릭을 더욱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 감상 

'결말 봉인' 때문에 워낙 유명한 책이라.. 추리소설 팬으로서 이 소설을 읽었다는데 의의를 두고 싶다. ^^ 그냥 고전적인 분위기의 추리소설이었다. 법정 장면이 꽤 인상적이고 등장 인물들이 잘 살아난.

앞니 빠지고 허풍이 심하며 어딘가 멍청해 보이는 집사 아이샴 레딕. 마지막 장에 다다르기 전까지는 시체로만 등장하는 이 인물은, 결말의 반전이 유명했던 영화 '유주얼 서스펙트'의 카이저 소제를 연상시킨다. 아마도 이 영화가 이 소설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 소설이 출판되었던 50년대만 해도 세상 참 좋았다, 라는 생각이 든다. 같은 살인자라 할지라도 이 시대 사람들은 사랑하는 사람의 복수를 위해 다른 사람을 죽이는 어찌 보면 로맨틱한 인간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에 비해 요즘의 이야기들, 또는 실제 사건들 속의 살인자들은 어떠한가. 그들은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심지어는 쾌감을 느끼기 위해서라거나 때론 아무 이유 없이도 사람을 죽이는 경우가 많다. 끔찍한 세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