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전달자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0
로이스 로리 지음, 장은수 옮김 / 비룡소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먼 미래. 어느 가상 세계. 마치 핵전쟁 뒤 인류가 거의 멸망하고 극소수의 사람만 살아 남아 과거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모든 사회 제도를 새로 만들어 낸 것 같은 그런 설정의 세계.
지금보다 훨씬 좋을 것 같지만, 사실은 모든 사람들의 생활을 하나의 표준에 끼워맞춰 정해진 대로만 살아야 하는 그런 사회이다. 덕분에 차이도, 차별도 없고 자유도 감정도 없다.

이런 사회 속에서 사는 조너스는 이제 곧 12살이 되는 아이이다. 그는 '12살 기념식'을 기다리며 매우 긴장하고 초조해 하는데.. 그 이유는 12살이 되면 아이가 아니라 어른 취급을 받으며 직업 훈련을 받기 시작하는데, 평생이 걸린 직업 역시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원로 회의에서 정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마침내 다가온 12살 기념식에서 아이들이 태어난 순서대로 직위를 발표하는데, 수석 원로는 조너스의 차례를 건너뛰고 만다. 여기서 대부분 짐작할 수 있겠지만, 조너스는 평범한 직업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기억 전달자'로 선택받았기 때문이었다. '기억 전달자'의 역할은 이런 사회가 만들어지기 전 인류의 역사를 몸으로 기억하여, 이 사회에 새로운 문제가 생겼을 때 그 기억을 바탕으로 한 지혜를 발휘하는 일이다.

'색깔 없는 세계'로 상징되는 일률화된 삶만 살던 조너스는 과거의 기억을 배우면서 - 색깔, 날씨의 변화, 땅의 굴곡, 고통, 기쁨, 그리고 무엇보다 '사랑'에 대해 알게 된다. 그리고 그 '사랑'을 실천하기 위해 용감하게 탈출을 감행하게 되는데...

구조가 단순한 편이며, 길이도 짧은 청소년용 소설이지만, 굉장히 상징적이며, 우리가 살아가는 데 정말 중요한 것들을 생각해 보게 해 주는 좋은 소설이었다. 가령..

내 삶을 스스로 선택한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가?
어떤 선택이 과연 '올바른' 선택인가?
다른 사람과의 차이를 인정하는 일은 또 얼마나 중요한가?
모두 다 똑같은 것보다 서로 조금씩 다른 사회가 얼마나 아름다운가?
우리 인생에서 정말 소중한 가치에는 무엇이 있을까?(사랑?)
우리 인생에 주어지는 것들 중에 정말 아무 의미도 없고 필요도 없는 것이 있을까?(고통?)
개인이 중요한가, 집단의 유지가 중요한가? 등등..

이 책을 읽은 후에, 나는 지금의 내 직업을 내 손으로 '선택'한 것이지만- 가만 생각해 보면 정말 그런 것일까? 나는 과연 내 머리로, 내 마음으로 무언가를 제대로 선택해 본 적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조너스가 12살 기념식을 초조하게 기다리는 모습을 보면서 잠시 나의 중, 고등학교 시절이 떠올랐기 때문이었다. 내가 뭘 잘 하는지도 모르고, 내가 어떤 사람인지도 모르고, 그저 매일 학교에 갇혀 공부에만 매달리면서 성적에 따라 기분이 좌지우지되던 나, 어른이 되면 어떤 직업을 가져야 할 지도 몰라 고민만 하다가 '차라리 누가 정해주면 안 되나?' 생각까지 하던 나. 그리고 어쩌다 보니 흘러흘러 여기까지 오게 된 나.. 나를 이렇게 만든 것은 결국 우리 나라 사회 제도와 교육 제도였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 안에서 맹목적으로 어른들이 제시하는 가치만 좇으며 아무 생각 없이 지내온 나 스스로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그런데 그런 일생을 우리는 아직도  아이들에게도 강요하고 있다. 크게 변한 것이 없다.

꽤 어려운 이야기를 이렇게 아름다운 이야기로 만들어 낸 작가에게 경의를 표한다. 내용이나 스타일은 꽤 다르지만 이 작가의 <그 여름의 끝>만큼이나 아름다운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