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부엉이는 황혼에 날아오른다
무라카미 하루키.가와카미 미에코 지음, 홍은주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와카미 미에코가 '기사단장 죽이기'라는 작품에 대해 무라카미 하루키를 인터뷰한다, 라는 것이 이 책의 기본 골자다.
가와카미 미에코는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한 (하루키에 비하면) 젊은 작가다. '젖과 알'이라는 작품이 수상 작품인데 '문체'가 특징적이다 라는 평을 받았나 보다. 어떤 건지 안 읽어봐서 알 수는 없다.

가와카미 미에코는 '하루키 키즈'라 불러도 될 만한 작가 같다. 십대부터 하루키의 작품을 읽어왔으며 낭독회에 참석할 정도로 굳은 '팬심'을 지니고 있다. 하루키의 작품은 거의 다 읽었으며 심지어 하루키보다 더 그 내용이나 등장인물의 이름을 잘 기억하고 있다!
게다가 그녀는 매우 영민하고 지적인 인물이다. 하루키가 하는 이야기를 찰떡같이 알아들어 정리하고, 하루키가 좋아할 것 같든지 싫어할 것 같든지 상관하지 않고 자신이 궁금해 하는 질문을 던진다. 집요하게. 설명이 부족한 것 같으면 몇 번이고 다시 묻는다. 말을 바꿔서. 특히 하루키 작품에 나타나는 여성의 이미지에 대해 질문할 때에는 어찌나 속이 시원하던지! 하루키를 읽는 여자 독자들이라면 느꼈을 '찜찜함'을 끝까지 파헤친다. 반면 그에 대한 하루키의 대답은 시원찮다. 나는 솔직히 "네, 제가 그랬나요? 앞으로 주의하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라고 대답해 주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하루키 소설 속 여자들의 역할이나 묘사되는 내용은 누가 봐도 여자들이 대상화되거나 도구화되고 있다고 충분히 해석할 만한데.... 물론 항상 남자가 주인공이자 서술자이기 때문일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극소수의 예외로 자기는 그런 작가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데서 살짝 실망을 느꼈다.

영혼을 다해 질문하고 영혼을 다해 대답한다, 그런 느낌이었다. 인터뷰어나 인터뷰이나 꽉 막힌 데가 없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표현하는 데 천재적이다.
하루키가 자신의 소설가로서의 직업관을 직접 정리했던 '직업으로서의 소설가'보다 훨씬 더 하루키나 하루키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더 큰 도움이 되었다. 객관적인 시선과 질문의 힘이란 게 이런 것인가, 느껴 볼 수 있는 책이었고, 너무너무나 마음에 들었다! 하루키의 오랜 팬이었던 내게는 2018 최고의 책이라 부를 만하다.

 

그 괴리 혹은 격차 같은 것에 자신의 그림자가 존재하지 않나, 저는 생각합니다. 그래서 괴리는 제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요. 저는 소설을 쓸 때 그저 주위에 있는 세계를 조금이라도 현실적으로, 사실적으로 그리고자 합니다. 경과나 동기를 보면 매우 단순한 영위예요. 그런데 사실적으로 쓰려 하면 할수록 ‘기사단장‘이니 ‘긴 얼굴‘이니 하는 것이 어디서 튀어나와버려요.(웃음) 독자나 평론가 중에는 이거 무슨 동화 같은 건가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제게는 어디까지나 현실 그 자체입니다. 동화적인 요소는 전혀 없어요.
그렇다면 그 괴리는 어디서 오는가. 그걸 아는 것이 자신의 그림자를 마주하는 힌트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나 자신은 실제로 이 현실세계에 살지만 지하에는 나의 그림자가 도사리고 있고, 소설을 쓸 때 스멀스멀 위로 올라와서,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리얼리티를 밀어제치고 나가버린다. 나는 그런 작업 속에서 나 자신의 그림자를 보려 하는 것이 아닐까. 다만 나는 소설가이기에 이야기를 쓰는 작업을 통해 그것이 가능하지만 보통 사람은 좀처럼 불가능할 수도 있다. 즉 나는 이야기를 씀으로써 많은 사람을 위해 그 작업을 대행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런 느낌입니다. 왠지 주제넘은 소리 같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